[더구루=한아름 기자] 뉴발란스가 호주에서 향수 시장에 도전장을 던졌다. 지난해 테니스 오스트레일리아(Tennis Australia)와 파트너십을 맺은 데 이어 이달 한정판 향수 2종을 론칭했다. 뉴발란스가 호주 마케팅을 강화하면서 국내·중국 사업권을 쥔 이랜드월드의 국내 향수 출시에도 이목이 쏠린다. [유료기사코드] 7일 업계에 다르면 뉴발란스는 이달 호주에서 향수 '오리지널'(Original)과 '코트'(Court)를 한정 판매한다. 두 제품 모두 뉴발란스의 스니커즈 감성을 담았다. 여성적인 플로럴향보다는 스웨이드·우드향을 담아 중성적인 매력을 더했다. 패키지 전면에 뉴발란스 로고, 뚜껑은 실버 색상을 사용해 브랜드 특유의 심플함을 강조했다. 오리지널은 뉴발란스 신발 박스를 막 개봉했을 때의 깨끗한 향을 담았다. 스웨이드·고무 향에 싱그러운 풀향이 특징이다. 코트는 호주산 샌달우드가 들어 있어 우디향이 풍부하다. 마치 농구코트 나무 바닥을 연상케 한다는 설명이다. 뉴발란스는 호주에 향수를 출시함에 따라 시장 입지를 패션 부문에서 향수까지 넓힌다는 계획이다. 뉴발란스가 올해 호주를 주요 타깃으로 설정하며 마케팅을 강력 드라이브를 걸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더구루=김형수 기자] 오션코스메틱의 화장품 브랜드 바큐어 트리트(Vacure treat)가 베트남 하노이에 쇼룸을 열고 현지 시장 공략에 나선다. 바큐어 트리트는 로컬 소비자들에게 브랜드 체험 기회를 제공하는 한편 이를 토대로 현지 고객 니즈를 분석한다는 계획이다. 6일 업계에 따르면 바큐어 트리트는 이날 베트남 하노이에 있는 쇼핑몰 빈콤센터 바찌에우(Vincom Center Ba Trieu)에 쇼룸을 오픈한다. 바큐어 트리트가 베트남에 쇼룸을 조성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바큐어 트리트는 해당 쇼룸에서 △히알루로닉 펩타이드 세럼 △멜라 샤이닝 크림 △나이아신마이드 10% 앰플 △마일드 선 프로텍터 △BHA 2% 앰플 △포어 퓨리파잉 토너 등의 제품을 중점적으로 홍보할 전망이다. 자사 화장품이 보습, 미백, 항산화 등의 효과를 제공한다는 점을 알리는 데 주력할 것으로 예상된다. 바큐어 트리트는 쇼룸 방문객들에게 스마트 거울을 활용한 무료 피부 진단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진단 결과를 토대로 각 고객에게 적합한 화장품, 스킨케어 방법 등을 추천해준다는 계획이다. 쇼룸을 운영하며 현지 소비자 니즈를 파악해 향후 다양한 마케팅을 펼칠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
[더구루=한아름 기자] 국내 화장품 브랜드 바이유어(BYUR)가 일본에서 각종 뷰티 콘테스트에서 주요 상을 휩쓸었다. 바이유어는 지난해 1월 일본 대형 버라이어티숍 로프트(LOFT) 매장 13개에 첫 입점하고 3일 만에 완판을 기록하는 기염을 토한 바 있다. 6일 바이유어 파트너사 하미(Hamee)에 따르면 바이유어가 지난 한 해 동안 일본 각종 뷰티 콘테스트에서 총 51개 상을 받았다. 이는 현지 뷰티 매거진 비테키컴(美的·Bitekicom) 등이 진행한 뷰티 콘테스트를 종합·분석한 결과다. 명예의 전당에 오른 제품은 △플럼프 허니 아쿠아 세럼 마스크 △비타 기빙 아쿠아 세럼 마스크 △세럼 핏 볼류밍 글로우 스틱 멜로우 △세럼 핏 루즈 페이스 파우더 △클린 리셋 멜티 클렌징밤 △클린 리셋 젤 세럼 워시다. 각 제품 모두 두 가지 이상의 상을 받았다. 대표 제품인 허니 아쿠아 세럼 마스크는 △지난해 하반기 비테키컴 전문가 추천 제품 △가성비(가격 대비 성능) 마스크 1위에 올랐다. 마누카 꿀 추출물이 들어 있어 촉촉하고 탄력있는 피부로 만들어 준다는 점이 높은 평가를 받았다. 클린 리셋 멜티 클렌징밤의 경우, 놀라운 세정력으로 △지난해 하반기 비테키컴 전문가
[더구루=한아름 기자] 트렌드메이커의 비건 뷰티 브랜드 '딘토'(Dinto)가 일본 도쿄에서 팝업스토어를 열고 글로벌 사업 확장에 나선다. 일본은 딘토의 첫 해외 진출지로, 시장 공략에 공을 들이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일본 멀티 브랜드숍 아토코스메 도쿄는 오는 10일부터 일주일간 딘토 팝업스토어를 연다. 딘토는 이번 팝업스토어에서 △블러 글로이 립 △블러 피니시 매트 쿠션 파운데이션 △블러 피니시 폼 프라이머 △블러 피니시 섀도우 찰스 디킨스 △블러 래디언스 블러셔 △셰익스피어 인 러브 글리터 △브론테 멜팅 립 버터 등을 선보일 예정이다. 딘토는 팝업스토어를 계기로 일본 시장에서 브랜드 인지도를 강화하고 온오프라인 채널 입점에 집중할 계획이다. 국내에 집중됐던 매출 구조를 해외까지 확대, 볼륨을 늘린다는 목표다. 특히 일본은 딘토의 첫 해외 진출지인 만큼 K-뷰티 대표 브랜드로 성장하기 위한 필수적인 전략지라는 평가다. 일본은 화장품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리라고 전망되는 곳이기 때문이다. 일본 화장품 시장 규모는 미국, 중국에 이어 세계 3위 규모로 한국 화장품 업체들의 일본 수출액은 연평균 27%가 넘는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이에 딘토는 지난해 아토코스
[더구루=한아름 기자] 이른바 '연어주사'(제품명 리쥬란)로 국내외 알려진 바이오기업 파마리서치가 일본 화장품 시장 공략에 나선다. 화장품 브랜드 리쥬란 코스메틱이 현지 오프라인 유통망을 확보했다. 6일 코스무라 운영사 L&K코퍼레이션에 따르면 리쥬란 코스메틱과 파트너십 계약을 체결, 현지 K-뷰티숍 코스무라에 제품 3개를 입점한다. 리쥬란 코스메틱의 간판 제품인 △턴오버 앰플 △턴오버 앰플 듀얼 이펙트 △힐링 마스크 세 종류가 판매된다. 코스무라는 도쿄를 포함한 일본 전역에 매장 50개를 운영 중인 뷰티숍으로, K-뷰티 브랜드 100여개와 협업하고 있다. 파마리서치는 코스무라 입점을 계기로 일본 시장에서 브랜드 인지도를 강화하고 온오프라인 채널 입점에 집중할 계획이다. 국내에 집중됐던 매출 구조를 해외까지 확대, 매출 볼륨을 늘린다는 목표다. 일본은 K-뷰티 대표 브랜드로 성장하기 위한 필수적인 전략지라는 분석에서다. 일본은 화장품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리라고 전망되는 곳 중 하나다. 일본 화장품 시장 규모는 미국, 중국에 이어 세계 3위 규모로, K-뷰티 업체들의 일본 수출액은 연평균 27%가 넘는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앞서 파마리서치는 지난 20
[더구루=한아름 기자] 클리오가 일본에서 할인 이벤트를 열고 열도 뷰티 시장 잡기에 박차를 가한다. 걸그룹 아이브 안유진을 글로벌 브랜드 앰버서더로 내세워 K팝 팬덤 공략한다는 계획이다. 클리오는 올해 일본 목표 매출을 400억원으로 잡았다. 5일 일본 온라인몰 라쿠텐에 따르면 클리오가 공식스토어에서 할인 쿠폰 300엔을 제공한다. 큐텐(Qoo10)에선 오는 8일까지 10% 할인 쿠폰을 증정한다. 클리오의 '킬커버 스킨 픽서 쿠션'을 홍보하기 위해서다. 기존 '픽서 쿠션'을 업그레이드한 제품으로, 밀착력을 끌어올린 것이 특징이다. 네 가지 블러 파우더로 구성돼 요철이나 유분, 밀림, 들뜸 현상이 적고 메이크업 후 답답함이 덜 느껴진다는 설명이다. 패키지도 청량감이 가득한 투명 초록색 정사각형 쉐입으로 리뉴얼됐다. 퍼프는 육각형 모양으로 개발, 밀어 쓰거나 두드려 쓰기 좋다. 아이섀도 팔레트 라인업도 확대한다. 쿨톤용 '라벤더 신입 07' 웜톤용 '라뗴는 선임 08' 총 두 가지다. 도톰하고 반짝이는 입술을 연출해 주는 '크리스탈글램밤' 여섯 종류도 새롭게 출시한다. 클리오는 브랜드 앰버서더 안유진의 메이크업 화보를 소개하고 마케팅을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아이
[더구루=한아름 기자] 국내 화장품 기업 삐아(BBIA)의 색조 브랜드 어바웃톤이 일본 시장에 도전장을 던졌다. 팝업스토어를 열어 신규 고객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삐아가 시장 다각화 전략을 통해 밸류에이션(기업가치) 끌어올리기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삐아는 올해 코스닥 상장을 목표로 하고 있다. 5일 삐아 파트너사 신비재팬에 따르면 오는 10일까지 도쿄 시부야 스크램블 스퀘어에서 어바웃톤 팝업스토어를 연다. 어바웃톤은 이 기간 해피팩 한정판을 기존 가격보다 10% 할인 판매한다. 해피백엔 어바웃톤 간판 제품들로 구성돼 있다. △블러 파우더 팩트 △글로우 파우더 팩트 △리턴 투베이직 아이섀도 △오마이 글리터팝 등이 준비됐다. 구매 고객에겐 톤업선크림과 메이크업 파우치를 선물로 준다. 삐아 역시 이달 8일부터 일본 마케팅에 돌입한다. 온라인몰 라쿠텐·큐텐에서 리본 에디션을 공식 론칭, 할인 이벤트를 진행한다. 삐아와 어바웃톤이 일본 사업을 본격화한 배경은 올해 코스닥 상장을 앞둔 만큼 해외 사업을 통해 밸류에이션을 끌어올리기 위함으로 풀이된다. 앞서 삐아는 지난해 9월 한국거래소 코스닥시장본부에 상장 예비심사 신청서를 제출하며 상장을 준비하고 있다. 상장주선
[더구루=한아름 기자] 국내 스킨케어 브랜드 프랭클리가 일본 사업을 확대한다. 프랭클리는 지난해 일본 온오프라인 유통망을 확보하며 글로벌 사업에 도전장을 던진 바 있다. 프랭클리는 지난해 CJ인베스트먼트로부터 투자받으면서 국내외 이름을 알렸다. 당시 CJ올리브영이 CJ인베스트먼트가 출자한 펀드에 참여했다. 5일 프랭클리 일본 파트너사 신비재팬에 따르면 오는 10일까지 도쿄 시부야 스크램블 스퀘어에서 프랭클리 팝업스토어를 연다. 프랭클리는 이 기간 럭키팩 한정판을 기존 가격보다 20% 할인 판매한다. 럭키백엔 프랭클리 간판 제품들로 구성돼 있다. △시카 80&히알루론산(HA) 토너 △클로저 세럼 △순수 비타민C 21 세럼 △헤이데이 세럼 △레티놀 0.1크림 등이 준비됐다. 구매 고객에겐 버터쏘머치크림과 시카해선크림, 메이크업 파우치를 선물로 준다. 프랭클리는 이번 팝업스토어를 통해 브랜드 인지도 강화 및 매출 활성화를 끌어낼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프랭클리는 올해부터 일본 사업에 더욱 박차를 가한다는 계획이다. 오프라인 채널을 확대해 고객층을 넓힌다는 목표를 세웠다. 앞서 프랭클리는 지난해 상반기 라쿠텐·큐텐 등 온라인몰 진출한 데 이어 마루이
[더구루=김형수 기자] 아모레퍼시픽 설화수가 선보인 진설크림이 '파리 패키징 위크'(Paris Packaging Week·PPW) PCD 혁신상 최종 후보에 올랐다. 5일 PPW에 따르면 설화수 진설크림은 파리 패키징 위크 PCD 혁신상 최종 후보로 선정됐다. 오는 17일 프랑스 파리에 있는 컨퍼런스센터 파리 포르트 드 베르사유(Paris Expo Porte de Versailles)에서 열리는 시상식에서 최종 수상작이 발표될 예정이다. 파리 패키징 위크 PCD 혁신상은 혁신적 패키지가 도입된 뷰티 분야 제품을 선정하는 시상식이다. 업계 전문가로 이뤄진 심사위원단이 지난 2022년 12월부터 지난해 11월 사이에 유럽 또는 글로벌 시장에 출시된 제품을 대상으로 실시한 평가 결과를 토대로 최종후보를 선정했다. 심사위원단은 △지속가능성 △소비자 경험 △생산 기술 △신규 시장 기회 창출 등에 대해 평가했다. 아모레퍼시픽은 지난해 9월 론칭한 설화수 진설크림에 리필 가능한 친환경 패키지를 적용했다. 크림을 모두 사용한 이후 리필 제품을 구매해 교체하는 방식으로 계속 쓸 수 있다. 아모레퍼시픽은 리필 제품 이용 시 60ml 제품은 52%, 30ml 제품은 55% 플라
[더구루=한아름 기자] 아모레퍼시픽 에뛰드가 베트남 뷰티 시장에서 제품력을 인정 받았다. 베트남 소비자 사이에서도 이미 유명한 제품으로, 입술을 촉촉하고 부드럽게 만들어 준다는 호평이 쏟아지고 있다. 에뛰드가 한국에서 가장 인기있는 브랜드로 현지에서 입소문을 타고 있다. 베트남 언론 TTVN은 5일 에뛰드 진저슈가 오버나이트 립 마스크를 지난해 한국에서 가장 인기 많은 립밤 조사에서 2위로 선정했다. 국내 브랜드 중에선 가장 높은 순위를 차지했다. 특히 보습력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다. 생강과 오렌지오일, 슈가, 쉐어버터 등이 들어 있어 들뜬 각질을 케어하고 강력한 보습막을 형성하는 데 도움을 준다는 평가다. 립밤뿐 아니라 입술 전용 수면팩으로 쓸 수 있어 활용도 또한 높다. 에뛰드 립 마스크가 베트남 시장에서 최고의 림밤으로 인정받으면서 매출과 브랜드 인지도가 크게 강화할 것으로 점쳐진다. 특히 베트남은 K-팝·드라마 등으로 한국 화장품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 매출 증대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는 평가다. 베트남은 동남아시아 국가 중 한국 화장품을 가장 많이 수입하고 있다. 세계 기준으로는 다섯 번째다. 에뛰드는 제품력을 통한 높은 만족도를 바탕으로 소비자 입소
[더구루=김형수 기자] 김진애 아모레퍼시픽 미국 법인 라네즈·설화수 브랜드 마케팅 총괄이 경쟁사인 일본 화장품업체 고세(Kose) 미국 자회사에 새 둥지를 틀었다. 고세가 북미 시장에서 성과를 냈던 김 전 총괄 영입을 통해 세계 최대 미국 뷰티 시장 내 경쟁력 강화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4일 고세에 따르면 김 총괄은 고세 미국 자회사 고세 아메리카(Kose America)의 부사장으로 선임됐다. 고세 아메리카는 부사장 직책을 신설하고 그를 부사장으로 영입했다. 김 부사장은 고세 아메리카에서 북미 마케팅·영업을 총괄한다. 데코르테(DECORTE), 세이키세(SEKKISEI), 어디션 도쿄(ADDICTION TOKYO) 등의 브랜드 성장 전략을 추진하는 역할을 맡게 된다. 고세는 아모레퍼시픽 미국 법인에서 근무하며 인정받은 김 부사장의 경영 능력이 현지 사업 개발 및 확대의 발판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고세는 김 부사장이 아모레퍼시픽 미국 법인에 몸담고 있던 지난 2014년 미국에 이어 지난 2015년 캐나다에 라네즈를 론칭하고 공격적 마케팅을 펼치며 라네즈 립 슬리핑 마스크를 북미 히트 상품 반열에 올린 주역이라고 평가했다. 북미 시장 내 설화수 성장을 이
[더구루=김형수 기자] LG생활건강 힌스의 '세컨 스킨 메쉬 매트 쿠션(이하 세컨 쿠션)'이 일본 유명 뷰티·패션 매거진 WWD가 선정한 지난해 하반기 베스트 신상품 순위에서 정상을 차지했다. 일본에서 제품 경쟁력을 인정받으면서 힌스 현지 사업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4일 WWD에 따르면 힌스 세컨 쿠션은 'WWD뷰티 2023 하반기 베스트 코스메틱' 신상품 EC(Electronic Commerce) 베이스 메이크업 부문에서 1위를 차지했다. WWD는 △판매량(2023년 5월~10월) △바이어 평가 등을 토대로 해당 순위를 매겼다. 해당 기간 출시된 화장품을 대상으로 평가가 이뤄졌다. 힌스 세컨 쿠션은 메쉬 소재와 매트의 질감이 결합된 신개념 파운데이션으로 매끄러운 피부를 연출하는 데 도움을 준다는 점이 높은 점수를 받았다. 매트 쿠션 특유의 답답합이 느껴지지 않아 사용감이 뛰어나다는 평가다. LG생활건강은 이번 수상이 힌스의 일본 내 브랜드 인지도 제고, 이미지 개선 등으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LG생활건강은 힌스 신제품을 꾸준히 출시하고 현지 마케팅에 총력을 기울인다는 방침이다. 앞서 지난해 10월 밤하늘을 수놓는 오로라에서 영감을 받아
[더구루=홍성환 기자] 중국 동박 제조업체 더푸커지(德福科技·지우장더푸테크놀로지)가 솔루스첨단소재의 유럽 룩셈부르크 동박 공장을 인수하기로 했다. [유료기사코드] 더푸커지는 30일 솔루스첨단소재 종속회사인 볼타 에너지 솔루션(Volta Energy Solutions)과 '서킷 포일 룩셈부르크(CFL)' 지분 100%를 1억7400만 유로(약 2800억원)에 인수하는 주식 매매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CFL은 정보통신기술(ICT)용 동박을 제조하는 공장으로 1965년 완공됐다. 솔루스첨단소재의 전신인 두산솔루스가 2014년 인수한 공장으로, 11년 만에 매각 결정을 내렸다. 더푸커지는 "우리는 초극저조도(HVLP) 동박과 초극박(DTH) 등 최첨단 IT용 동박 제품 개발을 장기 전략으로 항상 최우선 순위에 뒀다"면서 "이번 거래가 완료되면 IT용 동박 부문에서 세계적인 선도 기업으로 발돋움할 것"이라고 전했다. 더푸커지는 중국 3대 동박 제조기업이다. 동박은 두께 10㎛(마이크로미터, 1㎛=100만분의 1m) 내외의 얇은 구리 박막으로 전기차용 이차전지 핵심 소재로 주목받았다. 특히 최근에는 AI 반도체에 들어가는 주요 소재로 부각되고 있다. HVLP 동박
[더구루=홍성일 기자] TSMC를 세계 1위 파운드리 기업으로 만든 '역전의 용사'들이 연이어 퇴장하고 있다. TSMC는 차세대 리더를 발굴하며, 승계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30일 업계에 따르면 웨이젠 로(Wei-Jen Lo) TSMC 기업전략개발 부사장이 지난 27일 은퇴했다. UC버클리에서 고체물리학·화학 박사를 학위를 취득한 웨이젠 로 부사장은 인텔과 모토로라, 제록스 등에서 경력을 쌓고 2004년 운영 조직 2부 총괄로 TSMC에 입사했으며, 2006년부터 2009년까지 샹이 치앙(Shang-Yi Chiang) 부사장에 이어 연구개발(R&D) 부문 부사장으로 근무했다. 2009년부터는 제조 기술 부문 부사장으로 활동했다. 웨이젠 로는 21년간 TSMC에서 기술 연구를 이끌며 1000개에 달하는 미국 특허를 포함해, 총 1500개 이상의 특허를 확보하는데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TSMC는 웨이젠 로 부사장의 후임으로 로라 호(Lora Ho) 인사부문 부사장을 임명했다. 로라 호는 과학자 출신인 웨이젠 로와 다르게 회계, 재무 부문 전문가로 활동해왔다. 로라 호는 1999년 회계 담당자로 TSMC에 입사한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