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환 기자] 사우디아라비아가 배터리 소재 거래 플랫폼 구축에 착수했다. 1일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칼리드 빈 살레 알 무다이퍼 산업광물자원부 차관은 이 매체와 인터뷰에서 "배터리 소재와 관련해 새로운 상품 거래 플랫폼 출시 가능성을 모색하고 있다"면서 "광물 허브를 목표로 흑연, 희토류, 리튬, 코발트, 니켈 등 광물의 상품 거래를 연구하고 있다"고 밝혔다. 다만 "희토류 보유량이 적고 사양도 다르기 때문에 알루미늄이나 원유와 같이 실현 가능 여부는 불투명하다"고 덧붙였다. 사우디아라비아는 내년 상반기 이후로 희토류 상품 거래소와 관련해 결정을 내릴 예정이다. 이는 경제·사회 구조를 개혁하기 위해 설계한 '비전 2030' 프로젝트의 일환이다. 사우디아라비아는 비석유 부문 수출을 2016년 16%에서 2030년 50%까지 확대하는 것이 목표다. 이에 친환경 에너지와 엔터테인먼트, 첨단 기술 등 미래 산업 중심으로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호주 광산업체 레이크리소스(Lake Resources)가 아르헨티나 염호 개발 사업의 자금 조달을 추진한다. [유료기사코드] 30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레이크리소스는 아르헨티나 카타마르카주에 위치한 염호를 개발하는 '카치(Kachi) 프로젝트'와 관련해 전략적 투자를 유치하기 위한 파트너십을 모색 중이다. 이를 위해 골드만삭스를 자문사로 선임했다. 레이크리소스 측은 "카치 프로젝트의 1단계 최종 타당성조사를 내달 완료할 계획으로 전략적 투자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전했다. 카치 프로젝트는 레이크리소스가 보유한 카치 염호에서 리튬을 확보, 오는 2024년부터 25년간 탄산리튬 연간 5만t 생산을 목표로 하는 사업이다. SK온과 미국 WMC 에너지가 생산분을 공급받는다. SK온은 지난해 10월 레이크리소스에 지분 10%를 투자하고 고순도 리튬 장기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 계약 기간은 내년 4분기부터 시작해 최대 10년이다. 기본 5년에 추가로 5년을 연장할 수 있는 옵션을 뒀다. 첫 2년 동안은 연간 1.5만t, 이후에는 연간 2.5만t의 리튬을 받는다. 계약을 연장할 경우 총 공급량은 23만t에 이르게 된다. 전기차 490만 대에 탑재
[더구루=홍성환 기자] 호주 배터리 양극재 생산업체 에코그라프(EcoGraf)가 독일 정부로부터 탄자니아 흑연 광산 개발 사업의 자금을 확보했다. [유료기사코드] 에코그라프는 29일(현지시간) 독일 수출입은행(KfW IPEX-Bank)과 탄자니아 에판코 흑연 프로젝트와 관련해 1억500만 달러(약 1400억원) 규모 연방보증대출(UKF) 선순위 부채 약정을 맺었다고 밝혔다. 이번 계약으로 에코그라프는 독일에 흑연 공급을 확대할 방침이다. 독일 연방정부의 지원 보증은 정부의 대외 무역과 투자 촉진 계획에 따른 것으로 특별한 정부 관심이 있는 해외 프로젝트를 지원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앞서 프랑크 발터 슈타인마이어 독일 대통령은 이달 초 탄자니아를 방문해 탄자니아 대통령 등 정부 관계자 등을 만나 흑연 공급에 대해 논의한 바 있다. 에판코 흑연 광산은 탄자니아 남동부 모로고로주(州)에 위치하고 있다. 현재 사업 타당성 검토 중으로 호주의 에코그라프와 탄자니아 정부의 합작회사인 두마 탄자 그라파이트(Duma Tanza Graphite Limited)가 개발 중이다. 연간 6만t의 흑연이 생산될 것으로 예상된다. 독일 티센크루프, 일본 소지츠와 에판코 흑연 판매
[더구루=홍성일 기자] 칠레 정부가 새로운 리튬 자원 탐사를 위해 자금을 투입한다. 또한 대규모 BESS(BESS, Battery Energy Storage System) 건설 프로젝트도 유치하며 배터리 산업 강국으로 성장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28일 업계에 따르면 칠레 과학기술혁신부(Ministerio de Ciencia, Tecnología, Conocimiento e Innovación)는 3년간 최대 10개 리튬 관련 연구 프로젝트에 700만 달러(약 90억원)를 투입하기로 했다. 프로젝트는 리튬 채굴의 환경적, 사회적 영향 등을 연구한다. 지난해 미국 지질조사국 조사에 따르면 칠레는 전세계에서 확인된 실제 사용 가능 리튬 2200만톤 중 920만톤이 매장돼있는 세계 최대 리튬 보유국이다. 칠레 정부가 리튬 채굴의 환경적, 사회적 영향에 대한 연구를 시작한 것은 현재 리튬 대부분이 아타카마 지역에서 채굴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아타카마 지역의 원주민들과 환경단체에서는 아타카마 지역의 수자원 오염과 이로인한 지역 생물 다양성 훼손 등을 우려하고 있다. 칠레 정부는 리튬 채굴로 인한 아타카마 지역의 환경적, 사회적 영향을 확인하고 이를 기반으로 아
[더구루=정등용 기자] 중국 리튬의 가격 하락세가 이어지고 있다. 중국 정부의 전기차 보조금 중단 이후 리튬 배터리 수요가 둔화한 가운데 리튬 공급 과잉도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27일 중국 광저우 선물거래소에 따르면 지난주 거래소에서 가장 많이 거래된 1월물 리튬 선물 가격은 한 주 동안 10% 하락해 톤당 12만4050위안(약 2300만원)의 가격으로 장을 마감했다. 차이나 퓨처스의 리튬 분석가인 장 웨이신은 “이번 현상은 계약 만기 시 인도 가능 물량 부족에 베팅한 사람들을 실망시켜 가격 하락을 가속화했다”고 진단했다. 선물 시장 급락은 현물 리튬 가격 하락으로 이어졌다. 패스트마켓 MB-LI-0036이 평가한 탄산리튬 현물 가격은 이번 주 11% 하락해 26개월래 최저치인 톤당 12만9000위안(약 2400만원)을 기록했다. 7개월 만에 가장 큰 주간 하락폭이며 전년 대비 80% 떨어진 수치다. 웨이신은 “현물 리튬 가격은 수요 회복을 기대할 수 없는 상황인 만큼 연말까지 톤당 10만 위안(약 1800만원)까지 떨어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글로벌 투자은행(IB) 골드만삭스도 인베스팅 자료를 인용해 리튬 가격의 반등 가능성을 낮게 점쳤다. 골드만삭
[더구루=오소영 기자] LG에너지솔루션의 협력사인 인도네시아 안탐(Aneka Tambang Tbk)과 발레 인도네시아 등이 현지 상위 10대 회사로 꼽혔다. 인도네시아 매체 '미디어 니켈 인도네시아(Media Nikel Indonesia)'는 최근 상위 10개 인도네시아 니켈 채굴 회사를 선정했다. 먼저 인도네시아 국영 광업회사 안탐은 포말라와 라솔로 등에 니켈 광산을 개발하는 회사다. 인도네시아 국영 알루미늄회사(Asahan Aluminum)·국영 석유회사 퍼르타미나·전력공사와 합작사 'IBI'를 꾸리고 LG에너지솔루션과 배터리 협력도 추진하고 있다. 광물 채굴부터 배터리셀, 재활용 등을 망라하는 사업을 수행한다. 발레 인도네시아는 남부·동부·중앙 술라웨시에서 배터리 광산을 개발하고 있다. 지난해 11억7000만 달러(야 1조5200억원)의 매출을 올린 것으로 알렸다. 센트럴 오메가 리소시스는 2008년 니켈 채굴 시장에 진출해 2011년부터 생산 물량을 수출했다. 인도네시아 모로왈리와 코나웨 등에서 광산 개발을 진행 중으로 연간 300만t의 생산능력을 갖췄다. 이피쉬데코는 남동부 술라웨시에서 중점적으로 니켈 사업을 추진한다. 2021년 1590억 루피아(
[더구루=홍성환 기자] 아프리카 자원 부국들이 핵심 광물의 부가가치를 높이기 위해 주요 기업에 현지 가공 시설 건설을 유도하고 있다. 25일 코트라의 '글로벌 공급망으로서의 아프리카, 그 잠재력과 최신 트렌드' 보고서에 따르면 아프리카는 주요 원자재 세계 매장량 중 △백금 89% △크롬 80% △망간 61% △코발트 52% △원유 10% △천연가스 8%를 보유하고 있다. 최근 친환경 에너지 전환과 전기차 제조에 사용되는 리튬·코발트·백금 등 핵심 광물도 생산되고 있어 공급망 가치가 높은 지역이다. 아프리카 국가들은 광물 자원을 정부 재정 수입과 외화 수입 원천으로 사용하고 있다. 지난 10년간 광업 부문은 아프리카 국가들 국내총생산(GDP)의 약 10%, 전체 수출의 50% 이상을 차지하는 등 의존도가 높다. 이로 인해 아프리카 자원 부국은 광물의 상품 가격에 따라 나라 경제가 크게 좌우된다. 내년 사하라이남 아프리카에서 자원 의존 국가는 상품 수출에 의존하지 않는 국가보다 성장률이 절반 수준으로 낮을 것으로 전망된다. 단기적으로 주요 재정 수입으로 자원 외에 다른 대안이 없는 상태다. 아프리카 국가들은 현재 자원을 원료 그대로 공급하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더구루=오소영 기자] 중국 탄산리튬과 수산화리튬 가격이 1년 사이 70% 이상 하락했다. 전기차 시장이 둔화되는 가운데 중국 리튬 업체들의 공격적인 투자로 공급 과잉 국면에 들어섰다는 분석이 나온다. 25일 코트라 베이징무역관과 시장조사기관 윈드에 따르면 중국 탄산리튬 가격은 이달 2주차 기준 톤(t)당 15만6460위안(약 2800만원)을 기록했다. 불과 1년 전 56만 위안(약 1억100만원)을 넘었던 가격은 올해 6월 30만 위안대(약 5400만원)로 떨어지더니 이달 들어 반토막이 났다. 수산화리튬도 마찬가지다. 지난해 11월 56만160위안(약 1억190만원)까지 오른 가격은 이달 2주차에 14만3960위안(약 2600만원)으로 급락했다. 가격이 떨어진 배경은 수요 둔화에 있다. 중국자동차공업협회에 따르면 중국 신에너지차 판매량은 2021년 157.5%, 2022년 95.6%의 상승률을 기록했다. 하지만 올해 분위기는 다르다. 올해 성장률은 30~40%에 불과할 전망이다. 이는 차량용 배터리 생산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올해 1~9월 중국 차량용 배터리 생산량 증가율은 44.9%로 작년(176.2%)의 3분의 1 수준이다. 배터리 생산이 위축되며
[더구루=오소영 기자] 스위스 글렌코어가 호주 갈란리튬으로부터 염화리튬을 구매한다. 매년 아르헨티나 염호에서 추출한 리튬 5400톤(t)을 5년 동안 공급받는다. [유료기사코드] 25일 갈란리튬에 따르면 이 회사는 글렌코어와 구속력 있는 리튬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 갈란리튬은 옴브레 무에르토 웨스트(HMW) 프로젝트에서 생산한 염화리튬을 공급한다. 공급량은 1단계 투자에 따른 생산량 전량으로 연간 5400t으로 추정된다. 공급 기간은 상업생산 시작일로부터 약 5년이다. HMW는 아르헨티나 옴브레 무에르토 염호를 개발하는 프로젝트다. 갈란리튬은 지난 9월 1단계 투자에 착수했다. 2025년 상반기 생산을 목표로 한다. 2단계 개발도 추진해 생산량을 늘린다. 개발 비용을 확보하고자 염화리튬 공급을 대가로 글렌코어로부터 7000만~1억 달러(약 910~1300억원) 상당의 선불금도 받는다. 공급 계약은 양사의 합의 하에 갱신이 가능하다. 후안 파블로(JP) 바르가스 데 라 베가 갈란리튬 매니징 디렉터는 "2025년 상반기 상업 생산을 시작하는 여정에서 매우 중요한 이정표의 달성을 발표하게 돼 기쁘다"며 "글렌코어와의 계약은 프로젝트의 퀄리티와 갈란 팀의 역량·경험
[더구루=정등용 기자] 세계 최대 구리광산 중 한 곳으로 평가 받는 퍼스트퀀텀미네랄즈(First Quantum Minerals)의 파나마 광산이 생산 중단에 돌입했다. 퍼스트퀀텀의 구리 채굴에 반대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는데다 물자를 운송하는 항구까지 봉쇄됐기 때문이다. 퍼스트퀀텀은 23일(현지시간) 직원들에게 보낸 문자 메시지를 통해 “파나마 광산은 더 이상 상업적 수준의 생산으로 운영되지 않는다”며 생산 중단 결정을 통보했다. 퍼스트퀀텀은 시위대의 사업 운영 반대 움직임이 격화하자 이미 지난주부터 주력 광산의 가동 속도를 늦추기 시작했다. 급기야 광산에 석탄 등 물자를 공급하는 소형 선박의 항구까지 봉쇄되자 광산 운영 중단 결정을 내렸다. 파나마 광산은 퍼스트퀀텀 매출의 40%를 담당하며 전 세계 구리 공급량의 1.5%를 차지한다. 퍼스트퀀텀은 “우리 현장 팀은 발전소와 발전시설 및 모든 관련 인프라를 안전하게 유지하고 항구가 재개되는 즉시 신속하게 가동할 준비를 하기 위해 지속적인 노력을 이어가고 있다”고 밝혔다. 앞서 파나마 정부가 퍼스트퀀텀의 파나마 구리 광산 사업권을 20년 연장했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정부 결정에 반대하는 대규모 시위대가 길거리로
[더구루=정예린 기자] 호주 '벌칸에너지리소스(Vulcan Energy Resources, 이하 벌칸에너지)' 독일 리튬 추출 공장 가동에 돌입했다. 상업 생산 준비를 가속화해 주요 고객사에 '메이드 인 유럽' 리튬을 공급한다. [유료기사코드] 벌칸에너지는 23일(현지시간) 라인란트팔츠주 남부 란다우에 리튬 추출 최적화 공장(Lithium Extraction Optimisation Plant, 이하 LEOP)를 준공하고 공식 오픈했다고 발표했다. 총 4000만 유로(약 567억원)를 투자했다. LOEP는 리튬 상업 생산 공장 운영 준비를 지원하는 최적화, 교육, 제품 검증 시설이다. 지난 8월 시운전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하고 3개월여 만에 본격 운영에 돌입했다. 오는 2026년 시운전을 목표로 대규모 리튬 추출을 위한 상업용 공장도 건설할 예정이다. LOEP 가동을 시작한 것은 유럽에 첫 리튬 공급망 구축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리튬 추출부터 완제품 생산까지 전 가치 사슬을 유럽에 구축, 리튬을 현지 조달할 수 있다는 의미라는 게 벌칸에너지의 설명이다. 새로운 시설에서 확보한 염화리튬은 프랑크푸르트 회히스트에 있는 중앙 리튬 전기분해 최적화 공장(Central
[더구루=정등용 기자] 글로벌 투자은행(IB) 골드만삭스가 리튬 가격의 추가 하락을 전망했다. 리튬 원석인 스포듀민의 가격 하락이 영향을 미칠 것이란 분석이다. 골드만삭스는 23일 투자 노트를 통해 “스포듀민 가격 하락으로 중국 내 통합 리튬 화학 생산업체들의 원가 지원이 감소하면서 리튬 가격의 추가 하락이 예상된다”고 밝혔다. 실제로 스포듀민 현물 가격은 올해 들어 75% 이상 하락해 현재 톤당 1650달러(약 200만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 밖에 중국의 화학 제품 가격 중 수산화리튬의 경우 톤당 1만9400달러(약 2500만원), 탄산리튬의 경우 톤당 2만400달러(약 2600만원)로 비슷하게 하락한 모습을 보였다. 골드만삭스는 “현재 중국 내 리튬 가격이 70% 넘게 하락했지만 전기차 시장 성장 둔화에 따른 공급 증가의 영향은 아직 시장에 충분히 반영되지 않았다”고 분석했다. 중국 내 리튬소재 가격은 이미 하락세를 면하지 못하고 있다. 중국 시장조사기관 윈드에 따르면 11월 둘째주 기준 중국 내 탄산리튬 가격은 톤당 15만 위안(약 2700만원), 수산화리튬 가격은 톤당 14만 위안(약 2500만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11월 탄산리튬과 수산화리튬 가
[더구루=홍성일 기자] 애플의 핵심 공급망 업체인 중국의 럭스쉐어(Luxshare Precision Industry)가 홍콩 증권거래소(HKEX)에 2차 상장을 신청했다. 럭스쉐어는 이번 상장을 통해 고객사 다변화와 기술 경쟁력 강화에 필요한 자본을 확보한다는 목표다. [유료기사코드] 20일 홍콩 증권거래소에 따르면 럭스쉐어는 18일(현지시간) HKEX에 상장 신청 서류를 제출했다. 럭스쉐어는 현재 중국 선전거래소에 상장돼 있으며, 이번에 HKEX에서는 2차 상장을 진행하게 됐다. 2차 상장은 기존에 상장된 거래소 외 새로운 거래소에 상장하는 것으로 자금조달, 시장 평가, 거래량 등 다양한 이유로 추진되고 있다. 2차 사장은 이미 상장된 기업을 대상으로 하는 만큼 1차 상장에 비해 심사가 상대적으로 덜 엄격해, 빠른 상장이 가능하다. 럭스쉐어는 중국 본토 기업 중 유일한 아이폰 조립 업체로, 에어팟과 비전프로 헤드셋 등 애플 제품을 다수 생산하고 있다. 럭스쉐어는 대만 위스트론(Wistron) 중국 쿤산 공장을 인수하며 아이폰 생산을 시작했다. 2024년 기준 아이폰 70% 가량은 폭스콘이 생산하고 있으며, 2대 생산업체인 럭스쉐어는 25%를 생산하고 있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글로벌 전자건강기록(Electronic Health Records, EHR) 솔루션 기업 에픽시스템즈가 마이크로소프트(MS)의 자회사와 손잡고 인공지능(AI) 기반 자동 문서 작성 도구를 출시한다. 에픽시스템즈가 뒤늦게 AI 기능을 추가하지만, EHR 시장 지배력을 앞세워 점유율을 빠르게 끌어올릴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유료기사코드] 20일 업계에 따르면 에픽시스템즈는 MS의 의료솔루션 자회사 뉘앙스(Nuance), 의료용 음성 인식 AI 솔루션 기업 에이브릿지(Abridge)와 손잡고 새로운 의료용 AI 자동 무선 작성 도구를 개발하고 있다. 의료용 AI 자동 무선 작성 도구는 AI스크라이브라고 불린다. 에픽시스템즈의 AI스크라이브는 기존 EHR 솔루션에 뉘앙스와 에이브릿지의 기능을 탑재하는 형태로 개발되고 있다. 구체적인 작동 방식은 공개되지 않았지만 에이브릿지의 AI 음성 필사 기능을 바탕으로, 자동으로 의료기록을 작성하고 이를 바탕으로 의료 전 과정에서 작성되는 문서를 자동으로 작성해주는 형태가 될 것으로 보인다. 에픽시스템즈는 이미 일반적인 AI스크라이브 시장이 포화 상태에 있는만큼 더욱 강력한 자동화 솔루션이 필요하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