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진유진 기자] 인도 최대 재벌 아다니 그룹이 세계 최대 규모의 구리 공장 1단계 가동에 돌입했다. 인도의 구리 수입 의존도를 낮추고 국가적 에너지 전환 목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아다니 엔터프라이즈 자회사인 쿠치 코퍼는 28일(현지시간) "첫 번째 음극 배치를 고객에게 전달해 인도 구자라트주(州) 문드라에 위치한 12억 달러(약 1조6183억원) 규모의 구리 공장 1단계를 시운전했다"고 밝혔다. 이번 가동으로 연간 50만t의 구리를 생산한다. 운영사인 쿠치 코퍼는 2단계에 걸쳐 구리 공장 건설을 추진하고 있다. 오는 2029년 3월까지 연간 100만t의 생산 능력을 달성할 계획이다. 주로 정제된 구리 음극과 봉 외에 △금 △은 △셀레늄 △백금 △황산 등 부산물도 생산한다는 방침이다. 이번에 건설되는 구리 공장은 친환경적 지속가능성과 효율성을 우선시한다. 인도에서 가장 효율적인 구리 제련소 중 하나로, 온실가스 배출량을 낮추기 위해 에너지 믹스에서 재생 에너지 비중을 늘리고 친환경 전력 옵션을 모색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아다니 그룹은 막대한 투자를 통해 자원 거래와 물류, 재생 에너지, 인프라 등 에너지 전환 분야에서 강력한 입지를 확보하고 있
[더구루=정등용 기자] 인도네시아 광산 업체 프리포트 인도네시아(PTFI)가 정부에 구리 정광 수출 면허에 대한 연장을 요청했다. 프리포트 인도네시아가 건설 중인 세계 최대 규모의 구리 공장이 오는 6월 가동을 앞둔 가운데 수출 면허가 오는 5월 만료되기 때문이다. 28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토니 웨나스 PTFI 사장은 최근 CNBC 인도네시아와의 인터뷰에서 “정부에 오는 5월 만료되는 구리 정광 수출 면허의 연장 조치를 요청했다”고 밝혔다. PTFI는 현재 인도네시아 동부 자바 그레식 JIIPE 경제특구에 세계 최대 규모의 구리 제련소를 짓고 있다. 오는 5월 말까지 완공 후 6월부터 본격 가동에 들어간다. 다만 100% 가동까지는 다소 시일이 걸릴 전망이다. 웨나스 사장은 “신규 구리 제련소는 오는 8월까지 50%의 생산량을 달성한 후 올해 말쯤은 돼야 100% 가동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그때까지 남은 6개월 동안만이라도 생산 물량 일부는 수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웨나스 사장은 정부가 구리 정광 수출 면허를 연장해주지 않을 경우 PTFI의 생산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국가 수입의 잠재적 감소에도 부정적 요인이 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그는 “약
[더구루=정등용 기자] 중국 CATL과 인도네시아 국영 광산기업 안탐이 내년 니켈 제련소 착공에 들어간다. 해당 니켈 제련소에는 친환경 기술 도입이 추진된다.
[더구루=진유진 기자] 포스코가 투자한 호주 광산업체 필바라 미네랄스(이하 필바라)가 중국 간펑리튬과 손잡고 리튬 제련 공장 설립을 추진한다.
[더구루=진유진 기자] 인도 정부가 세계 2위 규모 리튬 매장지를 재입찰한다. 이를 통해 인도 전기차 산업 육성에 힘을 싣는다는 방침이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인도 정부는 최근 "인도 북부 잠무와 카슈미르에 위치한 총 7개의 중요 광구에 대해 복합 라이센스로 3차 경매를 진행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 1차 경매에서 단 두 건의 입찰만 받은 데 따른 것이다. 입찰은 오는 5월 14일 마감된다. 이 광구에는 리튬 외에도 △글라우코나이트 △흑연 △니켈 △칼륨 △티타늄 등이 인도 비하르와 자르칸드, 타밀 나두, 우타르 프라데시, 잠무 카슈미르 연방 직할지에 걸쳐 있다. 인도 정부는 이번 재입찰이 자국 전기 자동차(EV) 산업 육성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리튬은 전기차 배터리의 핵심 원자재다. 인도에너지저장연맹에 따르면 오는 2027년 인도에서 전기차가 634만 대 판매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지난 2021년 인도에서 판매된 전기차(약 33만 대)의 19배 이상이다. 인도 정부는 오는 2030년까지 전기차 보급률을 30%로 확대한다는 목표다. 앞서 인도 지질조사국(GSI)은 지난해 2월 잠무 카슈미르 지역에 리튬 590만t이 매장돼 있는 것을
[더구루=정등용 기자] 리튬 광산 기업 SQM(Sociedad Quimica y Minera de Chile)과 칠레 국영 광업기업 코델코(Codelco)의 리튬 파트너십 체결이 목전에 둔 가운데 SQM 2대 주주인 중국 리튬 기업 텐치 리튬(Tianqi Lithium)이 주주 투표를 요구하고 나섰다. 협상의 명확성이 부족하다는 이유에서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사우디아라비아가 광산 부문 활성화를 위해 인센티브를 확대한다. 24일 대외경제정책연구원에 따르면 사우디아라비아 산업광물자원부는 투자부와 협력해 국내 광물 탐사 지원을 목표로 6억8500만 리얄(약 2500억원) 규모의 새로운 재정 인센티브를 출시했다. 이는 사업 초기 단계 기업의 위험을 줄이고 해당 분야에 대한 투자를 촉진하기 위한 조치다. 정부의 재정 인센티브는 사우디아라비아 내에서 광물 자원 탐사에 관심 있는 기업을 지원하도록 설계됐다. 특히 현지 인력의 전문성 육성에 의지를 보이는 기업에 중점을 뒀다. 이는 지속 가능한 광산 산업의 발전을 추구하는 사우디아라비아의 의지를 보여주는 것이다. 5년 미만의 유효한 탐사 라이센스를 보유한 기업은 라이센스 당 최대 7500만 리얄(약 280억원)의 지원을 받을 수 있으며, 기업 당 최대 15개 라이센스가 지원된다. 신청 기업은 구리, 리튬, 희토류 원소와 같은 중요 광물 탐사에 우선 순위를 둬야 한다. 또한 신청 기업은 광물 탐사 관련 전문 지식 및 그린 필드 탐사 실적이 있어야 하고, 계약 시 현지 공급업체를 이용해야 한다.
[더구루=정등용 기자] 미국이 호주 희토류 개발업체 두 곳에 1조원이 넘는 자금을 지원한다. 세계 최대 희토류 생산 국가인 중국을 대체하고 호주를 비롯한 서방 국가들과의 공급망 동맹을 강화하기 위한 포석으로 해석된다. 호주 스트래티직 머티리얼즈(ASM)은 21일(현지시간) 미국 수출입은행(EXIM)으로부터 시드니 북서쪽 더보 희토류 프로젝트 건설을 지원하기 위한 최대 6억 달러(약 8000억원)의 부채 자금 조달 패키지 투자의향서(LoI)를 받았다고 발표했다. 브라질에서 칼데이라 희토류 프로젝트를 개발 중인 메테오릭 리소스(Meteoric Resources)도 미국 수출입은행으로부터 2억5000만 달러(약 3400억원)의 예비 지원을 제공 받기로 했다고 밝혔다. ASM과 메테오릭 리소스가 투자 받는 금액은 총 8억5000만 달러(약 1조1400억원)에 이른다. 이 같은 소식이 알려진 후 ASM 주가는 한때 1.65호주달러로 39% 급등한 이후 1.40호주달러로 내려왔고, 메테오릭 리소스 주가도 0.2425호주달러로 1% 상승했다. 더보 희토류 프로젝트는 경금속 및 중금속 희토류 산화물을 생산한다. ASM은 더보 프로젝트 건설과 관련해 이미 호주 정부로부터 2
[더구루=정등용 기자] 니켈 보유·생산 세계 1위 국가인 인도네시아가 니켈 가격 제한에 나설 전망이다. 니켈 시장 내 지배력을 강화해 글로벌 가격을 통제하겠다는 의도가 깔려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21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셉티안 하리오 세토 인도네시아 해양투자조정부 투자·광물조정차관은 니켈 가격을 t(톤)당 1만8000달러 미만을 유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인도네시아는 글로벌 니켈 시장의 압도적인 선두주자로서 가격에 큰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최근엔 인도네시아의 니켈 광산 생산량 할당 승인 절차가 지연된다는 소식이 전해지며 공급에 대한 시장 우려가 높아졌고, 이는 니켈 가격 상승으로 이어지기도 했다. 실제 니켈 가격은 지난 2월 중순부터 전월 대비 8.71% 상승하며 반전의 모습을 보이기 시작했다. 이어 3월 첫째 주에 3.53% 상승한 이후 지난 13일 단기적으로 정점을 찍고 정체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전기차 시장이 급속도로 성장하면서 니켈은 한때 t당 4만3000달러까지 치솟았다. 그러나 작년 하반기부터 시작된 전기차 수요 둔화와 공급 과잉이 맞물리며 하락세를 거듭했고, 지난달 6일엔 1만5620달러까지 내려갔다. 전문가들은 현재 상황이 지난해
[더구루=진유진 기자] 세계 2위 리튬 생산업체인 칠레 SQM이 영국 수처리 기업인 샐리니티 솔루션즈(Salinity Solutions)에 투자를 단행했다. SQM이 이를 통해 리튬 최대 생산지인 살라르 데 아타카마 염호에서 나오는 폐수 회수율을 높일 방침이다.
[더구루=진유진 기자] 세계 2위 구리 생산국인 페루의 지난 1월 생산량이 다소 줄었다. 최근 구리 값이 급격하게 상승하고 있는 가운데 페루의 생산량 감소가 영향을 줄지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페루 에너지광업부는 19일(현지시간) 지난 1월 페루의 구리 생산량이 전년 동기 대비 1.2% 감소한 약 20만5375t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전달 생산량인 25만5000t보다는 5만t 가까이 줄어든 수치다. 페루 에너지광업부는 주요 광산의 생산량이 줄어든 탓이라고 설명했다. 실제로 중국 광산업체인 MMG가 운영하는 라스 밤바스 광산의 경우 같은 기간 생산량이 17% 줄었고, 미국 광산업체인 프리포트 맥모란이 관리하는 세로 베르데 광산의 구리 생산량은 13.4% 감소했다. 다만 향후에는 구리 생산량이 완만하게 회복될 것으로 봤다. 로물로 무쵸 마마니 에너지광업부 장관은 "페루의 구리 생산량이 지난해 276만t에 이어 올해 300만t에 이를 것"이라고 말했다. 페루의 구리 생산량이 줄면서 구리 가격 상승으로 이어질지 주목되고 있다. 미국 골드만삭스는 보고서를 통해 올해 구리 가격이 t당 1만 달러(약 1338만원)에 달할 것으로 내다봤으며, 미국 씨티은행은 내년 가격이
[더구루=진유진 기자] LG에너지솔루션 리튬 공급사인 캐나다 광물업체 아발론 어드밴스드 머트리얼즈(Avalon Advanced Materials)가 온타리오 리튬 가공 공장 설립을 위한 자금 조달에 성공했다. 아발론이 글로벌 전기차 배터리 시장에서 중요한 리튬 공급 플레이어로서의 입지를 가속화할 것으로 분석된다.
[더구루=김예지 기자] 에어버스(Airbus)와 캐세이퍼시픽항공(Cathay Group, 이하 캐세이 그룹)이 지속가능항공연료(SAF) 산업 육성을 위해 손을 맞잡았다. 양사는 아시아 및 전 세계 SAF 생산 확대를 위한 공동 투자에 나서며, 항공 산업의 탈탄소 전환 가속화에 박차를 가할 전망이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인공지능(AI) 스타트업 앤트로픽(Anthropic)이 구글과 대규모 컴퓨팅 인프라 도입 논의를 시작했다. 추가 자금을 확보한 앤트로픽이 본격적으로 대규모 AI 인프라 확보에 나서는 모양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