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일 기자] 일본의 완성차 업체 혼다가 캐나다에 전기차 생산 공장 건설을 검토하고 있다. 혼다는 자체 배터리 공장 건설도 추진해 생산 시스템을 구축할 것으로 보인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이란이 재생 에너지 분야를 강화하고 있다. 신재생 에너지 발전소 개발과 새로운 발전소 통합을 지원하기 위해 국가 전력망 확장 프로그램을 추진한다.
[더구루=정등용 기자] 싱가포르 판아시아메탈스(PAM)가 남미 최대 리튬 프로젝트를 인수한다. 올초 중에 지구물리학 조사와 채광 작업을 시작할 계획이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파나마 운하가 가뭄으로 인해 평년 대비 6피트(약 1.8m) 낮은 수위를 기록하면서 물류난이 더욱 가중될 전망이다. 가뭄 해결책으로 '댐건설, 인공호수, 인공강우' 등의 프로젝트가 거론되나 복잡한 과정과 고비용이 변수로 작용한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세계 최대 해양 시추선사 발라리스(Valaris)가 브라질 국영 석유회사 페트로브라스에 초심해 드릴십(원유시추선)을 용선한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전 세계 카메라 시장의 90%를 점유하고 있는 니콘, 캐논, 소니가 인공지는(AI) 생성 가짜 이미지(딥페이크,deepfake)에 대한 대대적인 대응에 나섰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캐나다 시그마리튬이 브라질에서 역대 다섯 번째 리튬 선적을 완료했다. 친환경 리튬 2만2000톤(t)을 글렌코어에 공급했다. 리튬 사업의 성과를 올리며 매각을 앞두고 몸값을 높일 것으로 보인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일본 이시카와현 노토(能登) 반도 지역에서 강진이 발생했으나 일본 도시바가 현지 공장 건설에 순항하고 있다. 무라타 제작소(이하 무라타)도 적층세라믹콘덴서(MLCC) 공급에 문제가 없는 가운데 일본에 투자를 집중하고 있는 TSMC에 우려의 시선이 제기된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일본 정부가 독일 머크가 포토레지스트 세계 1위 기업 JSR을 인수하려고 하자 이를 막기 위해 국유화를 결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더구루=한아름 기자] 베트남 제약사 이멕스팜(Imexpharm)이 현지에서 거버넌스(기업지배구조)가 좋은 기업 톱텐에 들었다. 이멕스팜이 탄탄한 펀더멘털과 지속성장가능성을 인정받으면서 일찌감치 투자한 SK그룹이 결실을 맺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더구루=정예린 기자] 중동 주요 국가들이 수소 산업 선점에 나섰다. '오일 머니'를 앞세워 대규모 생산능력을 확보, 석유에서 수소 중심으로 청정에너지 전환을 가속화한다는 방침이다.
[더구루=정예린 기자] 토요타가 자동차용 첨단 반도체 시장에 도전장을 내민다. 일본 주요 완성차·부품 기업들과 연합전선을 구축, 기술 우위를 선점한다는 계획이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세계 1위 배터리 기업인 중국 CATL(寧德時代·닝더스다이)가 중국 리튬 배터리 소재 공급업체 캔맥스 테크놀로지스(Canmax Technologies, 이하 캔맥스)의 지분에 투자하며 리튬 배터리 소재 확보를 늘린다. 원재료·소재·셀·팩·재활용까지 수직 계열화된 밸류체인(생산부터 유통까지 산업 전반의 구성) 구조에 집중하고 있는 CATL은 배터리 소재 확보로 공급망 구축과 원가 경쟁력을 강화한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수소연료전지 기업 블룸에너지(Bloom Energy)가 약 3조6000억원 규모의 자금 조달에 성공했다. 강화된 자본을 기반으로 연료전지 발전용량 확대에 박차를 가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