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환 기자] 홍콩계 투자회사 SC로위가 서울 강남 고급 아파트 개발 사업에 투자했다. SC로위는 30일 "서울 강남 고급 아파트 단지 개발 사업에 대한 2억5000만 달러(약 3500억원) 규모 재고금융 거래를 완료했다"고 밝혔다. 구체적인 투자처는 공개되지 않았다. 재고금융은 기업이 재고를 담보로 활용해 자금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단기 차입의 한 형태다. SC로위는 1억5000만 달러(약 2100억원)를 직접 투자하고, 나머지 1억 달러(약 1400억원)를 국내 22개 기관에서 조달했다. 이수천 SC로위 공동 창립자 겸 최고투자책임자(CIO)는 "이번 거래는 SC로위의 구조화 및 신디케이트론 역량에 대한 한국 기관 투자자의 신뢰를 보여주는 것"이라며 "아시아 주요 도시 중심지의 우량 자산에 대한 금융 솔루션을 제공하는 데 선도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고 전했다. SC로위는 홍콩에 기반을 둔 '스페셜 시츄에이션' 투자 전문 운용사다. '스페셜 시츄에이션' 투자는 자산 본연의 가치나 경쟁력과 별개로 예기치 못한 이벤트로 저평가를 받거나 어려워진 자산에 투자하는 것을 말한다. SC로위 운용자산은 15억 달러(약 2조1000억원) 규모다. SC로위는
[더구루=홍성환 기자] 국내 사모펀드(PEF) 운용사 DS프라이빗에쿼티의 루마니아 소형모듈원전(SMR) 사업 지분 투자가 막바지 단계에 진입했다. 루마니아 원자력공사(Nuclearelectrica)는 오는 9월 3일(현지시간) 임시 주주총회를 열고 DS프라이빗에쿼티, 노바 파워 앤드 가스(NOVA POWER & GAS) 간 주주 협약을 승인한다고 28일 밝혔다. DS프라이빗에쿼티는 DS자산운용의 자회사다. 지난 2022년 미국 뉴스케일파워에 투자하는 등 미래 신사업으로 꼽히는 SMR에 주목하고 있다. DS프라이빗에쿼티는 루마니아 원자력공사 자회사인 로파워(RoPower) 지분 약 33%를 인수할 예정이다. 로파워는 루마니아 원자력공사와 현지 민간 에너지 기업 '노바 파워 앤드 가스'가 50%씩 출자해 설립한 합작사다. DS프라이빗에쿼티는 앞서 2023년 7월 루마니아 원자력공사와 도이체슈티 SMR 개발을 위해 로파워에 7500만 유로(약 1200억원)를 투자하는 계약(Term Sheet Agreement)을 체결한 바 있다. <본보 2023년 7월 6일자 참고 : [단독] DS프라이빗에쿼티, 루마니아 소형원전 개발업체 1100억 투자> 이
[더구루=홍성환 기자] 대만 라인페이가 전자결제 사업자 라이선스를 획득했다. 라인페이는 대만 금융감독위원회(FSC)로부터 전자결제 사업자 허가를 받았다고 26일 밝혔다. 이에 따라 전자결제 자회사를 설립할 예정이다. 전자결제 사업자 라이선스를 획득으로 존 간편결제를 비롯해 현금 이체와 출금, 은행 계좌 연동, 개인정보 활용 등 사업 범위를 더욱 확대할 수 있게 됐다. 라인페이는 그동안 제3자 간편결제 서비스만 제공해 왔다. 라인페이는 "전자결제 사업자 승인은 대만 결제 시장에서 회사 네트워크 발전의 중요한 이정표"라며 "전자결제 서비스 공식 출시를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전했다. 라인페이는 앞으로 크로스보더 결제 사업 진출도 추진할 방침이다. 크로스보더 결제는 국경 간 결제로, 해외 고객이 자국에서 사용하는 결제 수단으로 편리하게 결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서비스다. 라인페이는 지난 2015년 8월 처음 대만 시장에 진출했다. 모회사 라인야후(LY)를 비롯해 타이페이푸본은행·타이완유니온은행 등이 주요 주주로 있다. 현재 대만 내 라인페이 이용자수는 1300만명에 이르며, 가맹점은 60만 곳에 갈한다. 지난해 거래 건수는 11억3600만 건으로 전년 대비 23
[더구루=홍성환 기자] 캐나다 퀘백주 연기금(CDPQ)이 영국 원자력 발전 사업에 투자했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삼성전자 투자 전문 자회사 삼성넥스트가 AI를 활용해 영상을 분석·기억하는 플랫폼을 개발하는 AI 스타트업 '메모리즈AI(Memories.ai)'에 투자했다. 메모리즈AI는 25일 800만 달러(약 110억원) 규모 시드 자금조달 라운드를 완료했다고 밝혔다. 이번 라운드는 미국 실리콘밸리 벤처캐피털(VC) 수사벤처스가 단독으로 주선했다. 주요 투자자로는 △삼성넥스트 △크레인 벤처 파트너스 △퓨전펀드 △시드캠프 △크리에이터벤처스 등이 있다. 메모리즈AI는 가상현실(VR) 헤드셋인 '퀘스트'와 AI 안경인 '레이밴 스토리' 등을 개발하는 메타 리얼리티 랩스 연구원들이 설립한 스타트업이다. 세계 최초 '초대형 시각화 메모리 모델(Large Visual Memory Model·LVMM)'을 구축하고 있다는 것이 이 회사의 설명이다. 현재 AI 시스템은 짧은 영상을 실시간으로 분석할 수 있지만 15~60분 이상 지나면 해당 내용을 기억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시각적 기억력 부족으로 인해 AI는 맥락을 이해하고 반복되는 패턴을 파악하며 시간 경과에 따른 변화를 추적할 수 없다. 메모리즈AI는 LVMM을 통해 AI에 비디오 메모리 계층을
[더구루=정등용 기자] 유럽연합(EU)이 화석연료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바이오가스에 주목하는 가운데, 삼성생명이 투자한 프랑스 자산운용사 메리디암(Meridiam)이 큰손으로 부상하고 있다.
[더구루=정등용 기자] 미래에셋자산운용의 미국 자회사 글로벌X가 5개 산업에 투자하는 ETF 상품을 출시했다. 글로벌X는 23일(현지시간) 소비재, 통신 서비스, 정보 기술, 필수 소비재, 에너지 등 5개 산업별 ETF로 구성된 ‘퓨어캡SM(PureCapSM)’을 출시했다. 퓨어캡SM은 △글로벌X 퓨어캡SM MSCI 소비재 ETF(GXPD) △글로벌X 퓨어캡SM MSCI 통신 서비스 ETF(GXPC) △글로벌X 퓨어캡SM MSCI 정보 기술 ETF(GXPT) △글로벌X 퓨어캡SM MSCI 필수 소비재 ETF(GXPS) △글로벌X 퓨어캡SM MSCI 에너지 ETF(GXPE)로 구성됐다. 총 보수는 모두 연 0.25%다. 스콧 헬프스타인 글로벌X 투자전략 담당 책임자는 “이 제품들은 투자자가 섹터 노출을 얻는 다른 방법을 제공하며, 시장의 변화에 맞춰 포트폴리오를 조정하고 섹터 내 최대 기업의 상승 잠재력을 포착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고 설명했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반도체 기업 엔비디아가 이스라엘 임상 인공지능(AI) 플랫폼 에이아이닥(Aidoc)에 투자했다. 에이아이닥은 24일 1억5000만 달러(약 2100억원) 규모 신규 투자를 유치했다고 밝혔다. 이번 라운드는 제너럴카탈리스트와 스퀘어페그가 공동으로 주선했다. 엔비디아 산하 벤처캐피털(VC) 엔벤스가 참여했다. 이와 함께 하트포드헬스케어, 머시, 셔터헬스, 웰스팬헬스 등 미국 주요 4대 의료기관도 자금을 댔다. 에이아이닥은 2016년 설립된 임상 AI 분야 선도 기업이다. 이 회사는 이스라엘계 기업으로 미국 뉴욕에 본사를 두고 있다. 현재 150여개 의료기관에서 매년 4500만명 이상 환자의 진료를 지원하고 있다. 3년 내 1억명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이 회사가 개발한 임상 AI 응용프로그램 케어는 AI 기반 커뮤니케이션과 실시간 이미지 및 데이터 공유 등을 통해 의료팀이 임상적 의사 결정을 신속하고 간소화하는 데 도움을 준다. 이미 미국 의품의약국(FDA)의 승인을 받았다. 에이아이닥은 엔비디아와 협력해 케어를 시장에 출시하고, 고성능 컴퓨팅과 AI 개발 플랫폼과 결합해 성능을 개선한다는 방침이다. 이 회사는 또 임상 AI 운용체제인
[더구루=김나윤 기자] 영국 배터리 기업 아나파이트(Anaphite)가 한국 시장 확대를 위해 영국계 컨설팅 기업 인트라링크(Intralink)를 파트너로 선임했다고 22일 밝혔다. 이번 협업은 세계 2위 전기차(EV) 배터리 생산국인 한국에서의 상업화 기회를 확대하고 전략적 파트너십을 모색하기 위한 행보의 일환이다. 아나파이트는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한국 내 기존 관계를 강화하는 동시에 신규 고객 발굴 사업·사업 확장을 가속화할 계획이다. 인트라링크는 한국 배터리 생태계에 대한 심층 분석·현지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아나파이트의 시장 진입을 지원한다. 조 스티븐슨(Joe Stevenson) 아나파이트 최고경영자(CEO)는 "한국의 배터리 선도 기업들은 확장 가능한 건식 코팅 전구체(DCP, Dry-Coated Precursor) 기술을 필요로 하고 있다"며 "당사의 기술은 핵심 재료와 엔지니어링 장벽을 극복해 각 고객의 성능, 비용에 맞춘 맞춤형 필름 형성 건조 분말을 제공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아나파이트의 DCP 기술은 △에너지 소비 감소 △제조 비용 절감 △용매 증발 단계 제거 △공장 설치 공간 최소화 등의 이점을 제공하며 업계의 건식 공정 전환을 가
[더구루=정등용 기자] 엔비디아가 대형언어모델(LLM) 개발사 레카 AI(Reka AI)에 투자했다. 레카 AI의 풍부한 인력 풀에 주목했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반도체 기업 엔비디아가 AI 및 자동화 기술 기반 소재 연구·개발(R&D) 스타트업 '래디컬AI(Radical AI)'에 투자했다.
[더구루=정등용 기자] 베트남 최대 자산운용사 드래곤 캐피탈이 내수시장을 살릴 기업 3곳을 선정했다. 레 안 뚜언 드래곤 캐피탈 투자부문 이사는 최근 투자자들에게 보낸 이메일 서신을 통해 베트남 내수시장을 살릴 자국 기업으로 호아팟 그룹, 빈 그룹, FPT를 꼽았다. 호아팟 그룹은 베트남 철강 대기업이다. 최근에는 베트남 건국 이래 최대 인프라 프로젝트 중 하나인 북남 고속철도 사업에 참여 의지를 밝혔다. 빈 그룹은 베트남 최대 규모 민간 기업으로 호텔과 리조트 등 부동산 및 관광 산업을 주력으로 하고 있고 자동차도 만든다. 총 계열사 수는 50여개에 이른다. FPT는 베트남 최대 IT 기업으로 기술, 통신, 교육 분야에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일본 IT기업 넥스트어드밴스커뮤니케이션을 인수하며 해외시장 확대에 힘을 쏟고 있다. 뚜언 이사는 세 기업을 언급하며 내수시장 활성화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수출이 늘고 외국인 직접 투자(FDI)가 많아져도 베트남 경제 성장의 원동력은 결국 내수시장에 있다는 것이다. 뚜언 이사가 근거로 든 사례를 보면 지난 2011년부터 2012년까지 수출은 35~40% 성장했지만 당시 내수 경제는 침체를 겪었다. 또한 FD
[더구루=김예지 기자] BMW가 전기차(EV) 전환에 발맞춰 핵심 원자재 공급망 안정화와 순환경제 구축에 속도를 내고 있다. BMW 그룹 호주 법인이 현지 배터리 재활용 선도기업 에코뱃(EcoBatt)과 손잡고 EV 폐배터리 재활용 프로그램을 공식 출범했다. 특히 에코뱃의 시설은 배터리가 기기에 내장된 상태 그대로 파쇄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첨단 기술이 적용돼 주목받고 있다.
[더구루=정예린 기자] 대만 TSMC가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첨단 공정 가격을 내년부터 최대 10% 올릴 것이라는 소식이 나왔다. 인공지능(AI) 수요 급증과 미세 공정 병목이 맞물려 공급 단가 상승이 불가피해지는 가운데, 이번 인상이 삼성전자를 비롯한 글로벌 반도체 업계 전반의 가격 구조 재편으로 이어질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