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김형수 기자] "포트폴리오 전반에 걸친 소비자 사용 후 폐기물(Post-consumer Waste) 발생량을 감축하겠다." [유료기사코드] 베스테 에르마너(Beste Ermaner) 필립모리스 국제면세부문 부사장은 지난 6일(현지 시간) 내년까지 포장재를 100% 재활용 가능한 소재로 전환하고 친환경 선도 기업으로 자리매김하겠다고 밝혔다. 올해 98% 수준인 재활용 가능 소재 기반 포장재 비중을 내년 100%로 끌어올리겠다는 게 그의 목표다. 베스테 에르마너 부사장은 "재생 가능한 소재로 만들어진 포장재 비중은 올해 91%에서 내년 95%로 4%p 높이겠다"면서 "같은 기간 연소·비연소 제품 포장재 무게를 지난 2018년 대비 15% 줄이겠다"고 말했다. 실제 필립모리스는 알루미늄 소재를 종이로 변경하고, 불필요한 플라스틱 포장을 없애 포장을 간소화하는 작업이 한창 진행 중이다. 이를 통해 오는 2040년 넷제로(Net Zero·탄소중립) 달성 비전에 속도를 내겠다는 방침이다. 필립모리스는 글로벌 곳곳에서 ESG 경영에 힘을 쏟고 있다. 이탈리아, 아르헨티나, 멕시코, 리투아니아, 포르투갈 등 해외 공장에 총 9.5MW 규모의 태양광 발전 시설을 도
[더구루=홍성일 기자] 테슬라 자율주행 기술 핵심 연구원이 아마존 산하 자율주행기술회사 죽스(Zoox)로 이직했다. 자율주행차 인재 영입을 둘러싸고 경쟁이 치열해지는 모양새다. [유료기사코드] 12일 업계에 따르면 죽스는 정 가오(Zheng Gao) 테슬라 오토파일럿 하드웨어 및 제품 디자인-전자 부문 책임자를 영입했다. 정 가오는 죽스에서도 테슬라에서 수행했던 역할과 같이 하드웨어 엔지니어링 총괄 임무를 수행한다. 정 가오는 중국 출시의 전자 하드웨어 엔지니어링 전문가로 파워테스트, 플렉스트로닉스를 거쳐 2007년 애플에 합류했다. 애플에서 제품 디자인 부문 관리자로 2016년까지 근무한 뒤 테슬라에 하드웨어 엔지니어링 부문 관리자로 합류했다. 정 가오는 2021년부터는 오토파일럿 하드웨어 부문을 이끌며 FSD(Full Self Driving) 기술 개발을 주도했다. 죽스는 정 가오 영입으로 자율주행차 기술 개발에 속도를 낸다. 죽스는 샌프란시스코와 라스베이거스 등에서 스티어링 휠(핸드)과 페달이 없는 완전 자율 로보택시를 테스트하고 있다. 정 가오의 이직에 대해 업계에서는 '중요한 시점에 이뤄진 이례적 이직'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테슬라가 내년에는 완전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실리콘밸리 실리콘 포토닉스(광반도체) 스타트업 아야랩스(Ayar Labs)가 엔비디아·인텔·AMD 등 글로벌 반도체 기업으로부터 투자를 유치했다. [유료기사코드] 아야랩스는 1억5500만 달러(약 2200억원) 규모 신규 자금조달 라운드를 완료했다고 12일 밝혔다. 이번 라운드에서 기업가치는 10억 달러(약 1조4300억원)로 평가받았다. 엔비디아·인텔캐피탈·AMD 등이 투자했다. 이외에 3M벤처스, 오토파일럿 등이 신규 투자자로 참여했다. 미국 캘리포니아주(州) 새너제이에 본사를 둔 아야랩스는 실리콘 포토닉스 솔루션 기업이다. 실리콘 포토닉스는 광학 소자 기술이라고도 불린다. 전기 신호를 구리 선을 통해 전달하는 일반적인 반도체와 달리 빛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술이다. 더 빠르고, 에너지 효율적이며, 저렴하게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게 한다. 실리콘 포토닉스는 웨이퍼를 기반으로 광학 소자를 제작해 만든다. 실리콘 기판 위에 도파로, 광결합기, 광원, 광검출기와 같은 다양한 광학 소자를 미세하게 집적해 광신호를 생성, 전송, 변환, 검출하는 기능을 구현한다. 이에 최근 삼성전자, 엔비디아, TSMC, 인텔 등 세계적인 반도체 기
[더구루=정등용 기자] 미국 연방 대법원이 엔비디아에 대한 주주들의 집단소송을 허용했다. 엔비디아 측은 이번 집단소송이 지난 1995년 제정된 증권민사소송개혁법(PSLRA)의 기준에 충족하지 않는다고 주장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유료기사코드] 미 연방 대법원은 11일(현지시간) 가상화폐 매출 공시 부실과 관련해 엔비디아 주주들이 제기한 집단소송을 허용했다. 미 연방 대법원은 이번 집단소송을 중단하기 위한 엔비디아 측 변론을 지난달 심리했지만, 엔비디아 측 논리가 잘못됐다고 판단했다. 이에 엔비디아의 항소를 기각하고 집단소송을 계속 진행하도록 결정했다. 앞서 엔비디아 주주들은 지난 2017~2018년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엔비디아의 기록적 매출 성장이 게임용이 아닌 가상화폐 채굴에 쓰인 GPU 판매가 늘어난 영향이라는 점을 숨겼다고 지적하며 집단소송을 제기했다. 부실한 매출 공시로 인해 투자 손해를 봤다는 주장이다. 1심을 맡은 연방 지방법원은 지난 2021년 이 소송을 기각했다. 하지만 제9 순회 연방항소법원은 원고 측의 주장을 받아들여 집단소송을 허용했다. 이에 엔비디아는 항소법원의 판결이 남용되는 투기적 소송의 문을 열어준다며 연방
[더구루=진유진 기자] 캐나다 리튬이온배터리 자원 회수 기업 라이-사이클(Li-Cycle)과 스위스 광산업체 글렌코어(Glencore)가 중단됐던 이탈리아 포르토베스메 폐배터리 재활용 공장 프로젝트를 재개한다. 양사는 여러 악재로 삐걱대던 유럽 최대 규모 폐배터리 재활용 시설 구축에 다시 박차를 가하며 지속 가능한 배터리 공급망을 지원할 것으로 전망된다. [유료기사코드] 11일 업계에 따르면 양사의 전액 출자 자회사 글렌코어 인터내셔널 AG(Glencore International AG)는 이탈리아 포르토베스메 허브 시설 개발을 위해 사전 타당성 조사를 포함한 기술적·경제적 실행 가능성 평가 협력을 재개한다고 발표했다. 이번 연구는 글렌코어가 주도하고 자금을 지원하며, 라이사이클은 기술적 전문성과 지원을 제공할 계획이다. 해당 프로젝트는 글렌코어의 기존 포르토베스메 야금 단지와 라이사이클 특허 기술인 '스포크 앤 허브 테크놀로지(Spoke & Hub Technologies™)'를 활용해 재활용 배터리에서 리튬과 니켈, 코발트 등 핵심 배터리 소재를 생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연간 최대 5만~7만t의 블랙 매스(Black Mass) 또는 최대 36GW
[더구루=김은비 기자] 엔비디아(NVIDIA)가 차세대 인공지능(AI) 가속기에 대한 비전을 발표했다. AI 컴퓨팅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며, 엔비디아의 선도적 위치를 재확인했다는 평가다. [유료기사코드] 11일 업계에 따르면 엔비디아는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2024 국제전자소자학회(International Electron Devices Meeting 2024, 이하 IEDM)'에서 미래형 AI 가속기 설계에 관한 구상안을 공개했다. IDEM은 세계 3대 반도체 학회 중 하나로, ‘반도체 올림픽’이라고 불릴 정도로 세계적윈 권위를 자랑하고 있다. 엔비디아가 제안한 차세대 AI 가속기의 핵심은 실리콘 포토닉스(SiPh) 기술을 활용해 칩 간 연결을 구현하는 방식이다. 하나의 계층(Layer)에는 4개의 그래픽처리장치(GPU) 타일이 배치되는데, 각 GPU 타일은 3개의 SiPh를 통해 연결된다. 즉 하나의 계층 당 12개의 SiPh를 사용하는 셈이다. SiPh를 활용하게 되면 데이터 전송 속도는 더 높아지면서 전력 효율도 극대화할 수 있다. 눈에 띄는 점은 GPU 구성 요소를 수직으로 쌓는 방식인 ‘GPU 적층’ 구조라는 점이다. 이 설계는 각 타일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에어택시 제조업체 조비 에비에이션(Joby Aviation)이 보통주 공모를 통해 약 4300억원을 조달한다. 자본력을 기반으로 전기 수직이착륙 비행체(eVTOL) 상용화에 속도를 높일 방침이다. [유료기사코드] 조비는 10일(현지시간)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공시에서 최대 3억 달러(약 4300억원) 규모로 보통주 공모를 실시한다고 밝혔다. 이는 앞서 지난 10월 공개한 애초 목표액 2억 달러(약 2900억원)에서 1억 달러 증액한 규모다. <본보 2024년 10월 25일자 참고 : 美 조비, '2800억 규모' 보통주 공모…에어택시 상용화 박차> 조비는 주당 8.53달러의 공모가로 최대 3516만9988주를 매각할 예정이다. 조달한 자금을 내년 상용화를 목표로 전기항공기 인증 및 생산에 투입할 계획이다. 조비는 도심항공교통(UAM)에 활용되는 전기항공기의 최장 비행 기록을 보유하고 있으며, 미국 연방항공국(FAA)의 상업 비행용 허가인 G-1 인증을 획득한 UAM 기체 제조 분야 글로벌 선도기업이다. 조비가 개발 중인 전기 수직이착륙 비행체(eVTOL) 기체 S4 모델은 조종사와 승객 4명을 태울 수 있는 모델
[더구루=홍성환 기자] 세계 최대 전자상거래 업체 아마존(Amazon)이 인도 인공지능(AI) 및 제조업 분야에 약 1700억원을 추가 투자할 방침이다. [유료기사코드] 아마존 인도법인은 11일 인도상업무역진흥청(DPIIT)과 인도를 글로벌 제조업 허브로 육성하고 수천개 신규 일자리를 창출하는 것에 협력하는 내용의 양해각서(MOU)를 맺었다고 밝혔다. 아마존은 인도에서 설립한 벤처펀드(Smbhav Venture Fund)에 1억2000만 달러(약 1700억원)를 새롭게 출자한다. 이를 통해 소비재 제조를 디지털화하고 국내외 수요를 충족하는 스타트업에 투자할 방침이다. 이 펀드는 아마존이 인도 기술 스타트업에 투자하기 위해 2021년 설립한 벤처펀드다. 펀드 규모는 이번 신규 투자액을 포함해 3억5000만 달러(약 5000억원)에 이른다. 인도는 세계에서 가장 많고 젊은 인구 층을 보유한 국가다. 탄탄한 소비 시장과 막대한 외국인 투자, 메이크 인 인디아로 대변되는 정부 정책들을 바탕으로 무한한 성장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영국의 토터스 미디어가 발표한 2024년 글로벌 AI 지수에 따르면 인도는 미국에 이어 AI 인재 부문에서 2위를 차지했다. 특히 인도는
[더구루=홍성일 기자] 순다르 피차이(Sundar Pichai) 구글 최고경영자(CEO)가 일론 머스크의 스페이스X의 스타십 우주선을 활용한 '우주 양자 컴퓨팅 클러스터' 아이디어를 제안했다. [유료기사코드] 순다르 피차이 CEO는 10일(현지시간) 엑스(X, 옛 트위터)를 통해 "언젠가 스타십과 함께 우주에 양자 컴퓨팅 클러스터를 만들어야겠다"고 밝혔다. 이 발언은 순다르 피차이 CEO가 엑스에 게재한 구글 양자 칩 '윌로우(Willow)' 소개글에 일론 머스크 CEO가 "Wow"라는 반응을 보이자 이에 답하면서 등장했다. 일론 머스크는 순다르 피차이의 우주 양자 클러스터 아이디어 제안에 "아마 그렇게 될 것"이라며 "적어도 카르다쇼프 척도 2단계 문명에 도달해야 한다. 우리 문명은 아직 1단계 5% 미만에 불과하고 30%에 도달하려면 사막 등 건조한 지역에 태양광 패널을 설치해야한다"고 답했다. 카르다쇼프 척도는 문명 수준을 총 에너지 사용량으로 분류한다. 1964년 소련의 천문학자 니콜라이 카르다쇼프가 제안했다. 2024년 기준 인류 문명은 0.75단계로 1단계에도 도달하지 못했다. 1단계 문명은 지구를 기준으로 태양에서 도달하는 에너지 100%를 이용
[더구루=윤진웅 기자] 테슬라가 슈퍼차저 이용 요금을 인하했다. 글로벌 전기차 충전 시장 장악력 확대를 위한 포석이다. 북미와 유럽 슈퍼차저 네트워크 가격을 조정한 만큼 향후 국내 슈퍼차저 이용 요금 또한 인하될 것으로 기대된다. [유료기사코드] 11일 업계에 따르면 테슬라는 최근 슈퍼차저 이용 요금을 7% 가량 인하했다. 북미는 킬로와트시(kWh)당 0.50달러에서 0.42달러로, 유럽은 kWh당 최대 10센트 낮췄다. 맥스 드 제거(Max de Zegher) 테슬라 충전 부문 총괄은 "전기차 도입을 가속화하고 충전 수입을 확대해 네트워크 확장에 재투자하기 위해 슈퍼차저 이용 요금을 인하했다"고 밝혔다. 이번 이용 요금 인하로 슈퍼차저 고객은 더욱 확대될 전망이다.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의 잇단 테슬라 전용 충전기 연결 방식(NACS·North American Charging Standard) 채택으로 기존 테슬라 고객뿐 아니라 타브랜드 전기차 모델 소유자들의 이용량도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NACS는 테슬라가 2012년 선보인 충전 규격이다. 테슬라는 지난 2022년 11월 슈파차저를 다른 제조사에게도 개방하겠다는 뜻을 밝힌 바 있다. 슈퍼차저 수도 꾸준하
[더구루=홍성환 기자] 민간 우주기업 로켓랩(Rocket Lab)이 미국 국방부의 초음속 기술을 테스트하기 위한 하위궤도(suborbital) 임무를 성공적으로 완료했다. [유료기사코드] 로켓랩은 미국 국방부 MACH-TB(Multi-Service Advanced Capability Hypersonics Test Bed)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초음속 시험 발사를 실시했다고 11일 밝혔다. 이번 임무는 미국 국방부의 기술 성숙을 지원하기 위해 초음속 비행 테스트를 늘리는 것으로 목표로 한다. 로켓랩의 테스트 플랫폼은 탑재량이 크게 증가한 초음속 기술 테스트에 최적화한 첨단 기술을 선보였다. 로켓랩은 "초음속 기술 테스트는 국가에 매우 중요한 필요 사항으로 우리는 테스트 발사를 통해 이 임무를 지원하게 돼 자랑스럽게 생각한다"고 전했다. 지난 2006년 창업한 로켓랩은 일렉트론을 개발하고 2017년부터 상업 발사를 해온 소형 우주 발사체 업계 강자로 일론 머스크의 스페이스X와 비교되고 있다. 본사는 미국에, 발사대는 뉴질랜드에 있다. 2018년 이후 200여개 위성을 궤도에 배치했다. 글로벌 투자은행(IB) 모건스탠리에 따르면 전 세계 우주산업은 2020년 385
[더구루=김형수 기자] 영국 주류기업 디아지오(Diageo)가 캐나다 위스키 양조장 건설 계획에 대한 전면 재검토에 들어갔다. 다음달 취임을 앞두고 있는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펼칠 것으로 전망되는 보호무역주의 정책, 변화한 북미 소비자 음주 트렌드 등에 대한 대응책 마련에 나설 것으로 전망된다. [유료기사코드] 11일 영국 주류전문지 글로벌 드링크스 인텔(Global Drinks Intel) 등 외신에 따르면 디아지오는 캐나다 온타리오주 내 캐내디언 위스키 브랜드 '크라운 로얄'(Crown Royal) 양조장 건설 계획을 일시 중단했다. 미국 등 북미 시장에 대한 위스키 공급량 확대를 위해 지난 2022년 3월 해당 공장 건설 프로젝트에 착수한 지 2년 9개월여 만이다. 디아지오는 당초 2억4500만캐나다달러(약 2470억원) 규모의 자금을 투입해 캐나다 온타리오주 램튼 카운티(Lambton County)에 위치한 약 161만8700㎡ 부지에 크라운 로얄 위스키 양조장을 짓겠다고 발표한 바있다. 램튼 카운티는 미국과 국경을 맞대고 있는 지역이다. 미국 미시간주 디트로이트에서 약 150km 떨어져 있다. 해당 양조장 내에 위스키 증류장, 블렌딩 시설,
[더구루=오소영 기자] 말레이시아 정부가 원전 사업에 대한 타당성조사에 나선다. 관련 부처·기관의 협업을 통해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지침을 준수하고 국제 기준에 부합하는 원전을 건설한다는 계획이다. 에너지 전환에 한 걸음 다가가고자 원전 사업에 다시 시동을 걸었다. [유료기사코드] 21일 말레이시아 에너지전환수자원부(PETRA)와 월드뉴클리어뉴스 등 외신에 따르면 말레이시아는 신규 원전 도입을 위한 타당성조사를 시작한다. PETRA 산하 마이파워 코퍼레이션(MyPOWER Corporation)은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지침에 따라 준비 작업을 주도한다. 각 부처와 관련 기관들이 협업하며 IAEA 마일스톤 접근법(Milestones Approach)을 따른다. 이 접근법은 처음으로 원전 도입을 검토하거나 계획하는 국가를 지원하고자 IAEA에서 권고하는 단계적 접근 방식이다. 원전 준비와 건설, 운영, 폐기 등 단계를 명확히 구분하고, 단계별로 필요한 활동과 고려사항을 제시한다. 제도적 기반 수립과 안전 관리 체계 구축, 인적 자원 개발, 이해관계자 참여 방안 등을 담고 있다. PETRA는 이번 조사를 통해 국제 표준을 충족하는 원전을 개발한다는 계획이
[더구루=정예린 기자] 일본 키옥시아가 포스트 5G·6G 시대를 겨냥한 고용량·고속 플래시 메모리 모듈 시제품을 개발하며 기술 한계를 뛰어넘었다. 대규모 인공지능(AI) 처리, 실시간 데이터 분석, 스마트 제조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할 것으로 기대된다. [유료기사코드] 21일 키옥시아에 따르면 5TB 용량과 초당 64기가바이트(GB) 전송 속도를 동시에 구현한 플래시 메모리 기반 모듈 시제품 개발에 성공했다. 이번 연구는 일본 국가 연구개발기관 '신에너지산업기술개발기구(NEDO)'가 위탁한 '5G 이후 정보통신 시스템 인프라 강화 R&D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진행됐다. 이번 시제품은 기존 D램 기반 메모리에서는 달성하기 어려웠던 대용량과 고속 전송을 동시에 구현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 키옥시아는 각 메모리 보드에 컨트롤러를 체인처럼 연결하는 '데이지 체인' 구조를 적용, 플래시 메모리 수가 많아져도 데이터 전송 속도가 떨어지지 않도록 했다. 데이터를 더 빠르게 읽을 수 있는 '프리페치 기술'을 활용해 신호 왜곡을 보정하며 저전압 신호를 사용하는 기술로 메모리 대역폭을 높였다. 데이터 전송에는 기존 병렬 방식이 아니라 4레벨 전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