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김형수 기자] 한일 롯데가 전기차(EV) 배터리 사업에서 연합전선을 구축, 미국 EV 배터리 소재 시장 동반 진출을 모색하고 있다. 신동빈 롯데 회장의 신뢰를 받는 일본 롯데홀딩스 다마쓰카 겐이치(玉塚元一) 대표는 '미국 배터리 시장 동반진출 방안'을 신 회장에게 제안했다. 바이오에 이어 배터리 소재 등 차세대 성장동력을 중심으로 '원롯데' 로드맵이 확대되고 있다. 26일 업계에 따르면 다마쓰카 겐이치 사장은 신 회장에게 한·일 롯데가 협력해 미국 전기차 배터리 시장을 겨냥한 배터리 소재 사업 공동 추진 방안을 제안했다. 롯데가 미래 신성장 동력으로 낙점한 배터리 사업에 일본 롯데가 가세한다는 게 골자다. 신 회장이 강조하는 '원롯데' 전략이 단순 한일 롯데 통합 경영에서 벗어나 미래 사업에 대한 연합체 구축으로 확장되는 양상이다. 앞서 다마쓰카 겐이치 사장은 지난 1월 니혼게이자이의 인터뷰에서 양국 롯데의 시너지를 토대로 글로벌 사업 확대에 속도를 내겠다고 밝힌 바 있다. <본보 2023년 1월 25일 참고 [단독] "韓日 롯데 인적 교류 추진"…신동빈 회장 '원롯데' 본격화> 일본 내에서 제과 사업을 제외한 제조업을 영위하지 않는 일본
[더구루=김형수 기자] CJ그룹이 미국 뉴저지주 명문대학교 프린스턴대(Princeton University)와 AI(인공지능) 공동 연구에 나선다. 이재현 CJ 회장이 강조하고 있는 'CJ 디지털 혁신’이 구체화되고 있다. 이 회장은 비전 발표를 통해 급변하는 환경에서 성장 정체를 탈피할 특단의 조치로 'AI 디지털 혁신'을 꼽은 바 있다. 24일 미국 뉴저지주 주정부에 따르면 이치훈 CJ그룹 AI 센터장과 크레이그 아놀드(Craig Arnold) 프린스턴대 혁신 부학장은 지난 19일 AI·머신러닝·컴퓨터·정보과학 분야 공동 연구에 관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이번 MOU를 통해 CJ AI센터는 프린스턴대와 △생산 설비 △바이오 엔지니어링 분야 AI 적용 방안에 대한 연구에 나설 전망이다. 신성장동력으로 꼽히는 AI를 라이프 스타일 기업인 CJ그룹에 맞게 활용하는 방법을 모색하기 위해서다. 이날 MOU 체결은 필 머피(Phil Murphy) 미국 뉴저지주지사 방한에 맞춰 이뤄졌다. 특히 손경식 회장과 필 머피 주지사가 지켜보는 가운데 이치훈 AI센터장과 그레이그 아놀드 프린스턴대 혁신 부학장이 서명했다. 필 머피 주지사는 "이번 협의는 뉴저지와 한국의
[더구루=김형수 기자] 롯데호텔 시애틀이 '커플을 위한 시애틀 최고의 호텔'로 선정됐다. 뛰어난 인테리어와 분위기가 호평을 받았다. 롯데호텔 시애틀이 미국 매체로부터 연이어 우수한 평가를 받으며 입지를 굳히고 있다. 23일 미국 경제전문지 포브스(Forbes)는 '커플을 위한 시애틀 최고의 호텔'로 롯데호텔 시애틀을 뽑았다. 포브스는 외부 기고자와 사내 편집자 등이 수행한 면밀한 조사를 토대로 우수 호텔을 선정했다고 전했다. 롯데호텔 시애틀 객실이 커플이 로맨틱한 시간을 보내기에 안성맞춤인 공간이라고 평가했다. 프랑스 디자이너 필립 스탁(Philippe Starck)이 디자인한 객실 내 대형 창문과 대리석 욕실이 낭만적 분위기를 조성한다는 것이다. 롯데호텔 시애틀 16층에 자리한 샤롯데 레스토랑 앤 라운지(Charlotte Restaurant & Lounge·이하 샤롯데)는 연인들의 저녁 데이트 장소로 제격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엘리엇 만(Elliott Bay)을 내려다보며 훌륭한 음식과 술을 즐길 수 있는 점이 높이 평가됐다. 샤롯데는 제철 식재료를 활용한 다앙한 요리와 칵테일을 선보이고 있다. 롯데호텔 시애틀이 현지 매체로부터 연달아 호평받으며 현
[더구루=이연춘 기자] 코웨이가 국내외 안정적인 성장세에 힘입어 분기 최초 매출액 1조 돌파하며 최대 실적을 갈아치웠다. 올해 상반기를 기점으로 국내외 총 계정이 1000만 계정을 넘어섰다. R&D(연구개발)에 대한 투자를 대폭 확대하며 기술경쟁력 강화에 집중한 전략이 결실을 맺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23일 코웨이에 따르면 코웨이의 2022년 연구개발비용은 전년대비 약 11% 증가한 535억원으로, 역대 최대 수준을 기록했다. 연간 500억원이 넘는 연구개발 투자 규모는 보통 환경가전 업계의 연구개발비용이 약 200억원대 수준임을 감안하면 월등히 높은 수준이다. 코웨이의 R&D 투자는 2020년 넷마블 인수 후 눈에 띄게 증가했다. 넷마블 인수 전과 비교하면 연구개발비용은 지난 2019년 약 380억원 수준에서 약 42%가량 증가했다. 매해 평균 10% 이상 규모를 확대해 오고 있다. 올해 상반기 R&D 투자비용 또한 270억원 수준으로 올해 역시 연구개발에 대한 투자를 지속 확대할 것으로 보인다. 미래 성장 동력 확보를 위한 R&D 역량 강화는 단박에 국내외 지식재산권에서도 확인된다. 코웨이가 현재 보유한 국내외 특허 등록
[더구루=김형수 기자] 현대백화점이 태국 최대 규모의 리테일그룹과 손잡고 아세안 시장에서 신규 사업 창출에 나선다. '현대百 DNA'가 동남아시아 유통 시장에 수출된다는 것. 20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백화점은 태국 최대 규모 리테일그룹 시암 피왓(Siam Piwat)과 신규 비즈니스 창출을 위한 양해각서(MOU) 체결을 앞두고 있다. 양사는 시암 피왓 그룹이 운영하고 있는 현지 백화점과 아울렛 등에서 △매장구성 △팝업스토어 △이벤트 △콘텐츠 구성을 공동 추진하기로 합의했다. 외국인 대상으로 한 마케팅 솔루션 등 일부 방안을 놓고 미세 조율을 마무리 한 뒤 최종 계약을 체결할 예정이다. 지난 1958년 설립된 시암 피왓은 △유통 △부동산 개발 등 사업을 영위하는 기업으로, 방콕 번화가에서 △시암 파라곤(Siam Paragon) △시암 센터(Siam Center) △시암 디스커버리(Siam Discovery) 등 백화점을 운영하고 있다. 현대백화점은 태국 시장 진출을 희망하는 국내외 브랜드에 마케팅 커뮤니케이션과 새로운 사업 창출을 돕는 플랫폼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시암 피왓이 현대백화점의 서울 여의도 '더현대 서울' 운영 노하우를 높이 평가해 업무 협력을
[더구루=이연춘 기자] 청호나이스가 ESG 경영의 일환으로 리퍼브 제품을 할인된 가격으로 선보인다. 청호나이스 리퍼브 제품은 네이버 공식 브랜드스토어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제품에 따라 최대 70%까지 할인 받을 수 있으며 구매 시 3년동안 필터교체 및 정기점검 등의 제품관리 서비스도 제공된다. 19일 청호나이스에 따르면 리퍼브는 고객의 단순변심으로 반품됐거나 전시용으로 사용된 제품을 새 제품과 동일한 상태로 재생산해 할인된 가격으로 판매하는 것을 말한다. 리퍼브 제품을 생산 및 판매함으로써 자원의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 환경보호에 기여할 수 있으며 고객은 합리적이고 알뜰한 소비를 넘어 친환경 가치소비에 동참할 수 있다. 청호나이스 관계자는 "친환경 소비를 추구하는 고객이 증가함에 따라 더 많은 분들이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이번 네이버 공식 브랜드스토어를 통해 선보이게 됐다"며 "앞으로도 청호나이스는 사람과 환경을 생각하는 기업정신에 맞춰 고객과 환경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다양한 활동을 하기 위해 지속 노력할 것"이라고 전했다.
[더구루=한아름 기자] 일본 세가사미홀딩스가 '카지노 성지'로 불리는 마카오에 카지노 장비를 공급한다. 마카오에 이어 필리핀 등 아시아 카지노 시장에서 영향력을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세가사미홀딩스 공격 행보에 파라다이스 실적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지 관심이 집중된다. 앞서 파라다이스는 세가사미홀딩스와 합작 투자 계약을 체결하고 지난 2012년 파라다이스세가사미를 설립했다. [유료기사코드] 18일 업계에 따르면 세가사미크리에이션은 갤럭시 마카오 카지노 리조트(Galaxy Macau casino resort)에 '제네시스 크레스트 43J 캐비닛 시리즈'(Genesis Crest 43J cabinet series·이하 제네시스 크레스트)를 설치했다. 세가사미크리에이션은 세가사미홀딩스 산하 카지노 장비 공급업체다. 제네시스 크레스트는 세가사미크리에이션이 지난해 8월 싱가포르 카지노산업 박람회(G2E Asia: Special Edition Singapore)에서 선보인 슬롯머신이다. 제네시스 크레스트에는 △43인치 J자형 4K 모니터 △13.3인치 액정 디스플레이 터치스크린 △무선 핸드폰 충전기 등이 탑재돼 고객 편의성을 높였다. 마이티 다이아몬드-동부의 번영(Mig
[더구루=한아름 기자] 쿠쿠홈시스가 말레이시아 진출 9주년을 맞아 제2도약을 채비하고 있다. 현지에서 다양한 이벤트를 펼쳐 긍정적인 기업 이미지를 구축하고 고객층 확대에 나선다. 17일 쿠쿠홈시스 해외 합작법인 쿠쿠인터내셔널에 따르면 연말까지 말레이시아에서 '바이 쿠쿠 윈 콘도'(Buy Cuckoo Win Condo) 프로모션을 진행한다. 지난 8월 개최한 프로모션이 현지에서 높은 관심을 끌자 행사 기간을 연장했다. 쿠쿠홈시스 제품을 구매한 고객을 대상으로 매월 추첨을 통해 △아파트 콘도 3개 △테슬라 모델3 3대 △프로톤 사가 3대 등을 선물로 준다. 쿠쿠인터내셔널은 단순히 제품 구매를 유도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쿠쿠홈시스가 가지고 있는 '건강 생활가전 기업' 정체성을 알린다는 계획이다. 호끼안춘(Hoe Kian Choon) 쿠쿠인터내셔널 최고경영자(CEO)는 "건강 관리에 대한 말레이시아 소비자의 눈높이가 점점 높아지는 가운데, 기술 혁신을 알리고 건강 생활가전 분야 선두기업으로 자리매김하겠다는 비전을 알리기 위해 이번 프로모션을 기획했다"며 "쿠알라룸프르뿐 아니라 쿠칭 등 주요 도시에 진출해 존재감을 빠르게 확장하겠다"고 전했다. 이는 잠재 고객과의 접
[더구루=한아름 기자] 신라면세점이 싱가포르 창이국제공항 면세점 운영권을 연장했다. 창이공항을 성장 모멘텀으로 삼고, 미주·유럽 면세 시장 공략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15일 신라면세점에 따르면 싱가포르 창이공항에서 화장품과 향수 면세 매장을 오는 2028년 3월까지 운영할 수 있게 됐다. 신라면세점은 2014년부터 창이공항에서 매장을 운영해왔다. 코로나 팬데믹 기간에 운영 기간을 2024년 3월까지 18개월 연장했고, 이번에 사업권을 추가로 4년 더 연장했다. 이어 신라면세점은 미국 기내면세점 쓰리식스티(3Sixty)의 추가 지분을 확보할 방침이다. 지난 2019년 쓰리식스티 지분 44%를 1억2100만달러(약 1417억원)에 인수할 당시 계약한 조건에 따른 것이다. 쓰리식스티 지분 23%를 매수할 수 있는 콜옵션에 무게가 실린다. 콜옵션 행사 시 쓰리식스타의 최대주주인 버나드 클리파시(Bernard Klepach)는 잔여 지분인 33%를 호텔신라에 넘기는 풋옵션 행사가 가능하다. 신라면세점은 이를 통해 미주·유럽 등 신시장에서 존재감을 키운다는 전략이다. 김영훈 신라면세점 영업본부장은 여행전문잡지 TR비즈니스와의 인터뷰에서 "창이공항 면세점 운영권 연장과
[더구루=김형수 기자] '신동빈 스키장'으로 잘 알져진 롯데호텔앤리조트의 일본 롯데아라이리조트가 현지 모바일 스키패스 업체와 손을 잡았다. 겨울 스키 시즌을 앞두고 스키어 유치에 역량을 집중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롯데아라이리조트는 일본 기업 마운틴콜렉티브(Mt.Collective)가 운영하는 스키패스 '매버릭 패스(Maverick Pass)'와 제휴를 맺었다. 매버릭패스는 지난해 12월 마운팅콜렉티브가 론칭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기반 스키패스다. 롯데아라이리조트 이외에도 △군마현 팔콜 쓰마고이 리조트 △홋카이도 피리카 스노우 리조트 △홋카이도 그랜드파파 롯지 등에서 매버릭패스를 이용할 수 있다. 2일권 패스인 △매버릭패스 이코노미(1만엔·약 9만원) △매버릭패스 퍼스트(1만4000엔·약 12만6000원) 등을 구입하면 롯데아라이리조트 스키장 내 리프트를 이용할 수 있다. 매버릭패스 이코노미 가격은 성수기 기본 요금 대비 17%가량 저렴하다. 매버릭패스 퍼스트 소지자에게는 전용 게이트를 통해 리프트를 우선 탑승할 수 있는 혜택이 주어진다. 롯데아라이리조트는 스키패스 업체와 연달아 협력 관계를 구축하며 스키 마케팅에 주력하고 있다. 지난해
[더구루=김형수 기자] 롯데면세점이 싱가포르 창이공항 제2터미널 센트럴점 운영을 시작했다. 롯데면세점은 연내 창이공항 내 모든 매장을 여는 '그랜드 오픈'을 열고, 현지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한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롯데면세점은 지난달 28일 창이공항 제2터미널 센트럴점 운영을 개시했다. 롯데면세점은 이곳 매장에서 주류와 담배 등을 판매하고 있다. 이에 따라 롯데면세점이 창이공항에서 운영하는 매장은 지난 1월 14개점에서 17개점으로 늘어났다. 롯데면세점은 연내에 2개 점포를 추가 오픈, 19개 전 매장 운영에 들어간다는 계획이다. 운영기간은 오는 2026년 6월까지다. 롯데면세점이 창이공항 면세점 사업권을 따낸 지 3년여 만에 '그랜드 오픈'을 하게 되는 것이다. 롯데면세점은 지난 2019년 창이공항 내 19개 매장 사업권을 확보했으나 코로나19 영향으로 제2터미널과 제4터미널이 폐쇄되는 등 공항 운영이 차질을 빚으면서 점포 운영을 제대로 하지 못하고 있다. 코로나19 앤데믹 이후 창이공항이 활기를 띠고 있어 롯데면세점 현지 사업이 탄력을 받을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창이공항그룹에 따르면 지난 1월부터 8월까지 창이공항을 찾은 사람의 숫자는 3800만명
[더구루=김형수 기자] 박한길 애터미 회장이 아랍에미리트(UAE) 두바이에서 개최되는 '직접판매 세계대회 2023 두바이(WFDSA World Congress 2023 DUBAI·이하 월드 콩그레스)' 현장을 방문한다. 한국직접판매산업협회(이하 직판협회) 회장을 맡고 있는 박 회장은 오는 2026년 차기 월드 콩그레스 국내 유치를 위한 홍보전을 적극 펼칠 전망이다. 12일 업계에 따르면 박 회장은 어원경 직판협회 부회장 등 대표단을 이끌고 오는 16일부터 사흘 동안 열리는 '월드 콩그레스 두바이'에 참석한다. 월드 콩그레스는 직접판매세계연맹(WFDSA)이 직접판매 산업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3년 마다 개최하는 행사다. 박 회장은 행사 첫날로 예정된 차기 월드 콩그레스 개최지 선정 투표를 앞두고 각국 직판협회에 차기 대회 국내 유치를 위한 지지를 호소할 전망이다. 투표권을 가진 전세계 60여개국 직판협회를 겨냥한 홍보전에 역량을 집중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을 비롯한 3개국 직판협회가 차기 직접판매 세계대회 유치를 둘러싼 경쟁을 벌이고 있다. 오는 16일 오전 각국 직판협회의 프레젠테이션(PT) 이후 투표가 이뤄진다. 결과는 행사 마지막날인 오는 18일 오후로
[더구루=홍성일 기자] 중국판 뉴럴링크(Neuralink)로 불리는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 스타트업 '브레인코(BrainCo)'가 차세대 로봇 손을 공개했다. 브레인코는 인간의 손처럼 정교한 작업이 가능한 '덱스터러스 핸드'를 통해 체화 지능(Embodied Intelligence) 분야로 사업을 확장한다는 목표다. [유료기사코드] 18일 업계에 따르면 브레인코는 지난 16일 차세대 바이오닉 덱스터러스 핸드 제품인 '레보2 핸드(Revo2 Hand, 이하 레보2)'를 선보였다. 브레인코는 레보2에 대해 의수 개발을 통해 쌓아온 전문성을 바탕으로 개발됐다며 체화 지능 분야 확장을 위한 토대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체화 지능은 실제 환경과 상호작용하고 행동할 수 있는 인공지능(AI)를 말한다. AI가 단순히 정보를 처리하는 것을 넘어 로봇이나 장치에 통합돼 주변 환경을 감지하고, 이해할 수 있게 된다는 의미다. 레보2는 성인 여성의 손과 비슷한 16cm 길이에, 무게는 383g으로 업계 평균보다 20% 가량 가볍다. 그러면서도 50N(뉴턴)의 강력한 파지력으로 사무실 생수통에 해당하는 20kg 무게의 물체도 들어 올릴 수 있다. 또한 0.1mm의 서브밀
[더구루=홍성환 기자] AI 데이터센터 기업 코어위브(CoreWeave)가 영국 데이터센터 사업에 약 5조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유료기사코드] 코어위브는 18일 영국 AI 데이터센터 사업에 15억 파운드(약 2조8300억원)를 추가 투자한다고 밝혔다. 이로써 총 투자액은 25억 파운드(약 4조7100억원)로 늘었다. 이번 추가 투자 발표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영국 국빈 방문을 계기로 이뤄졌다. 코어위브는 영국 정부의 컴퓨팅 로드맵을 가속화하고 AI 관련 연구소·기업·공공기관·스타트업의 혁신을 촉진할 수 있는 맞춤형 첨단 AI 인프라를 제공하는 것으로 목표로 한다. 마이클 인트레이터 코어위브 공동 창립자 겸 최고경영자(CEO)는 "영국에 대한 투자는 세계 최대 규모의 최첨단 지속가능한 컴퓨팅 집적지를 구축해 혁신과 경제 성장, 과학적 발견을 위한 새로운 기회를 열어줄 것"이라고 전했다. 키어 스타머 영국 총리는 "AI는 영국에 엄청난 변화를 가져올 것이며, 국가 공공 서비스와 인프라를 혁신시킬 잠재력을 갖고 있다"며 "코어위브의 투자는 영국이 AI 분야에서 세계적인 리더가 될 수 있는 잠재력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말했다. 코어위브는 엔비디아의 A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