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환 기자] 러시아가 서방 제재에 맞서 비우호국에 대해 목재 수출을 금지한 가운데 우리나라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전망이다. 1일 코트라 러시아연방 모스크바무역관이 작성한 '러시아가 일부 목재 수출을 금지한 진짜 이유' 보고서에 따르면 러시아는 올해 연말까지 우리나라를 비롯해 유럽, 미국 등 비우호국에 대해 일부 목재류 수출을 금지할 예정이다. 지난해 기준 러시아의 임업 자원 보유량은 1022억㎥로 전 세계에서 28% 비중을 차지한다. 국제연합식량농업기구(FAO) 자료를 보면 2020년 기준 러시아의 목재 생산성은 2억2000만㎥으로 세계 5위다. 러시아 위로는 △미국(4억2970만㎥) △인도(3억5180만㎥) △중국(3억4170만㎥) △브라질(2억6630만㎥) 등이 있다. 2020년 기준 러시아의 가공 목재 생산량은 1억3801만㎥로 재목 생산성 대비 62.8% 비중을 차지했다. 가공 목재는 바이오연료용과 공업용으로 나뉜다. 러시아는 90% 이상이 공업용(1억2523만㎥)이고 10%(1285만㎥)만 바이오연료용으로 쓰인다. 러시아 임업기술협회에 따르면 러시아에서 생산되는 1차 가공 목재의 수출 비중은 2010년부터 지속적으로 하락해 2020년
[더구루=홍성환 기자] 인구 증가와 기후 변화로 전 세계적으로 식량 안보가 중요한 문제로 부상하면서 실내 수직 재배가 주목받고 있다. 실내 수직 재배는 단위 면적당 생산량이 전통적인 농업 방식보다 많게는 수십배 높으면서 환경 오염도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30일 코트라 미국 뉴욕무역관이 내놓은 '미국, 팬데믹 이후 더욱 주목 받는 수직 농업' 보고서에 따르면 데이터 분석 기업 스테티스타(Statista)는 글로벌 수직 농업 시장이 2020년 55억 달러(약 7조원)에서 2026년 198억 달러(약 25조원)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미국 농무부에 따르면 실내 수직 농업 방식으로 경작될 경우 에이커당 생산량이 전통적인 농업 방식보다 10~20배 높다. 이는 작물을 토양에 직접 심어야 하는 제약에서 벗어나 서랍을 위로 쌓아 올린 형태로 재배하기 때문이다. 수직 농업은 실내에서 작물을 키우기 때문에 외부 요인을 통제할 수 있고 병충해로부터 자유로워 농약을 사용하지 않는다. 전통적인 방식보다 90% 적은 양의 물을 사용하는데다 재활용할 수 있어 환경 오염 부담이 적다. 또 좁은 부지에서도 대도시에 공급할 수 있는 물량 생산이 가능해 도시 근처에 농장이 위치할 수
[더구루=정예린 기자] 삼성전자와 테슬라의 대규모 투자를 유치한 일등공신인 미국 텍사스주 인센티브 프로그램이 올해 만료된다. 당국은 대체 제도 도입을 추진하고 있지만 반대 목소리가 커 향후 신규 투자 확보에 난항이 예상된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독일 정부가 내년부터 공급망에서 인권과 환경 요소를 고려하는 공급망 실사법을 도입한다. 현지에 진출한 국내 기업의 경우 공급업체로서 규제에 적용받을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는 조언이 나온다. 24일 코트라 독일 프랑크푸르트무역관이 작성한 '독일, 2023년부터 공급망 실사법 시행' 보고서를 보면 이 법안은 공급망에서 인권 보호와 환경 보호 강화에 초점을 맞춘 것으로 내년 1월부터 시행할 예정이다. 이 법안은 아동 노동, 강제 노동 금지 등 기본적인 인권 기준을 준수하는 사항을 담고 있다. 또 기업의 실사를 위한 명확하고 실행 가능한 요구 사항을 정의함으로써 기업과 영향을 받는 당사자에게 법적 확실성을 제공한다. 실사 의무 핵심 요소는 인권 침해와 환경 피해의 위험을 식별, 예방 또는 최소화하기 위한 위험 관리 시스템의 구축이 포함됐다. 필요한 예방과 개선 조치를 명시하고 불만 절차를 의무화하고 있으며, 정기적인 보고를 요구한다. 특히 △아동 노동 금지 △노예제·강제 노동으로부터의 보호 △차별 금지 △산업 안전 보호 △적절한 임금 미지불 금지 등에 관한 사항을 포함하고 있다. 아울러 사람과 환경에 유해한 물질 또한 금지한다. 공급망 실사
[더구루=홍성환 기자] 중국 내륙 지역에 위치한 '장강중류 도시군'이 향후 국가 경제를 이끌 핵심 동력으로 주목을 받는다. 24일 코트라 중국 우한무역관의 '장강중류 도시군, 중국의 5번째 지역 경제 클러스터로 성장 중'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는 지난달 장강중류 도시군 발전 실시 방안을 공식 발표했다. 여기에는 장강중류 도시군의 중국 경제적 위치, 향후 발전 전략, 국제화 계획 등을 포함하고 있다. 장강중류 도시군은 우한과 창사, 난창 등 주요 내륙 도시를 중심으로 △후베이성 △후난성 △장시성 등 3개 성의 31개 도시로 이뤄져 있다. 전체 면적 31만7000㎢, 인구 1억3000만명, 총 국내총생산(GDP) 10조6000억 위안(약 2030조원) 규모의 초대형 경제 클러스터다. 중국 31개 성시 자치구의 지난해 경제성장률을 보면 후베이성은 12.9%, 장시성은 8.8%로 각각 1위·4위를 차지했다. 장강중류 도시군 3개성 중 후난성(7.8%)을 제외하고 중국 전체 성장률(8.1%)을 웃돌았다. 올해 성장률 목표는 후베이성과 장시성이 7% 이상, 후난성은 6.5%로 중국 전체 목표 5.5%보다 높게 설정했다. 장강중류 도시군 3개성은 전통적인
[더구루=오소영 기자] 독일이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 비중을 두 배 높이기로 했다. 태양광과 육상풍력을 중심으로 투자가 확대될 것으로 보이며 재생에너지 기업들에 사업 기회가 열릴 것으로 보인다. 24일 코트라 프랑크푸르트무역관에 따르면 독일 정부는 지난 6일 2030년까지 총 전력 수요의 80%를 재생에너지로 채우는 내용을 골자로 하는 '에너지법 개정안'을 발표했다. 독일은 지난해 전체 전력 생산량의 40.9%가 재생에너지에서 나왔다. 전력 소비량에서 재생에너지가 차지하는 비중은 42%였다. 독일은 10년 내 재생에너지 비중을 두 배 키운다는 포부다. 2035년에는 전체 전력 수요를 재생에너지로 대체한다. 이를 위해 태양광 발전설비는 매년 22GW씩 늘려 2030년까지 총 215GW를 확보한다. 육상풍력은 매년 10GW씩 확충해 115GW로 확대한다. 바이오매스 발전설비 규모 제한 규제도 점진적으로 완화해 2023년부터 연간 600㎿로 상향한다. 시민 에너지협동조합(Buergerenergie)을 활성화하고 지방자치단체의 재정 지원을 강화하는 내용도 담겼다. 해상풍력에너지법(WindSeeG)도 개정한다. 2030년까지 30GW, 2045년까지 70GW의 해상
[더구루=홍성환 기자] 영국 정부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에너지 안보 우려가 확산함에 따라 신규 원자력 발전소를 적극적으로 추진할 방침이다. 24일 코트라 영국 런던무역관이 작성한 '영국 에너지 안보 전략 발표' 보고서를 보면 영국은 지난 7일 에너지 독립성을 높이는 것으로 목표로 원자력·풍력·수소 등 신재생 에너지 발전과 가스·석유 등을 통한 발전을 확대한다는 계획을 담은 '에너지 안보 전략(Energy Security Strategy)'을 발표했다. 우크라이나 사태로 글로벌 에너지 공급망이 영향을 받으면서 에너지 가격이 급상승하고 있다. 실제로 유럽 가스 가격은 전년 대비 200% 이상 상승했고 석탄은 100% 이상 올랐다. 영국의 에너지 안보 전략은 △에너지 요금 지원 △에너지 효율화 △석유·가스 전략 △재생 에너지 전략 △원자력 전략 △수소 전략 등 여섯 가지 내용을 담고 있다. 영국은 우선 에너지 요금 지원을 가정용과 산업용으로 구분했다. 가정용 전기요금은 91억 파운드(약 15조원) 규모의 지원 패키지를 마련해 연간 주민세를 150파운드 감면하고, 가구당 전기요금을 200파운드 할인한다. 산업용 전기요금은 에너지집약산업 보상제도를 3년 연
[더구루=홍성환 기자]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미국이 러시아 최대 다이이몬드 채광기업 알로사(Alrosa)에 대한 제재에 나서면서 다이이몬드 가격이 크게 뛸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24일 코트라 러시아연방 모스크바무역관의 '미국의 알로사 제재, 러시아 다이아몬드 산업에 미칠 영향은' 보고서에 따르면 알로사는 다이아몬드 광석 매장량 기준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28%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영국계 기업인 드비어스(De Beer)와 리오틴토(Rio Tinto)가 각각 20%, 13%로 뒤를 잇는다. 러시아는 2020년 기준 다이아몬드 광석 매장량 6억5000만 캐럿으로 세계 1위다. 또한 세계 최대 다이아몬드 광석 공급 국가로 전 세계 공급량의 약 3분의 1을 차지한다. 알로사는 다이아몬드 광산 채굴량 기준 러시아 시장의 66%를 점유하고 있다. 미국 다이아몬드 시장 분석가 파벨 짐닌스키는 이번 서방 제재 조치로 세계 다이아몬드 시장은 올해 절대적인 부족 현상을 보일 것으로 전망했다. 이스라엘 다이아몬드 시장분석가 에단 골런은 러시아는 가공 다이아몬드보다는 다이아몬드 광석을 주로 유통하고 있기 때문에 제재에 따른 큰 타격은 없을 것이나 수요 감소로 다이아
[더구루=최영희 기자] 러시아가 차세대 대륙간탄도미사일 RS-28 '사르맛'의 첫 시험발사에 성공했다. 러시아 국방부는 20일(현지시간) "아르한겔스크 주의 플레세츠크 우주기지에서 사르맛을 성공적으로 발사했으며, 시험용 탄두는 캄차카반도의 예정된 지역에 명중했다"고 밝혔다. 최대사거리가 1만8천㎞인 사르맛은 메가톤급 핵탄두를 15개까지 탑재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렇다면 전세계 핵무기 보유 현황은 어떻게 될까. 미국과학자연맹이 올해 초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9개 나라가 약 1만2700개의 핵탄두를 보유하고 있다. 러시아가 5977개, 미국 5428개, 중국 350개, 프랑스 290개, 영국 225개, 파키스탄 165개, 인도 160개, 이스라엘 90개, 북한 20개 등이다. 미국과학자연맹은 미국의 비축 추정치는 '실제' 수치에 근거한 것이지만 다른 여러 핵 무장 국가에 대한 추정치는 매우 불확실하다고 밝혔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중국 정부가 직원들의 출입을 허용하고 재가동을 지원할 기업 명단을 내놓았다. TSMC와 테슬라 등 글로벌 반도체·자동차·바이오 회사들이 이름을 올렸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아랍에미리트(UAE)가 내년 법인세를 공식적으로 도입한다. 17일 코트라 UAE 두바이무역관의 'UAE, 2023년 6월 1일부로 법인세 부과' 보고서에 따르면 UAE 재무부는 내년 6월 1일부터 자국 내 기업을 대상으로 연방 법인세를 부과할 예정이다. 이는 작년 7월 열린 OECD·G20 IF(Inclusive Framework) 총회에서 제안된 글로벌 법인세 최저한세율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IF 총회에서는 BEPS(Base Erosion and Profit Shifting)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글로벌 법인세 최저한세율을 15% 수준으로 제안했다. 이는 국가간 세법 차이와 기존 국제 조세제도의 허점을 이용한 조세회피행위를 근절하기 위한 것이다. UAE 재무부는 "글로벌 금융 중심지이자 비즈니스 허브인 UAE의 법인세 제도는 투자와 기업 활동을 지원하고 자본·무역·금융·서비스의 유동성을 보장할 것"이라며 "또 글로벌 비즈니스 및 투자 허브로서 UAE의 입지를 더욱 공고히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UAE는 기존 연방 차원의 법인세가 존재하지 않아 각 토후 정부가 개별적으로 조세 제도를 운용해왔다. 그나마도 석유∙가스 부문과 외국
[더구루=길소연 기자] 메타와 알파벳, 스트라리프 등 북미 주요 기업이 탈탄소화 시대를 앞당기기 위해 탈탄소화 개발 회사에 베팅한다.
[더구루=김예지 기자] 에어버스(Airbus)와 캐세이퍼시픽항공(Cathay Group, 이하 캐세이 그룹)이 지속가능항공연료(SAF) 산업 육성을 위해 손을 맞잡았다. 양사는 아시아 및 전 세계 SAF 생산 확대를 위한 공동 투자에 나서며, 항공 산업의 탈탄소 전환 가속화에 박차를 가할 전망이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인공지능(AI) 스타트업 앤트로픽(Anthropic)이 구글과 대규모 컴퓨팅 인프라 도입 논의를 시작했다. 추가 자금을 확보한 앤트로픽이 본격적으로 대규모 AI 인프라 확보에 나서는 모양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