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일 기자] 달로 향하는 최초의 민간 우주선이 오는 발사된다. 최초의 민간 달 착륙을 둔 레이스에 관심이 집중된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후티 반군의 홍해 사태로 선박이 우회하면서 글로벌 공급망 차질로 인한 해상 운임이 폭등하고 있다. 5일 영국 해운조사기관 드류리(Drewry)에 따르면 전날 기준으로 세계컨테이너운임지수(WCI)는 40피트 컨테이너(FEU)당 2670달러로 전주 대비 61% 상승했다. 지난달부터 살펴보면 지난달 14일 기준 1521 달러에서 21일 1661달러 올라 9.2% 상승했고, 이번주에 다시 61% 치솟았다. 40피트 운임은 코로나19 발발 전인 2019년 평균 요율인 1420달러보다 88% 더 높다. 항로별로는 상하이에서 로테르담으로 가는 운임은 1667달러에서 3577달러로 급등했다. 전주 대비 115% 올랐다. 상하이에서 제노바 간 운임도 1956달러에서 4178달러로 114% 급등했다. 상하이발 로스앤젤레스행 운임은 626달러(30%) 오르면서 2726달러로 상승했다. 상하이에서 뉴욕으로 가는 운임도 784달러 올라 3858달러로 인상됐다. 또한 로테르담에서 상하이로 가는 운임은 40피트 컨테이너당 17%(80달러) 오른 546달러를 기록했고, 로테르담에서 뉴욕으로 가는 운임도 1503달러로 올랐다. 드류리는 "홍해·수에즈 사태로 인해 향
[더구루=길소연 기자] 파나마 운하가 가뭄으로 인해 평년 대비 6피트(약 1.8m) 낮은 수위를 기록하면서 물류난이 더욱 가중될 전망이다. 가뭄 해결책으로 '댐건설, 인공호수, 인공강우' 등의 프로젝트가 거론되나 복잡한 과정과 고비용이 변수로 작용한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민간 우주기업 로켓랩(Rocket Lab)이 최대 6700억원 규모에 달하는 소형위성 발사 계약을 확보했다. 발사체 시장을 독점하고 있는 스페이스X 추격에 박차를 가하는 모습이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대한항공이 헝가리로 향하는 고객 수요의 성장세에 발맞춰 운항 편수를 늘린다. 4일 업계에 따르면 대한항공은 오는 4월2일부터 '인천~부다페스트' 노선을 주 4회 운항한다. 기존 운항일인 월, 목, 토에서 화요일을 더해 운항한다. 스케줄은 인천국제공항에서 12시35분에 출발해 헝가리 부다페스트 리스트 페렌츠(Liszt Ferenc) 국제공항에 현지시간 18시5분에 도착한다. 귀국편은 부다페스트에서 20시에 출발해 인천공항 13시30분에 도착한다. 대한항공은 지난 2022년 10월 헝가리 수도 부다페스트에 신규 취항했다. 취항 후 주 2회 일정으로 운항하다 주 3회로 증편했다. 헝가리 수도인 부다페스트는 관광 수요 뿐 아니라 상용 수요가 풍부해 인적교류가 활발한 취항지다. 도시 곳곳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될 정도로 깊은 역사와 경관을 자랑한다. 어부의 요새, 부다 왕궁, 국회의사당 등 주요 관광 명소와 아름다운 야경으로 유명하다. 또한 헝가리 정부의 자동차 제조업 육성과 투자 정책에 힘입어 다수 한국 기업이 진출해 있다. 대한항공은 헝가리 여객노선 신규 취항을 통해 유럽노선의 경쟁력을 확보하고 동유럽 신시장 개척에 박차를 가한다는
[더구루=길소연 기자] 컨테이너 운임 인상이 현실화되고 있다. 예멘 후티반군 공격을 이유로 수에즈운하가 차단되면서 해상 운임이 천정부지로 치솟고 있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대한항공이 올해도 '하늘 위의 여왕'으로 군림해온 보잉 747 여객기를 운항한다. 점보기라 운영 부담이 크지만 프리미엄 서비스를 위해 운항을 유지한다. 3일 업계에 따르면 대한항공은 올해 B747-8i기를 △하와이 호놀룰루 다니엘 K. 이노우에 국제공항(HNL) △ 미국 하츠필드-잭슨 애틀란타 국제공항(ATL) △파리 샤를드골 공항(CDG) △시드니 킹스포드 스미스 공항(SYD) 등의 노선에서 운항한다. 이외에 상하이, 도쿄 나리타 국제공항, 싱가포르 창이공항, 타이페이 타오위안 국제공항으로 가는 특정 노선에도 투입한다. 대한항공은 점보기 답게 넓은 좌석과 프리미엄 인테리어로 고객 편의를 증대하며 B747-8i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퍼스트클래스에 '코스모 스위트 2.0' 좌석과 프레스티지 클래스에 적용되는 '프레스티지 스위트' 좌석은 편의성을 극대화했고, 기내 엔터테인먼트 시스템도 멀티테스킹이 가능하는 등 대폭 개선했다. 대한항공은 지난 2015년 B747-8i 1호기를 도입한 후 10대를 도입했다. 현재 9대만 운용하고, 1대는 정비 중이다. B747-8i는 과거 대형 여객기의 대명사로 불리던 B747-400 점보기의 명성을
[더구루=길소연 기자] 중국 전기 수직 이착륙항공기(eVTOL) 개발업체인 이항이 광저우와 허페이에서 상업 시범 비행에 성공했다. 특히 이번 시범 비행은 조종사 없는 승객을 수송하는 것으로, eVTOL의 중요한 이정표를 달성한 것이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대한항공이 작년에 이어 올해도 현대차그룹 광고 계열사 이노션과 손을 잡고 북미 마케팅에 나선다. 대한항공은 이노션을 통해 고객의 관심을 증폭시키는 한편 새로운 여행 수요를 창출한다는 계획이다. 2일 업계에 따르면 대한항공은 이노션USA를 미국 여행, 호텔 사업의 매체대행(Agency of Record, AOR)으로 선정했다. 이노션은 대한항공의 글로벌 크리에이티브를 제작해 미국 전역에 라디오와 신문, TV를 통해 방송할 예정이다. 매체대행(AOR)이란 광고 제작과 별도로 매체기획과 구매를 한 대행사에 총괄해 맡기는 매체집행방식이다. 외국계 기업에서 일반화돼 있다. 대한항공이 이노션을 AOR로 선정한 건 작년부터다. 대한항공은 여행 및 숙박 분야 경쟁력 강화를 위해 이노션을 통해 새로운 광고를 선보였다. <본보 2023년 7월 12일 참고 대한항공, 북미 광고 대행사로 '이노션' 선정> 대한항공은 코로나19 이후 경쟁력 확보를 위해 북미 마케팅을 진행하고 있다. 코로나19 종식 후 급증하는 관광 수요에 대응해 마케팅을 재개한 것이다. 조원태 대한항공 회장은 작년부터 지속적인 경쟁력 확보의 중요성을 강조한 바 있다. 대한항공은
[더구루=길소연 기자] 에이치라인해운(H-Line)이 중국 조선소에 발주한 21만DWT급 뉴캐슬막스 벌크선을 인도받는다. 1일 업계에 따르면 중국국영조선공사(CSSC) 산하 칭다오 베이하이조선소는 지난해 12월18일(현지시간) 베이하이 부두 2에서 인도식을 열고 에이치라인해운에 21만DWT급 LNG 이중연료 벌크선 '에이치엘 호프'(HL Hope)를 납품했다. 이번에 인도한 선박은 에이치라인이 베이하이조선에 발주한 HL 시리즈 중 두 번째 선박이다. 첫 번째 선박 '에이치엘 퓨처'(HL Future)는 지난해 10월 26일 인도됐다. 세번째 자매선 '에이치엘 트러스트'(HL Trust)는 향후 인도된다. 이들 선박 모두 광업 대기업 리오 틴토에 6년간 용선된다. 에이치엘 호프는 길이 299.95m, 폭 50m, 흘수 18.4m으로 건조됐다. 최적의 효율성과 성능을 제공하도록 설계됐다. 14노트의 서비스 속도로 운항된다. 노르웨이 선급(DNV)과 한국선급(KR)의 이중 인증을 보유해 엄격한 산업 표준을 준수한다. 신조선의 차별화된 특징은 주 엔진, 발전기 및 보일러를 포함하는 LNG 이중 연료 추진 시스템이다. 국제해사기구(IMO) 타입 C의 3000입방미터(
[더구루=길소연 기자] 미국 에어택시 제조업체 조비 에비에이션(Joby Aviation)이 미 항공우주국(NASA, 나사)과 개발한 시뮬레이션에서 시간당 120회 에어택시 운용을 시연했다. 31일 업계에 따르면 조비는 지난 20일(현지시간) 미국 연방항공청(FAA), 미국 항공교통관제사협회 등 이해 관계자들을 나사 에임스(Ames) 연구센터와 함께 만든 항공교통관제 시뮬레이션 시설 '퓨처플라이트 센트럴'(FutureFlight Central)에 초청해 시뮬레이션을 관람하도록 했다. 조비는 이 시뮬레이션에서 시간당 최대 120회의 전기 수직 이착륙기(eVTOL) 운용(이착륙, 경로 비행)을 시연했다. 최대 45대의 eVTOL가 댈러스 포트워스 국제공항(DFW)의 중앙터미널구역 B등급 공역에서 동시 비행했다. eVTOL 조종사는 기상 조건, 실시간 비행 데이터와 공항 운영 데이터를 시뮬레이션하는 시설을 통해 공항을 원활하게 운영했다. 2층으로 된 시뮬레이션 시설은 나사와 조비가 함께 개발했다. 관제사, 조종사 및 공항 직원이 운영 절차를 테스트하고 신기술을 평가할 수 있게 공항의 360도 실물 크기 시뮬레이션을 제공한다. 항공 교통 관리 통합 시뮬레이션은 미국
[더구루=길소연 기자] 러시아의 북극해 항로(NSR) 개발에 속도가 붙는다. 러시아는 북극 항로 개발을 위해 오는 2035년까지 1조8000억 루블(약 26조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더구루=정예린 기자] LG에너지솔루션과 일본 토요타그룹의 무역상사 토요타통상이 미국에서 추진하는 배터리 리사이클 합작법인이 유럽연합(EU)으로부터 승인을 확보했다. 주요국의 허가 절차를 잇따라 통과하며 LG에너지솔루션의 북미 전기차 배터리 재활용과 자원 순환 체계 구축 전략에 속도가 붙을 것으로 기대된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DL이앤씨와 두산에너빌리티의 파트너사인 미국 소형모듈원전(SMR) 기업 엑스에너지(X-energy)가 핵연료 제조시설 착공에 들어갔다. 지난 8월 건설 착수를 알린 엑스에너지는 그동안 부지정리 작업을 마무리한 후 지상건설에 본격 돌입했다. 엑스에너지의 핵연료 제조시설 건설로 미국의 핵연료 공급망 자국화가 가속화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