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오소영 기자] SK이노베이션이 투자한 페루 액화천연가스(LNG) 플랜트가 컴프레서 수리를 마치고 재가동에 돌입한다. 한 달 넘게 셧다운 되며 올해 LNG 수출에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20일 업계에 따르면 페루 LNG가 이달 말 페루 팜파 멜초리타 플랜트 가동을 재개한다. 페루 LNG는 컴프레서 문제로 한 달 넘게 플랜트 가동을 중단했었다. 지난달 초 6만㎥, 이달 초 4만3000㎥에 달하는 가용 재고를 활용해 주문에 대응했다. 복구에도 속도를 냈다. 지난 주말 75%가량 작업이 진행됐다. 다만 공장을 장기간 운영하지 못하며 올해 LNG 수출은 줄 것으로 보인다. 페루 수출협회(Comexperu)에 따르면 페루의 상반기 LNG 수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157% 증가한 4억3600만 달러(약 5140억원)를 기록했다. 페루 LNG 사업은 SK이노베이션 중남미 해외자원 개발의 대표적인 성공 사례로 꼽힌다. SK이노베이션은 2007년부터 페루 카미시아 88광구와 56광구 등에서 개발되는 천연가스를 LNG로 전환해 판매하는 사업을 추진했다. 이를 위해 2010년 페루 수도인 리마에서 남쪽으로 170㎞ 떨어진 팜파 멜초리타 지역에 LNG 플랜트를 준공했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LG화학이 미국에서 한국산 아세톤에 대한 반덤핑 관세 판정을 뒤집으려 했으나 좌절됐다. 16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 국제무역위원회(ITC)는 13일(현지시간) 현지 상무부의 반덤핑 관세 부과에 대한 LG화학의 항소를 기각했다. 미 상무부는 작년 2월 한국산 아세톤이 저가에 판매돼 현지 업체들이 피해를 입었다며 한국산 아세톤에 관세를 매겼다. 금호피앤비화학에 47.86%, LG화학에 25.05% 관세가 부과됐다. 특히 LG화학 관세율은 작년 9월 예비판정(7.67%) 때보다 3배 이상 높아졌다 LG화학과 LG화학 미국법인은 작년 5월 항소했다. 아세톤 원가 산정 기준이 잘못됐다고 주장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이로써 작년 3월 나온 최종 관세율 25.05%가 확정됐다. <본보 2020년 5월 28일 참고 [단독] LG화학 "美 ITC 아세톤 반덤핑 관세 부당"…국제무역법원 항소> 아세톤은 무색의 휘발성 액체다. 페인트 및 매니큐어 제거제의 용제, 공업·화학 분야에서 유기 용매 등으로 쓰인다. LG화학은 2018년 약 5~6만t을 미국에 수출해왔다. 하지만 반덤핑 관세에 대한 예비판정이 나온 후 거의 수출하지 않는 상태여서 이번
[더구루=오소영 기자] 액상 암모니아를 활용해 그린수소의 대량 생산에 성공한 울산과학기술원(UNIST)의 연구가 롯데케미칼의 지원으로 이뤄진 것으로 확인됐다. 롯데케미칼의 수소 사업 청사진이 본격화됐다는 평가가 나온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롯데케미칼은 김건태 에너지 및 화학공학부 교수팀의 그린수소 생산 연구를 지원했다. 롯데케미칼 연구원 4명이 공동 집필자로 이름을 올렸다. 김 교수팀의 주도로 수행된 연구는 액상 암모니아에서 그린수소를 추출하는 것이 핵심이다. 연구팀은 다공성 니켈 폼 전극을 이용해 추출에 성공했다. 니켈 폼 전극은 표면에 백금 촉매 입자가 있어 효율이 높다. 이 전극을 액상 암모니아에 넣고 전류를 흘려 주면 암모니아가 전기 분해되면서 수소를 얻을 수 있다. 연구팀은 수소 순도를 나타내는 지표인 패러데이 효율은 90% 이상이었다고 설명했다. 최적화된 구동 환경에서는 1kWh의 전력으로 569ℓ의 수소를 생산할 수 있다. 물을 전기분해해 수소를 만들 때보다 소비 전력량이 3배 이상 낮다. 해당 연구는 지난 5월 발표됐다. 롯데케미칼은 이번 연구로 그린수소 대량 생산 기술 상용화를 돕고 신사업인 수소 사업 육성에 나선다. 롯데케미칼은 지난달 수
[더구루=선다혜 기자] 현대엔지니어링이 미국 최대 엔지니어링 기업 KBR의 에틸렌 생산 기술을 폴란드 PNK 올레핀 플랜트에 적용한다. 10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현대엔지니어링과 KBR은 PNK 올레핀 플랜트에 KBR의 에틸렌 생산 기술인 '스코어(Selective Cracking and Optimum Recovery·SCORE)'를 사용하기 위한 라이센스 및 기본 엔지니어링 설계·장비 공급 계약을 맺었다. KBR은 지난 50년간 올레핀 설비 설계와 건설, 기술 분야에서 선두를 지켜온 회사다. PNK 올레핀 공장에 적용되는 스코어는 에틸렌 생산 기술로 시장 변화에 맞춰 공급 원료를 빠르게 바꿀 수 있다는 장점을 갖췄다. 이 기술은 미국 정유회사인 엑슨모빌의 공장에도 적용됐다. 이 사업은 폴란드 수도 바르샤바에서 북서쪽으로 120㎞ 떨어진 마조프셰주(州) 푸오츠크 석유화학 단지에서 생산된 나프타를 받아 연간 74만t 규모의 에틸렌을 생산하는 대규모 플랜트 구축 프로젝트다. 총사업비만 2조7000억원에 달한다. 이는 폴란드에서 추진하는 석유화학 플랜트 EPC(설계·조달·시공) 공사 중 역대 최대 규모다. 현대엔지니어링은 스페인 테크니카스(TR)과 컨소시엄을 구성
[더구루=오소영 기자] 한화큐셀이 붕소 대신 갈륨을 도핑한 실리콘 웨이퍼를 태양광 패널 제조에 확대 적용한다. 패널 성능과 수명을 개선해 글로벌 1위 태양광 기업으로서의 위상을 높인다. 8일 업계에 따르면 한화큐셀은 갈륨이 도핑된 실리콘 웨이퍼 활용을 확대했다. 올해 만든 태양광 패널의 약 80%는 해당 웨이퍼를 적용해 생산한 것으로 추정된다. 갈륨을 사용하면 붕소가 도핑된 웨이퍼를 쓸 때보다 태양광 패널의 출력 저하 감소 현상을 막을 수 있다. 패널 성능을 향상시키고 수명도 길어진다. 당초 갈륨 도핑 웨이퍼에 관한 특허는 일본 실리콘 웨이퍼 제조사 신에츠화학이 보유했다. 중국 JA솔라는 신에츠화학과 2019년 특허 라이선스 계약을 맺고 기술을 도입했다. 지난해 5월 관련 특허가 만료되면서 한화큐셀도 갈륨 도핑 웨이퍼 구매를 늘린 것으로 보인다. 한화큐셀은 고효율 태양광 제품을 앞세워 글로벌 시장에서 점유율을 높일 방침이다. 한화큐셀은 올해 '큐피크 듀오 G10(Q.PEAK DUO G10)'을 비롯해 프리미엄 태양광 제품 포트폴리오를 확대하고 있다. 국제전기기술위원회(IEC)의 기준보다 최대 세 배 혹독한 조건에서 품질 관리도 진행했다. 이를 토대로 미국 주
[더구루=오소영 기자] 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TDI) 가격이 중국에서 바닥을 찍고 하반기 상승세를 보일 전망이다. 주요 공장들이 정기보수에 들어가는 가운데 폴리우레탄 스펀지 수요가 회복해서다. 7일 중국 화학산업뉴스(China Chemical Industry News·CCIN)에 따르면 지난달 화동지역 TDI 가격은 t당 1만4200~1만4300위안을 기록했다. 상하이지역 가격은 1만4500~1만4700위안이었다. 3월 초 1만8000위안대에서 하락한 후 저점을 보이고 있다. TDI는 벤젠에 메탄(methane)을 결합시킨 톨루엔과 질소, 산소를 반응시켜 만들어진다. 자동차와 신발, 가구 침대 등에 쓰이는 폴리우레탄 원료로 사용된다. 업계는 TDI 시황이 하반기부터 좋아질 것으로 전망했다. 공급 측면에서는 중국 옌타이와 간쑤 소재 공장들이 정기보수를 준비하고 있다. 현지 화학사 옌타이줄리가 TDI 생산시설의 정기보수에 돌입했다. 신장줄리는 지난달 초부터 연간 생산량 15만t의 공장을 폐쇄해 생산을 재개하지 않은 상태다. 중국 전체 TDI 공장 가동률은 평균 80.33%를 기록하고 있다. 공급이 줄어드는 가운데 경화제와 엘라스토머용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폴리
[더구루=오소영 기자] 롯데케미칼이 독일 바스프의 산화방지제를 활용해 '고투명 의료용 폴리프로필렌(PP)'을 생산한다. 투명성을 향상시킨 PP를 토대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접종으로 급증한 수요에 대응한다. 바스프는 2일(현지시간) "롯데케미칼이 바스프의 산화방지제 이가스탭(Irgastab®)을 활용해 의료용 애플리케이션에 필요한 PP를 생산했다"고 밝혔다. 이가스탭은 폴리머의 가공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과 산소로 인한 분해를 줄여준다. 초기 강성과 유연성, 외관 특성 등을 유지하도로 돕는다. 롯데케미칼은 바스프와 협업해 최소잔여형(LDS) 주사기에 최적화된 PP를 생산한다. LDS 주사기는 주사기에 남아 있는 잔량을 최소화해 백신 한 병에서 뽑아내는 주사량을 기존 5명분에서 6명분으로 20% 늘린 제품이다. 고투명 의료 인증을 받야하므로 소재인 PP 또한 변색이 발생해선 안 된다. 이가스탭은 PP 생산에 있어 변색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코로나19 백신 접종이 시작되면서 LDS 주사기 수요는 강력하다. 풍림파마텍이 제조한 LDS 주사기는 지난 2월 미국 식품의약국(FDA) 승인을 받았다. 본격적으로 수출되기 전에 1만8000개의 주문
[더구루=오소영 기자] SK E&S가 프랑스 에어리퀴드로부터 액화수소 플랜트 주기기를 공급받는다. 인천 액화수소플랜트 건설에 시동을 걸며 수소 밸류체인 강화에 본격 나선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SK E&S는 액화수소 플랜트 주기기 공급사로 에어리퀴드를 선정했다. 이번 계약은 SK가 지난 3월 발표한 '수소 사업 청사진'의 후속 조치다. SK는 국내에서 연간 총 28만t의 친환경 수소를 생산·공급하겠다고 발표했었다. 사업 추진 회사인 SK E&S는 1단계로 인천시 서구 원창동 일대 SK인천석유화학단지 내 약 1만3000평의 부지에 3만t 규모의 액화수소플랜트를 짓기로 했다. SK인천석유화학으로부터 공급받은 부생수소를 고순도로 정제, 액체 형태로 가공한 후 수도권에 공급한다. 2023년까지 완공할 예정이다. SK E&S는 에어리퀴드와 협력해 액화수소 플랜트 건설에 속도를 내고 수소 생태계 구축에 기여한다. 에어리퀴드는 산업용 가스 분야의 선도 기업이다. 수소 에너지의 생산부터 저장, 유통까지 공급망 전반의 전문성을 갖췄다. 롯데케미칼과 부생수소를 활용한 고압 수소 출하센터와 수소 충전소 구축에 협력하고 있다. 전라남도, 여수시와 수
[더구루=오소영 기자] SK종합화학이 미국 클로즈드 루프 파트너스(Closed Loop Partners)가 운용하는 폐플라스틱 재활용 관련 펀드에 115억여 원을 쏟는다. '환경오염의 주범'으로 꼽히는 폐플라스틱 재활용에 투자해 탄소 저감에 기여한다. SK종합화학은 27일(현지시간) "클로즈드 루프 써큘라 플라스틱스 펀드(Closed Loop Circular Plastics Fund)와 클로즈드 루프 리더십 펀드(Closed Loop Leadership Fund)에 1000만 달러(약 115억원)를 투자한다"고 밝혔다. 클로즈드 루프 써큘라 플라스틱스 펀드는 다우와 라이온델바젤, 노바케미칼스 등 글로벌 화학사들이 지난 5월 조성했다. 고품질 폐플라스틱의 재활용을 촉진하고자 만들어졌다. 조달 자금은 △폴리에틸렌(PE)·폴리프로필렌(PP) 플라스틱 수집량을 늘리는 '접근성' △재활용 대상인 폐플라스틱을 효율적으로 집계·분류하는 '최적화' △재활용된 플라스틱을 활용한 완제품 생산, 패키징 등 관련 시설에 투자하는 '제조' 등 세 영역에 투입된다. 목표액은 약 1억 달러(약 1150억원)다. 클로즈드 루프 리더십 펀드는 클로즈드 루프 파트너스가 운용하는 사모펀드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한화큐셀이 미국에서 중국 진코솔라(JinkoSolar), 롱지솔라(LONGi Solar), REC그룹을 상대로 벌인 특허 침해 항소심에서 패했다. 유럽과 호주 소송에 전력투구해 반전을 꾀하겠다는 전략이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 연방순회항소법원(CAFC)은 지난 12일(현지시간) 진코·롱지솔라, REC그룹이 한화큐셀의 특허를 침해하지 않았다는 판결을 내렸다. 지난해 ITC의 비침해 결정을 존중한 것이다. <본보 2020년 6월 5일 참고 [단독] 한화큐셀, 美 특허침해 소송서 최종 패소…"ITC 결정 유감"> 한화큐셀은 2019년 3월부터 미국에서 세 회사를 상대로 소송을 진행해왔다. 태양광 셀 후면에 보호막을 형성해 셀을 투과하는 빛을 다시 내부로 반사시켜 발전효율을 높이는 기술에 관한 특허(미국 특허번호 9893215)를 무단으로 도용했다고 주장했다. 미국뿐 아니라 유럽과 호주에서도 소송을 추진했다. 미국과 달리 독일 뒤셀도르프 지방법원은 작년 6월 한화큐셀의 1심 승소 판결을 내렸다. 피고 업체들이 특허 침해 제품을 독일에 수입·판매할 수 없게 됐다. 작년 1월 30일 이후 판매된 특허 침해 제품에 대한 리콜 의무도
[더구루=오소영 기자] 롯데케미칼 인도네시아(PT Lotte Chemical Indonesia·LCI)가 연내로 라인(LINE) 프로젝트의 최종투자결정(FID)를 마친다. 업황 회복과 맞물려 동남아시아 석유화학 시장에서 입지를 넓힌다. 26일 업계에 따르면 LCI는 연말까지 라인 프로젝트 FID를 완료한다. 이르면 내년 착공해 2025년 상업가동을 시작할 것으로 예상된다. LCI는 롯데케미칼과 롯데케미칼의 말레이시아 자회사 롯데케미칼 타이탄이 49대 51 지분을 보유한 회사다. 44억 달러(약 5조720억원)를 쏟아 대형 석유화학 공장을 증설하는 라인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인도네시아 서부 자바섬 찔레곤에 에틸렌 100만t과 에틸렌글리톤 70만t, 부타디엔 14만t, 폴리에틸렌 60만t, 폴리프로필렌 60만t 등을 생산할 수 있는 공장이 지어진다. LCI는 연초 착공할 계획이었지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유행과 경기 불확실성으로 일정을 미뤘다. 올 들어 업황이 개선되며 사업을 긍정적으로 검토하기 시작했다. 박현철 LC타이탄 대표이사는 지난 3월 29일 발표한 '2020년 연례보고서'에서 "1분기부터 백신 배포로 감염률이 안정화될 것"이라
[더구루=오소영 기자] 롯데케미칼과 미국 웨스트레이크 케미칼(옛 엑시올)의 합작사 LACC LLC(이하 LACC)가 맥더멋 인터내셔널에 에탄크래커(ECC) 공장의 히터 엔지니어링 서비스를 맡겼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LACC는 맥더멋과 7번째 히터 설계·조달·시공(EPC) 계약을 체결했다. 맥더멋은 루머스 테크놀로지(Lummus Technology)와 협업해 ECC 설비에 히터를 설치한다. 오는 2023년 가을 완료할 예정이다. 1923년 설립된 맥더멋은 에너지·석유화학 등 여러 분야에서 엔지니어링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다. 미주와 중동, 중앙아시아 등에 진출했다. SK E&S, 프랑스 토탈이 참여하는 바유-운단 가스전 내 생산정 3개 개발과 관련 엔지니어링·구매·시공·설치(EPCI)를 제공한 바 있다. LACC와도 ECC 건설 때부터 협력을 이어왔다. LACC는 맥더멋과 협업해 미국 공장 가동에 박차를 가한다. LACC는 31억 달러(약 3조5600억원)를 쏟아 루이지애나주 레이크찰스 102만㎡(약 31만평) 부지에 ECC를 지었다. 2019년 5월 준공해 가동에 돌입했다. 연간 100만t의 에틸렌과 70만t의 에틸렌글리콜(EG)을 생산하며 롯데케
[더구루=홍성일 기자] 일본 모바일 게임 시장이 다운로드 수 정체에도 불구하고 높은 사용자당 평균 수익(ARPU)을 기반으로 아시아 2위 자리를 굳건히 지키고 있다. 충성도 높은 이용자 기반과 효과적인 수익화 전략이 일본 시장의 강점이자 한계가 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미국 항공우주국(NASA, 나사) 연구진이 슈퍼컴퓨터를 통해 지구 생명체의 '종말 시점'을 예측했다. 나사는 인류가 다른 생명체보다 훨씬 이른 시점에 생존 위기를 맞을 것으로 전망하며 대안 마련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내놓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