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민간 에너지 개발업체 페르미 아메리카(Fermi America™)가 3억5000만 달러(약 4900억원) 상당의 자금을 확보했다. 대규모 발전시설을 지어 하이퍼스케일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를 가동하는 사업에 투입한다. 1단계 건설을 본격 추진하며 현대건설, 두산에너빌리티, 삼성물산 등 한국 기업들과의 파트너십도 빠르게 진전될 전망이다. [유료기사코드] 2일 페르미 아메리카에 따르면 지난달 말 3억5000만 달러 규모의 자금 조달을 완료했다. 시리즈C 라운드를 통해 1억 달러(약 1400억원)의 투자를 유치했으며, 선순위 대출로 2억5000만 달러(약 3500억원)를 확보했다. 모두 맥쿼리 그룹(Macquarie Group)이 주도했다. 페르미 아메리카는 릭 페리 전 미국 에너지부 장관이 공동 설립한 회사다. 미국 텍사스주 아마릴로 외곽 약 2335만㎡ 부지에 세계 최대 규모의 민간 전력망과 하이퍼스케일 AI 데이터센터를 구축하는 하이퍼그리드(HyperGrid™)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AP1000 대형 원전 4기(4GW)와 소형모듈원자로(2GW), 가스복합화력(4GW), 태양광 및 배터리 에너지저장시스템(1GW) 등 총 11G
[더구루=정등용 기자] DL이앤씨가 인도네시아(인니) 원전 시장 진출을 노리고 있다. 인니는 오는 2039년까지 첫 상업용 원전 개발을 계획하고 있어 사업 가능성이 높은 지역으로 주목 받고 있다. 2일 인니 정부에 따르면, 인니 원자력안전위원회(BAPETEN)와 BAPETEN 산하 원자력설비·핵물질 시스템기술연구센터(P2STPIBN)는 지난달 25일 DL이앤씨 관계자들과 SMR(소형모듈원자로) 협력 가능성을 논의했다. 이 자리는 박성남 DL이앤씨 인니 대표 사무소 소장과 타루니야티 한다야니 P2STPIBN 센터장이 주재했으며, SMR 기술 동향과 고온가스냉각로(HTGR) 설계에 관한 최신 정보를 공유하기 위해 마련됐다. DL이앤씨 대표단은 이 자리에서 미국 SMR 기업 엑스에너지(X-energy)가 개발한 비경수로형 4세대 SMR ‘Xe-100’의 기술 잠재력을 소개했다. Xe-100은 전력 외에 산업용 열 공급과 청정 수소 생산 등으로도 활용 가능해 인니의 탈탄소화 의제와 부합한다는 게 DL이앤씨 설명이다. BAPETEN은 "HTGR과 같은 비전통적 원자로를 포함해 모든 기술 발전이 국제 안전 기준에 부합하도록 유연한 규제 체계를 지속적으로 발전시키겠다"는
[더구루=김나윤 기자] 은(銀) 가격이 2011년 이후 처음으로 온스당 40달러(약 5만6000원)를 넘어섰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인하 기대와 달러 약세, 공급 불안이 맞물리면서 상승세가 이어졌다. 지난 1일(현지시간) 은 선물은 2.7% 급등한 온스당 40.72달러에 마감했다. 2011년 9월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금값 역시 1.2% 상승해 지난 4월 최고치인 온스당 3500달러(약 490만원) 바로 아래에서 거래됐다. 미국 투자은행 모건스탠리(Morgan Stanley)는 "연준의 금리 인하, 달러 약세, 인도의 수입 증가 등이 금과 은가격에 모두 상승으로 작용할 것"이라며 "금은 약 10% 추가 상승 여력이 있는 반면 은은 이미 우리의 전망치에 근접해 있고 일시적으로 이를 넘어설 가능성도 있다"고 밝혔다. 덴마크 투자은행 삭소뱅크(Saxo Bank)의 원자재 전략 책임자 올레 한센(Ole Hansen)은 “금, 특히 은은 미국 인플레이션 압력과 소비자 심리 약화, 금리 인하 전망에 힘입어 지난달 말부터 강한 랠리를 이어가고 있다”며 “여기에 연준 독립성에 대한 우려까지 더해졌다”고 분석했다. 연준 내부 발언도 기대감을 키웠다. 메리
[더구루=이연춘 기자] 젝시믹스가 대만 수도 타이베이에 정규 3호 매장을 오픈하며 대만 공략에 속도를 내고 있다. 앞서 지난 3월 타이중 친메이 백화점에 1호매 장을 오픈한 젝시믹스는 장기 팝업 중인 타이베이 브리즈 난산 백화점을 3월에 정식 매장으로 전환해 총 3개의 정식매장을 운영하게 됐다. 2일 젝시믹스에 따르면 대만 3호 매장은 수도 타이베이에 위치한 신광미츠코시백화점 신이 신천지점에 위치하고 있다. 신광미츠코시백화점 신이 신천지점은 각 연령별 소비층을 겨냥해 A4, A8, A9, A11 총 4개의 관을 운영 중이며, 젝시믹스는 젊은층들의 수요가 높은 A11관 4층 스포츠의류매장에 입점했다. 대만은 K브랜드에 대해 상당히 관심이 높아 신광미츠코시 역시 다양한 K패션과 푸드들이 입점하고 있다. 젝시믹스는 젊은층들의 유입인구가 높은 신광미츠코시 백화점에서 젝시믹스를 K애슬레저의 대명사로 이미지를 굳힐 계획이다. 그동안 젝시믹스는 현지 자사몰 외에도 오픈마켓 쇼피 내 공식 브랜드몰과 라인쇼핑몰 등을 통해 운영하고 있으며, 타이베이, 신베이, 타이난, 가오슝 지역 등으로 지속적으로 팝업을 진행하는 등 온오프라인 전방위적으로 고객 접점 확대에 집중했다. 현지
[더구루=진유진 기자] 글로벌 군사 전문가가 캐나다 싱크탱크를 통해 'K방산'을 적극 활용해야 한다고 조언했습니다. 캐나다 온타리오 싱크탱크 '맥도날드-로리에 연구소'에 따르면 스티브 맥베스 뉴질랜드 방위군 전략개념국장은 지난달 27일(현지시간) "마크 카니 총리가 말한 자주 국방 구상을 실현하려면 한국산 무기체계를 도입해야 한다"며 "이미 실전 검증이 끝났고 신속한 인도가 가능하며 글로벌 정비망이 뒷받침된 한국산 무기체계는 캐나다 육군 재건의 촉매제가 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더구루 홈페이지에서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 더구루 인사이트 영상 보기 ◇ 상세 기사 "한국, 캐나다 재무장의 촉매제" 加 유력 싱크탱크, K-방산 도입 촉구
[더구루=김은비 기자] 에코프로가 인도네시아 국부펀드 '다난타라(Danantar)'와 중국 '거린메이(격림미·이하 GEM)'를 주축으로 한 니켈 기반 배터리 소재 제조기지 구축 사업에 힘을 보탭니다. 세계 최대 니켈 매장·생산국인 인도네시아의 풍부한 자원을 기반으로 공급망을 안정화하고, 글로벌 경쟁력을 동시에 강화하려는 전략으로 풀이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더구루 홈페이지에서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 더구루 인사이트 영상 보기 ◇ 상세 기사 [단독] 에코프로, 인니 국부펀드와 '니켈 가공 허브' 추진…'세계 1위 전구체 기업' GEM 가세
[더구루=오소영 기자] 한화오션이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미국법인 대표단과 만났다. 해군 기지와 첨단 연구 시설을 갖춘 한화오션의 시흥 연구소를 둘러봤다. 육상에서 해상으로 확대되는 한미 방산 협력에 대응해 '내부 결속'을 다졌다. 1일 로저 캠프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미국법인(한화디펜스USA) 시니어 디렉터에 따르면 최근 소셜미디어 '링크드인'을 통해 지난달 말 방한해 정승균 특수선해외사업단장(부사장)을 비롯해 한화오션 임직원들과 만났다고 전했다. 이들은 지난달 25일 경기 평택 해군 제2함대사령부를 찾아 허성재 사령관과 회동했다. 사령부의 주요 임무를 청취하고 한국 해군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는 시간을 가졌다. 이어 경기 시흥에 위치한 한화오션 R&D캠퍼스를 방문해 상업용으로는 세계 최대 규모인 공동수조와 예인수조, 스마트십 플랫폼 'HS4' 등 주요 시설을 관람했다. 이번 투어는 한미 방산 협력이 활발한 분위기 속에 본사와 미국법인의 결속력을 강화하는 차원에서 이뤄졌다. 한화그룹은 '마스가(MASGA·미국 조선업을 다시 위대하게)' 프로젝트를 주도하고 있다. 한화오션과 한화시스템 공동으로 작년 12월 필리조선소를 인수하고 본격 투자에 나섰다. 50억 달러(
[더구루=정예린 기자] 삼성이 지난달 중국에서 650건이 넘는 특허 승인을 획득하며 기술 포트폴리오를 대폭 확장했다. 반도체, 통신, 인공지능(AI), 바이오 등 차세대 전략 산업 분야에서 기술 경쟁력을 강화하는 한편 중국 시장에서 지식재산권(IP) 확보에 꾸준히 공을 들이는 모양새다. 1일 중국 국가지식산권국(CNIPA)에 따르면 CNIPA는 지난 8월 한 달 동안 삼성전자, 삼성디스플레이, 삼성SDI, 삼성전기, 삼성바이오로직스, 삼성메디슨 등이 2016년부터 올해 초까지 출원한 658건의 특허를 승인했다. 승인일은 총 9일로, 하루 평균 73건의 특허가 등록됐다. 계열사별로는 삼성전자가 338건으로 전체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며 가장 많은 특허를 확보했다. △삼성디스플레이(222건) △삼성SDI(84건) △삼성전기(12건) △삼성메디슨(1건) △삼성바이오로직스(1건) 등이 뒤를 이었다. 삼성전자가 출원한 특허 중 가장 눈에 띄는 것은 ‘무인 항공기를 지원하는 무선 직접 통신 시스템에서 전송 자원을 선택하는 방법 및 장치(특허번호 CN120530707A)’다. 이는 드론이나 도심항공교통(UAM) 기기처럼 빠르게 이동하는 비행체가 지상 기지국이나 다른 항공기
[더구루=진유진 기자] 국내 대표 복합리조트 파라다이스시티가 오는 2일부터 내년 2월 22일까지 미국 뉴욕 출신 세계적 팝아트 작가 조엘 메슬러(Joel Mesler)의 국내 첫 개인전 '파라다이스 파운드(Paradise Found)전'를 연다. 이번 전시는 국내 최대 아트페어 '키아프리즈(키아프 서울+프리즈 서울)' 개막 시점에 맞춰 기획돼 글로벌 아트 관계자와 대중의 관심을 동시에 끌 것으로 기대된다. 최종환 파라다이스 대표이사는 1일 인천 영종도 파라다이스시티 아트스페이스에서 열린 미디어행사에서 "파라다이스는 지난 2017년 '아트테인먼트(Art-tainment)'를 표방하는 동북아 최초 복합 리조트로 개장했다"며 "조엘 메슬러의 국내 첫 개인전은 치유와 희망이라는 메시지를 담아 파라다이스에도 큰 의미가 있다"고 밝혔다. 이어 "앞으로도 글로벌 아티스트 전시는 물론 국내 신진 작가 지원에도 힘쓸 것"이라고 덧붙였다. 파라다이스시티가 이번 전시를 기획한 시점은 전략적 의미가 크다. 매년 9월 열리는 '프리즈 위크(Frieze Week)'는 서울 전역을 중심으로 국제 컬렉터와 전시 관계자가 모여드는 행사다. 인천공항과 불과 5분 거리에 위치한 파라다이스시티
[더구루=김나윤 기자] 베트남의 암호 화폐 시장 규모가 29억 달러, 약 4조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됐다. 현지 진출을 준비 중인 업비트의 '두나무'에게도 호재가 될 전망이다. 미국 투자 전문 매체 에이인베스트(AInvest)는 "베트남 암호화폐 시장은 젊은 인구 구조와 높은 모바일 보급률을 기반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며 "내년까지 연평균 21.5% 성장해 29억 달러 매출을 기록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통계에 따르면 베트남 1억명의 인구 중 33세 이하 비중이 약 50%에 달한다. 80% 인구가 모바일 인터넷을 쓸 수 있으며 이미 암호화폐를 갖고 있는 인구 역시 2100만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베트남은 지난 6월 '디지털 기술 산업법'을 통과시키며 암호화폐 제도권 편입에 속도를 내고 있다. 내년 1월 시행되는 이 법은 암호화폐를 법적 재산으로 인정하고 거래소 라이선스, 블록체인 스타트업 세제 혜택, 자금세탁방지 규정 등을 포함하고 있다. 그동안 불투명했던 규제 환경이 정비되면서 암호화폐 거래소의 제도권 참여 통로가 열리게 된 셈이다. 법적 기반이 완비되면 ETF·구조화 채권 등 암호화폐 연계 상품 출시도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업비트 브랜드
[더구루=김예지 기자] 삼성전자가 동남아시아 최대 규모 기업간거래(B2B) 전용 전시 공간을 열었다. 아세안 시장 내 기술 리더십을 공고히 하고 태국을 전략적 거점으로 삼아 B2B 생태계 확장에 본격적으로 나서기위한 신호탄으로 풀이된다. 1일 삼성전자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태국의 대기업 사하 그룹 계열사인 사하 파타나 인터홀딩 (Saha Pathana Inter-Holding, SPI)과 협력해 ' 삼성 비즈니스 경험 스튜디오(Samsung Business Experience Studio, 이하 BES)'를 태국 방콕에 공식 개소했다. BES는 방콕 중심부에 위치한 '킹스퀘어 커뮤니티 몰(King's Square Community Mall)' 내 898㎡(약 271평) 규모로 조성됐다. 동남아시아에서 가장 큰 삼성 B2B 전시·체험 공간이다. 단순한 제품 전시를 넘어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스마트싱스(SmartThings) 등 최신 기술이 접목된 기업 맞춤형 솔루션을 실시간으로 체험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BES 내부는 실제 비즈니스 환경을 모사한 △AI 컨트롤 룸 스마트 오피스 △AI 기반 리테일 △호텔 △주거 공간 △교육 공간 등으로 구성
[더구루=정등용 기자] 한국 데이터센터 건설 시장이 오는 2033년까지 두 배 이상 성장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한국의 급속한 디지털 전환과 함께 정부의 데이터 인프라 지원 정책을 핵심 원동력으로 꼽았다. 미국 글로벌 시장 조사기관 ‘베리파이드 마켓 리포츠(Verified Market Reports)’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33년 한국 데이터센터 건설 시장 규모 및 전망’ 보고서를 1일 공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 데이터센터 건설 시장 규모는 올해 45억 달러(약 6조2700억원)에서 오는 2033년 98억 달러(약 13조6500억원)로 두 배 이상 커질 것으로 예상됐다. △한국의 급속한 디지털 전환 △데이터 인프라 지원을 위한 정부 정책 △클라우드 서비스 수요 증대를 요인으로 들었다. 보고서는 “한국은 아시아 태평양 지역 내 선도적인 데이터센터 시장 중 하나로, 인프라에 대한 상당한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다”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디지털 경제 이니셔티브를 촉진하는 정부 정책이 시장 확장을 주도하고 있다”고 평가하며 “주요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업체들이 해당 지역 내 데이터센터 입지를 확대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보고서는 “한국에서는
[더구루=오소영 기자] 호주 폐배터리 재활용 회사 리비움(Livium Limited, 옛 리튬오스트레일리아)의 자회사 엔바이로스트림(Envirostream Australia Pty Ltd)이 희귀 금속의 회수 기술 개발에 나선다. 금속 회수 기술을 보유한 아이온드라이브(Iondrive)에 재활용 원료를 제공하고 테스트를 수행한다. 지속가능한 회수 기술의 상업화를 앞당기고 재활용 산업의 성장을 견인한다. [유료기사코드] 18일 아이온드라이브에 따르면 엔바이로스트림과 심층공융용매(DES) 상용화를 위한 텀시트(term sheet·조건합의서)를 체결했다. DES는 특정 금속 이온을 선택적으로 용해하거나 침전시켜 희귀 금속을 추출할 수 있는 친환경 기술이다. 아이온드라이브는 DES 공정 테스트에서 유의미한 성과를 냈다. 폐배터리를 분해해 얻은 검은 가루 형태의 중간 가공품 '블랙매스'에서 95%가 넘는 희귀 금속 회수율을 기록했다. 연말 시운전을 목표로 파일럿 설비도 건설하고 있다. 엔바이로스트림은 이번 텀시트에 따라 파쇄된 태양광 폐패널과 셀, 블랙매스, 희토류 자석, 전자폐기물 등을 수집해 아이온드라이브에 제공한다. 아이온드라이브의 DES 기술·경제성 테스트에
[더구루=홍성일 기자] 마이크로소프트(MS)의 멕시코 핵심 데이터센터가 전력망 문제로 가스 발전기를 사용한 것으로 확인됐다. 인공지능(AI) 시대를 맞아 멕시코에 대한 빅테크 기업들의 투자가 급증하고 있지만, 이를 뒷받침할 전력 인프라의 한계가 장애물이 되고 있다는 평가다. [유료기사코드] 8일 업계에 따르면 MS가 지난해 5월 멕시코 케레타로주 콜론에 오픈한 하이퍼스케일 데이터센터 '멕시코 센트럴(Mexico Central)'은 올해 2월부터 6개월 가량 가스 발전기 7대에 의존해 운영됐다. MS가 멕시코 환경당국에 제출한 서류에 따르면 해당 발전기는 올해 2월부터 7월까지 하루 12시간동안 가동됐으며 데이터센터가 요구하는 전력량의 70%를 공급했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5만4000가구가 1년동안 배출한 양과 같은 이산화탄소가 배출됐다. MS는 2024년 5월 오픈 이후부터 올해 1월까지는 어떻게 에너지를 공급했는지, 7월 이후 가스 발전기를 운영할지 여부 등에 대해서는 함구하고 있다. 멕시코 센트럴이 자체 가스 발전기를 동원한 배경에는 전력망의 건설 지연이 있다. 멕시코 센트럴은 중남미 지역의 첫 지역 리전으로, MS는 해당 데이터센터 구축과 교육 프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