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한아름 기자] 독일 바이오 기업 에보텍(Evotec SE)이 미국 헌팅턴병 연구 재단 'CHDI'와 협력을 이어간다. 양사는 지난 2004년부터 20년간 헌팅턴병 극복을 위해 신약 공동 연구 프로젝트를 진행해 왔다. 에보텍은 일동제약과 대사이상 관련 지방간염(MASH) 치료제를 공동 연구하면서 국내에 알려졌다. [유료기사코드] 3일 CHDI에 따르면 에보텍과 헌팅턴병 혁신신약 공동 연구개발 관련 업무협약을 갱신했다. 두 기관은 협약 갱신 기간은 명확히 밝히지 않았으나 그간의 협력 성과를 바탕으로 협조체제를 유지하고 더욱 발전시켜 나가기로 합의했다. 새로운 기전의 헌팅턴병 치료제를 연구개발하고 관련 기업이나 단체 등 간의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등 다양한 분야에서 긴밀히 협력한다는 방안이다. 구체적으로 CHDI는 에보텍의 정밀 의학 플랫폼을 기반으로 헌팅턴병 치료제 연구에 박차를 가한다는 계획이다. 정밀 의학 플랫폼이란 인공지능(AI)으로 의학과 유전체, 생활 데이터 등을 분석하고 신약 개발에 활용하는 것을 말한다. CHDI는 지난 2004년 미국 캘리포니아주에서 설립된 비영리 헌팅턴병 연구 조직이다. 헌팅턴병 환자의 삶의 질을 개선하고 효과적인 치료제를
[더구루=길소연 기자] 인도네시아 최대 국영조선소 PT PAL(PT Penataran Angkatan Laut)가 인도, 방글라데시, 파키스탄 해군을 상대로 잠수함 유지보수운영(MRO) 사업을 유치한다. [유료기사코드] 3일 업계에 따르면 PT PAL은 인도, 방글라데시 등 남아시아 국가 해군과 잠수함 MRO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초기 협상을 시작했다. 방글라데시는 중국의 밍(MING, 明)급 재래식 잠수함 2대를, 파키스탄은 코스모스(COSMOS)급 소형 잠수함, 아고스타(Agosta)-70급, 아고스타-90B급 잠수함을 보유하고 있다. 인도는 타입(Type) 209급 쉬슈마(Shishumar), 킬로(Kilo)급, 스코르펜(Scorpene)급 잠수함을 갖고 있다. 락스마 위란토(Laksma Wiranto) PT PAL 잠수함 사업부 총책임자는 "남아시아 해군과 지난달 20일부터 일주일 동안 PT PAL에서 MRO 작업을 유치할 수 있도록 협상했다"고 밝혔다. 이어 "PT PAL가 잠재적인 잠수함 MRO 고객으로부터 관심과 신뢰를 받는건 우리가 개발하고 있는 시설의 품질을 입증하는 것"이라며 "남아시아 해군의 관심은 PT PAL 시설이 잠수함 건조와 M
[더구루=김형수 기자] 이커머스 플랫폼 테무(Temu)를 운영하는 중국 핀둬둬홀딩스(이하 PDD)이 대륙을 집어 삼켰다. 시가 총액이 경쟁사인 알리바바(Alibaba), 징동닷컴(JD.com) 등의 크게 앞질렀다. 최근 콜롬비아에 이어 브라질 등 중남미 시장까지 진출하며 글로벌 몸집 키우기를 본격화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3일 미국 시가총액 조사사이트 컴퍼니스마켓캡(CompaniesMarketCap)에 따르면 PDD의 현재 시가총액은 2080억달러(약 287조2270억원)로 집계됐다.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2.25배 급증했다. 알리바바(1894억4000만달러·약 261조6360억원), 징동닷컴(453억2000만달러·약 62조5910억원) 등의 시가총액을 크게 웃도는 수치다. PDD 실적이 개선되면서 주가가 우상향했다. 지난달 31일 기준 PDD 주가는 149.75달러(약 20만6820원)를 기록했다. 지난해 5월26일(71.42달러·약 9만8620원)에 비해 약 2.10배 상승한 수치다. PDD가 지난 1분기 올린 매출은 120억2330만달러(약 16조6030억원)로 전년 동기에 비해 131% 상승했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275% 급증한 35억97
[더구루=길소연 기자] 호주 철강석 생산업체 포테스큐(Fortescue)가 9억 달러(약 1조2000억원) 규모의 신조선을 발주한다. 호주 철강석 업체에서 그린 에너지 공급업체로 변신하면서 선대를 개편한다. [유료기사코드] 31일 업계에 따르면 포테스큐는 프로젝트 콘술(Project Consul)에 따라 5척의 뉴캐슬맥스 벌크선과 5척의 초대형 암모니아 운반선(VLAC) 등 총 10척의 선박을 주문한다. 벌크선은 4억 달러(약 5500억원) 규모로, VLAC는 5억 달러(약 6800억원) 수준으로 주문할 전망이다. 뉴캐슬맥스 벌크선은 뉴캐슬 항구에 진입할 수 있는 가장 큰 유형의 벌크선이다. 18만5000DWT 이상의 적재용량을 가진다. 사양과 연료 공급에 따라 8000만 달러(약 1100억원)부터 책정되고 있다. 포테스큐는 신조선 건조 조선소로 한국과 중국 조선소를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 조선소의 VLAC 평균 수주가는 척당 1억2000만 달러(약 1650억원) 수준이다. 중국 조선소의 VLAC 선가는 한국보다 2000만 달러 적은 척당 1억 달러(약 1370억원)를 조금 넘는 것으로 알려졌다. 포테스큐는 철광석 생산업체에서 그린 에너지 공급
[더구루=윤진웅 기자] 인도 자동차 부품 업체 NDR 오토(NDR Auto Components)가 생산 능력 확대를 위한 토지 인수에 나섰다. 기존 공장의 생산 능력이 초과하기 전, 생산능력(캐파) 확장에 들어간 것이다. 특히 현지 주요 고객사인 마루티 스즈키와 기아 공장이 인접한 곳에 신공장을 마련해 부품 공급업체로서의 역할을 확대하겠다는 의지를 나타내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31일 업계에 따르면 NDR오토는 최근 카르코다(Kharkhoda) 지역 토지를 인수한 데 이어 아난타푸르(Anantapur) 지역 토지 인수를 검토하고 있다. 이들 지역은 주요 자동차 공장이 위치한 것이 특징이다. 카르코다는 로컬 브랜드 마루티 스즈키 공장이, 아난타푸르는 기아 공장이 있다. NDR오토는 새로 인수한 토지에 부품 공장을 설립할 계획이다. 하리아나와 방갈로르, 구자라트에 있는 기존 공장 생산 능력이 초과되기 전 생산 능력을 키워야 한다는 판단에서다. 현재 기존 공장 생산 능력은 80%까지 확대된 상태이다. 프라나브 릴란(Pranav Relan) NDR오토 전임 이사는 "하리아나와 방갈로르, 구자라트에 있는 기존 공장 활용도가 80%에 달했다"며 "신공장 가동은 이르면
[더구루=윤진웅 기자] 일본 토요타가 미국 최대 전기차 충전소 기업 EV고(EVgo)와 손잡고 전기차 충전 인프라 구축에 나선다. 하이브리드차량 생산과 개발에 올인하면서도 향후 순수 전기차(BEV) 시장 내 입지를 키워나갈 수 있는 기반을 만드는 작업을 병행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30일 업계에 따르면 토요타는 전날 EV고와 고속 충전기 공동 설치를 위한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이번 파트너십에 따라 양사는 캘리포니아 볼드인파크(Baldwin Park)와 새크라맨토(Sacramento) 지역에 350kW급 고속 충전기 설치에 나설 계획이다. 이들 지역은 소득 수준과 인구 통계, EV 보급률을 비롯해 공해 노출도 검색 시스템 캘엔바이로스크린(CalEnviroScreen)를 통한 대기질 조사 결과를 토대로 선정됐다. 볼드윈파크에 들어서는 충전소는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10번 고속도로와 약 1마일(약 1.6km) 위치에 마련된다. 충전 시설뿐 아니라 식료품점과 레스토랑 등 편의 시설도 갖춰진다. 세크라멘토 충전소도 마찬가지로 교통량과 접근성을 고려해 대형 쇼핑몰인 아덴페어 인근에 지어진다. 이들 충전소는 내년 2025년부터 이용 가능할 전망이다. EV고가 운영 전
[더구루=길소연 기자] 인도군의 K9 '바지라(Vajra)' 자주포 100문 추가 도입이 내달 결론난다. 현재 인도 내각 안보위원회의 의제로 올라와 있지만 인도 총선으로 승인이 미뤄지고 있다. 선거는 4월19일부터 6월1일까지 단계적으로 실시되며, 6월4일에 개표가 완료된다. [유료기사코드] 30일 업계에 따르면 인도국방과학연구소(DRDO)는 육군의 K9 바지라 자주포 100문 추가 도입 요청에 대한 정부 승인을 기다리고 있다. 당초 3월 승인날 예정이었으나 인도 총선으로 연기됐다. 인도군은 운용 중인 K9의 성능에 만족감을 드러내면서 기존 조달 과정으로 재주문을 요청했다. 인도 국방부가 지난 2022년 11월에 라센앤투브로(L&T)에 주문한 100문은 지난달 인도 완료됐다. <본보 2024년 5월 11일 참고 인도軍, K9 '바지라' 자주포 100문 추가 도입 완료> 이번 추가 주문은 L&T의 적시 납품과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효과적인 기술 이전이 높은 평가를 받으며 진행됐다. 인도군은 중국과의 국경 분쟁 지역인 라다크에 중국 제압용으로 K9 바지라를 추가 배치할 계획이다. 인도 국방부 관계자는 "K-9 바지라 자주포 추가 주문과 수
[더구루=정예린 기자] 일본 과학자 마사토 사가와 씨가 유럽에서 최고 발명가 파이널리스트에 선정됐다. 전기자동차 성능을 획기적으로 끌어올릴 수 있는 희토류 기반 영구자석 개발 성과를 인정받으면서다. 30일 유럽특허청(EPO)에 따르면 사가와 씨는 유럽특허청이 수여하는 '2024년 유럽 발명가상(비유럽부문)' 최종 후보 3인에 포함됐다. 수상자는 오는 7월9일 몰타에서 열리는 시상식에서 결정된다. 유럽특허청 심사위원단은 사가와 씨가 개발한 네오디뮴 영구자석 분말 소결 공정을 높게 평가했다. 소결은 1000도 이상 고온에서 열처리를 통해 다양한 자기 부품의 분쇄된 입자를 결합시키는 공정이다. 네오디뮴 영구자석 생산의 핵심 공정으로 꼽힌다. 사가와 씨는 소결 공정을 바탕으로 1982년 네오디뮴 영구자석을 최초로 발명했다. 네오디뮴 영구자석 발명가로 이름을 널리 알리며 일본에서 노벨상 수상이 기대되는 가장 강력한 후보로 거론되고 있다. 지난 2022년 ‘공학계의 노벨상’이라 불리는 ‘엘리자베스 여왕 공학상’도 받은 바 있다. 희토류인 네오디뮴 희토류 기반 영구자석은 높은 자기(磁氣) 성능을 가지고 있다. 단 1g(그램)으로 3kg(킬로그램)의 쇳덩어리를 들어 올릴
[더구루=길소연 기자] 호주 해군이 110억 호주달러(약 10조원) 규모의 호위함 조달 전략을 공개했다. 호주 해군은 오는 2029년까지 11척의 호위함을 도입하기 위해 '제로 체인지' 전략을 채택한다. 제로 체인지 전략은 해외 플랫폼 설계 변경없이 호주 무기를 통합해 해군의 요구사항을 충족하는 전략이다. [유료기사코드] 29일 업계에 따르면 호주 왕립 해군(RAN)은 티어2 범용 유도미사일 호위함 11척 획득을 위해 제로 체인지 전략을 추진한다. 설계 변경 없이 해외에서 설계된 호위함 플랫폼을 호주 고유의 무기, 센서, 전투 시스템을 통합해 RAN 표준과 요구 사항을 충족하도록 맞춤화한다. 스티븐 휴즈(Stephen Hughes) 호주 해군 제독은 최근 영국 판버러에서 열린 2024 국방지도자연합 해군 행사(CNE)에서 "티어2 범용 호위함 획득을 위한 올바른 접근 방식은 제로 체인지"라며 "2026년 말까지 군함 획득 프로그램을 진행해 2029년에 첫 함정을 인도할 수 있게 한다"고 말했다. 그는 "새로운 범용 호위함을 최대한 빨리 도입해 노후된 안잭(Anzac)급 호위함을 대체하는 것이 목표"라며 "'속도 대 능력'에 중점을 두어 신속하고 위험이 낮은
[더구루=길소연 기자]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이하 한화에어로)의 호주형 K9 자주포 'AS9 헌츠맨'이 호주 엔지니어링·철강 제조업체 TEi 서비스(TEi Services)의 부품을 공급받는다. 호주 장갑차(IFV) 사업에서 '팀 한화'로 협력한 TEi 서비스는 호주 육군의 자주포 도입 사업 '랜드(LAND) 8116'에도 힘을 보탠다. 29일 업계에 따르면 한화에어로는 최근 TEi 서비스와 1000만 달러(약 136억원) 이상의 AS9 헌츠맨 부품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 TEi 서비스는 타운스빌 작업장에서 장갑 도어, 해치, 커버를 제조하고 완성된 제품을 빅토리아주 아발론에 있는 한화에어로 장갑차 생산시설(H-ACE)에 납품해 AS9 헌츠맨에 통합할 예정이다. TEi 서비스는 퀸즐랜드 북부 타운즈빌에 위치한 엔지니어링 업체이다. 엔지니어링, 제작, 코팅에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TEi는 55년간의 경험을 바탕으로 설계에서 시운전에 이르기까지 프로젝트를 관리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다. TEi 서비스는 한화에어로의 레드백 보병전투장갑차(IFV) 주요 제작 패키지 작업에도 협력했다. 한화에어로가 호주군 장갑차 사업 획득을 위해 진행한 로드쇼를 통해 협력업
[더구루=한아름 기자] 스와이어 코카콜라(Swire Coca-Cola Ltd.)가 중국 광둥성에 용기 생산 라인을 확충하기 위해 투자 보따리를 푼다. 중국 탄산음료 시장 주도권을 이어간다는 전략이다. [유료기사코드] 스와이어 코카콜라는 영국계 스와이어그룹이 지난 1965년 코카콜라 홍콩법인 지분을 인수하면서 설립된 병입 기업으로, △중국 △홍콩 △마카오 △대만 △캄보디아 △베트남 등에서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코카콜라 컴퍼니로부터 콜라 농축액을 받아 음료를 제조하고 병입한 후 시장에 판매·유통한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스와이어 코카콜라가 광둥성에 용기 생산 공장을 짓는다. 증설 비용은 1억7589만달러(약 2400억원)에 달한다. 신공장은 약 12만8000㎡(약 3만8720평) 규모로 지어진다. 축구장 15개를 합친 크기다. 공장에는 용기 생산 라인 11개와 보관 시설, 물류 창고 등이 들어선다. 완공 시 광둥 지사의 용기 생산 역량이 66%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스와이어 코카콜라는 광둥성에서만 5개의 용기 생산 공장을 운영 중이다. 총 14개의 용기 생산 라인을 운영 중이며 고객 수는 9000만명 수준이다. 향후 중국 탄산음료 시장의 성장세도 매
[더구루=길소연 기자] 아랍에미레이트(UAE) 국영 석유회사 애드녹(ADNOC)이 포르투갈 최대 종합에너지기업 갈프 에네르지아(Galp Energia, 이하 갈프)의 모잠비크 액화천연가스(LNG) 프로젝트 코랄 사우스(Coral South)의 지분을 매입했다. 애드녹은 지분 확보로 차세대 연료인 LNG의 안정적인 공급망을 구축한다. [유료기사코드] 28일 업계에 따르면 애드녹은 갈프의 모잠비크 4광구의 최초 상업화 프로젝트인 코랄 사우스 사업 지분 10%를 11억5000만 달러(약 1조 5000억원)에 매입한다. 애드녹은 성명을 통해 "갈프 에네르지아 SGPS SA로부터 모잠비크 에어리어 4광구의 지분을 매입할 것"이라고 밝혔다. 갈프 역시 별도 성명을 내고 "지분 매각으로 우선 6억 5000만 달러(약 8800만원)를 받게 되며, 두 개의 계획된 개발 단계가 진행될 때 최대 5억 달러(약 6800억원)의 추가 지불금을 받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애드녹이 지분을 확보한 코랄 사우스 사업은 모잠비크 4광구 내 삼성중공업이 건조한 부유식 액화설비(FLNG)로 바다에서 직접 가스를 채굴해 LNG를 생산한다. 삼성중공업은 코로나19 팬데믹에도 공사기간을 준수해 F
[더구루=정예린 기자] 테슬라 전 사장이 테슬라가 전기차 시장을 주도할 수 있었던 핵심 요인으로 일론 머스크 최고경영자(CEO)가 직접 주도한 실물 기반 제품 회의를 꼽았다. 수치를 담은 프레젠테이션 대신 실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직접 만지며 평가하는 방식이 빠른 피드백과 조직 내 긴장감을 동시에 가능하게 했다는 분석이다. [유료기사코드] 2일 미국 IT 전문 매체 '테크크런치'에 따르면 테슬라의 전 글로벌 세일즈·서비스 총괄 사장이자 현재 제너럴모터스(GM) 이사회 멤버인 존 맥닐은 최근 보스턴에서 열린 'TC 올 스테이지' 행사에서 "첫 번째 규칙은 슬라이드를 금지하는 것이었다"며 "우리는 항상 실제 제품을 검토해야 했다"고 밝혔다. 이어 "매주 고위 임원들과 제품 책임자들이 모여 프로토타입이든 하드웨어든 직접 만지고 작동해보며 진척 상황을 점검했다"며 "이런 문화가 조직에 긴장감을 주고 매주 진척과 혁신이 이어지게 했다"고 덧붙였다. 머스크 CEO의 회의 운영 철학은 애플 창업자 고(故) 스티브 잡스의 조언에서 비롯됐다. 맥닐은 "머스크가 잡스를 찾아가 '하드웨어 비즈니스를 시작하려 한다. 한 가지 조언만 해달라'고 하자, 잡스는 '완벽한 제품을 만
[더구루=김은비 기자] 유럽 전기차 충전 인프라 업체 알피트로닉(Alpitronic)이 미국 충전 시장에서도 빠르게 입지를 넓히고 있다. 테슬라에 이어 미국 내 두 번째로 큰 충전 하드웨어 공급업체로 떠오르며 업계 판도를 흔들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2일 충전 분석업체 파렌(Paren)에 따르면 알피트로닉은 지난 상반기(1~6월) 미국 급속 충전소 점유율 12%로 2위를 차지했다. 1위는 테슬라다. 점유율 36%를 기록했다. 3, 4위 차지포인트(ChargePoint)와 BTC파워였다. 점유율은 각각 9%, 8%로 집계됐다. 알피트로닉은 월마트·벤츠·아이오나 등 주요 파트너와 잇따라 계약을 체결하며 빠른 속도로 시장을 확장해온 것이 점유율 확대에 주효했다. 특히 GM·현대차·토요타 등이 참여한 초고속 전기차 충전 연합체 ‘아이오나(Ionna)’가 ‘프리미엄 EV 충전소’ 콘셉트인 ‘리차저리(Rechargery)’에 알피트로닉(alpitronic)의 ‘HYC 400’ 모델만을 단독 도입했다. 알피트로닉은 2023년 알피트로닉은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 샬럿에 본사 및 생산 거점을 두고 있는 이탈리아 볼차노(Bolzano) 기반의 전력전자 전문 기업이다. 최근에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