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이꽃들 기자] 롯데바이오로직스가 세계 최대 규모의 제약바이오 컨퍼런스에 참가해 글로벌 CDMO로서의 포지셔닝을 강조한다. 롯데바이오로직스는 듀얼 사이트의 이점과 검증된 품질 경쟁력 등 핵심 역량을 앞세워 글로벌 CDMO로서의 입지를 더욱 강화해 나갈 방침이다. 롯데바이오로직스는 28일부터 30일(현지시간)까지 독일 프랑크푸르트에서 열리는 'CPHI 월드와이드'에 참가한다. 이번 행사는 전 세계 2400여개의 기업과 6만명 이상의 방문객이 찾을 것으로 예상되며, 글로벌 제약바이오 업계 교류의 장이 될 것으로 보인다. 행사 1일차에는 장건희 기술개발부문장이 항체·약물 접합체(ADC) 세미나 세션의 연사로 나서 '롯데바이오로직스 ADC 플랫폼, 바이오 접합 개발 및 생산의 가속화'을 주제로 자사 ADC 생산시설의 경쟁력을 알린다. 같은 날 전시부스에서는 장준영 글로벌 BD부문장의 인부스 프레젠테이션을 통해 듀얼 사이트(Dual Site) 이점과 시러큐스 바이오 캠퍼스의 5000리터 바이오리액터 운용 강점 등 검증된 품질 경쟁력을 강조할 예정이다. 2일차에는 장건희 부문장이 인부스 프레젠테이션 발표로 일반 방문객들에게도 글로벌 ADC CDMO(위탁개발생산)
[더구루=이꽃들 기자] 한미약품이 개발 중인 차세대 비만신약 '에페글레나타이드(Efpeglenatide)'가 한국인 대상 임상에서 최대 30%에 달하는 체중감량 효과를 입증하며 '국민 비만약' 등극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구토, 오심 등 위장관계 이상사례 비율도 기존 약물 대비 두자릿수 낮게 나타나, 보다 건강한 체중감량 문화 확산에 기여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한미약품은 27일 공시를 통해 '에페글레나타이드' 3상 임상 중간 톱라인(Topline) 결과를 공개했다. 전체 64주 투약 및 관찰 중 40주차 데이터를 우선 공개한 것으로, 연내 허가신청을 염두에 둔 조치다. 회사는 "남은 기간 동안 추가 개선된 지표가 나올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번 임상은 국내 다수 대학병원에서 당뇨병이 없는 성인 비만자 448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무작위배정, 이중눈가림, 위약대조, 평행비교 방식으로 설계됐으며, 체중감소율 5% 이상 달성 비율을 주요 평가 지표로 삼았다. 그 결과, 5% 이상 감량자는 79.4%(위약 14.5%), 10% 이상은 49.5%(위약 6.5%), 15% 이상은 19.9%(위약 2.9%)로 나타났다. 에페글레나타이드 투여군의 평균 체중 변화
[더구루=이꽃들 기자] 롯데마트가 베트남 판티엣점을 전면 리뉴얼하며 그로서리 중심 매장에 속도를 내고 있다. 지난해 하노이센터점 리뉴얼에 이어 두번째다. 현지 소비 트렌드 변화와 관광 수요를 겨냥해 K-푸드 중심의 체류형 매장 모델을 강화, '그로서리 넘버원' 비전을 본격화한다는 구상이다. 27일 롯데마트에 따르면 베트남 판티엣점을 리뉴얼 오픈하고 현지 새로운 식문화를 선도할 '넘버원 그로서리 마켓'에 도전한다. 판티엣점은 이번 리뉴얼을 통해 현대적인 쇼핑 공간을 갖추고, 다양한 제품군별 특화 구역을 신설했다. 특히 한국 음식에 대한 베트남 소비자들의 높은 관심을 반영해 '요리하다 키친(Yorihada Kitchen)'과 '풍미소 베이커리(Poongmiso Bakery)' 등 K-푸드 특화 매장을 대대적으로 배치했다. 자체 브랜드(PB) '초이스 엘(Choice L)' 제품군도 별도 구역을 마련해 고품질 상품을 합리적인 가격에 제공한다. 이는 롯데마트가 한국에서 성공적으로 운영 중인 그로서리 전문 매장 '그랑 그로서리'의 노하우를 베트남 시장에 접목해 호응을 얻고 있다. 판티엣은 베트남 남부 빈투언성의 대표적인 해변 관광도시다. 롯데마트는 이러한 지역 특성을
[더구루=이꽃들 기자] 미국에서 바이오시밀러(바이오의약품 복제약) 승인 건수가 80건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상업적으로 출시된 제품도 58개에 달하면서 바이오시밀러가 환자 치료의 실질적 대안으로 자리잡고 있다는 평가다. 삼성바이오에피스는 27일 이같은 내용을 담은 '2025년 4분기 미국 바이오시밀러 시장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번 보고서는 지난 2023년 2분기부터 분기마다 발간된 시리즈의 열한번째다. 시장 동향뿐 아니라 미국 내 정책 변화가 바이오시밀러 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심층 분석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9월 말 기준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바이오시밀러 제품 80개(19개 오리지널 제제 대상)를 승인했다. 이중 73%인 58개 제품이 상업적으로 출시됐으며, 4개 제품은 출시 허가를 앞두고 있다. 보고서 발간 초기인 2023년 2분기 당시 승인 제품은 40개, 출시 제품은 28개였으나, 불과 2년 반 만에 각각 40개, 30개가 늘어난 셈이다. 특히 주목할 만한 동향으로는 아플리버셉트 바이오시밀러의 시장 진입이다. 현재 4개의 아플리버셉트 바이오시밀러 제품이 출시 승인을 기다리고 있으나, 시장에는 WAC(도매가)를 12% 할인한 경쟁 제품은
[더구루=이연춘 기자] 대웅제약은 세계 최초 신약(First-in-class)으로 개발 중인 특발성 폐섬유증(Idiopathic Pulmonary Fibrosis, IPF) 치료제 ‘베르시포로신(DWN12088)’의 임상 2상(NCT05389215)에서 3차 독립적 데이터 모니터링 위원회(Independent Data Monitoring Committee, IDMC)로부터 안전성 확인 및 임상 지속 권고를 재확인받았다. 대웅제약은 27일 지난 9월 23일 열린 3차 IDMC 회의에서는 등록 환자 89명을 포함한 중간 안전성 데이터가 심층 검토됐으며, 임상 지속에 영향을 미칠 중대한 이상 소견은 발견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대웅제약은 베르시포로신의 임상 2상을 계획대로 진행 중이며, 현재까지 전체 목표(102명)의 약 92%에 해당하는 94명의 환자 모집을 완료했다. 특발성 폐섬유증은 폐의 섬유화가 점진적으로 진행되어 호흡 기능이 저하되는 희귀질환으로, 현재 승인된 치료제는 질환의 진행을 늦추는 수준에 머물러 근본적인 치료 효과가 제한적이다. 이에 따라 기존 치료제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기전의 신약 개발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베르시포로신은
[더구루=이꽃들 기자] 엘앤케이바이오메드가 흉벽기형 수술 분야의 세계적 전문가들이 참석한 미국 학회에서 팩투스 제품에 대한 높은 평가를 받으며, 글로벌 시장 확대에 청신호를 켰다. 엘앤케이바이오메드의 미국 법인 이지스메디텍(Aegis Meditech, INC)이 지난 22일(미국 기준) 미국 버지니아 노퍽에 위치한 이스트턴 버지니아 의과대학(Eastern Virginia Medical School, EVMS)에서 열린 'NUSS Advanced Pectus Course 2025(흉벽학회)'에 참가해 자사의 '팩투스' 제품을 알렸다. 이번 학회는 세계적인 소아 흉벽재건센터인 킹스도터스 어린이병원(Children’s Hospital of The King’s Daughters, CHKD)과 이스트턴 버지니아 의과대학(Eastern Virginia Medical School, EVMS)이 공동 주최한다. 너스 수술법(Nuss Procedure)의 창시자인 도날드 너스(Donald Nuss)박사가 직접 참여해 전 세계 흉부외과 전문의들을 대상으로 최신 흉벽 교정술 및 관련 기술을 교육하는 자리다. '팩투스 코스'는 2003년 첫 개최 이후 올해로 제23회를 맞이하는
[더구루=이꽃들 기자] 셀트리온이 글로벌 제약·바이오 전시회에 참가해 해외 협력 네트워크를 넓힌다. 신규 바이오시밀러 출시로 확대된 생산 수요에 대응하고, 원부자재와 위탁생산(CMO) 부문 중심으로 글로벌 파트너십을 강화할 계획이다. 셀트리온은 오는 28일부터 30일(현지시간)까지 사흘간 독일 프랑크푸르트에서 열리는 'CPHI(Convention on Pharmaceutical Ingredients, 이하 CPHI) 월드와이드 2025'에 참가한다. 올해로 36회를 맞는 CPHI는 전 세계 170여개국, 6만여명의 업계 전문가들이 모이는 세계 최대 규모의 제약, 바이오 산업 전시회다. 셀트리온은 2022년부터 매년 전시장에 단독부스를 설치하고 브랜드 제고를 위해 활동했다. 올해 역시 행사장 메인 통로에 약 202㎡(61여평) 규모의 대형 단독 부스를 설치해 글로벌 경쟁력과 기술력을 집중적으로 선보일 예정이다. 부스에는 전용 미팅룸과 개방형 미팅 공간을 마련하고, 원활한 파트너링을 위해 부스 규모도 지난해보다 한층 확장했다. 현장에서는 부스 방문객들을 대상으로 기념품 제공 및 직접 체험 가능한 다양한 이벤트를 펼치면서 브랜드 홍보 활동을 진행할 계획이다. 특히
[더구루=이꽃들 기자] SK의 의약품 위탁개발생산(CDMO) 자회사 SK팜테코(SK pharmteco)가 미국 캘리포니아에 위치한 고활성원료의약품(HPAPI, Highly Potent Active Pharmaceutical Ingredient) 연구소에 610만 달러(약 85억원)를 추가 투자한다. 이번 투자를 토대로 펩타이드(Polypeptide) 합성 역량을 확대하고, 미국 내 원료의약품 생산 능력을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SK팜테코는 국내외 연구·개발 역량 향상을 통해 20억달러(약 2조8870억원) 이상의 매출을 올리고 글로벌 탑티어 반열에 오른다는 목표다. 요그 알그림(Joerg Ahlgrimm) SK팜테코 사장은 23일(현지시간) 캘리포니아주 랜초코르도바(Rancho Cordova)에 있는 자회사 AMPAC Fine Chemicals(AFC) 캠퍼스 내 펩타이드 합성 및 정제 시설을 확장한다고 발표했다. 610만달러를 신규 투자하고, 미국 펩타이드 개발과 국내 임상 및 상업 제조에 대한 증가하는 수요를 충족할 수 있는 입지를 마련한다는 게 알그림 대표의 설명이다. 신규 시설에는 실험실 규모의 SPPS(Solid Phase Peptide Synthes
[더구루=이꽃들 기자] 바이오 재생의료 전문기업 시지바이오가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한국 미용성형 기술을 전파하며 K-뷰티 확산에 나섰다. 현지 설립한 뉴룩클리닉(NULOOK Clinic)과 함께 국제 심포지엄을 열고, 아시아 미용의료 전문가들과 기술 교류를 강화했다. 시지바이오는 지난 18일(현지시간) 발리에서 '글로벌 미용 심포지엄(Meet the Masters in Bali)'을 성료했다. 올해로 3회째를 맞은 이번 행사는 현지 및 해외 미용성형 전문의 1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보툴리눔 톡신·필러·리프팅실 등 복합시술 트렌드를 공유했다. 심포지엄은 세개의 주요 세션으로 구성됐다. 첫번째 세션에서는 시지바이오의 최신 미용 기술 혁신을 주제로 한 학술 논문 발표가 진행됐다. 이어 두번째와 세번째 세션에서는 한국, 유럽, 라틴아메리카 등 글로벌 미용 트렌드를 주도하는 전문가들이 얼굴과 몸을 결합한 복합 시술 노하우를 공유했다. 인도네시아를 비롯한 현지 의사 다수가 참여해 최신 글로벌 임상 동향에 대한 통합적인 이해를 얻는 자리였다. 발리는 의료관광 인프라와 국제 접근성이 결합된 지역으로, 최근 미용시술 수요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시지바이오는 이를 기회로
[더구루=이꽃들 기자] 대웅제약이 인도네시아 최대 명문 공과대학인 반둥공과대학교(ITB)에 공동 연구소를 설립하고 동남아시아 시장을 겨냥한 혁신 신약 개발 역량 강화에 나섰다. 단순한 투자 차원을 넘어, 한국의 선진 제약 기술과 인도네시아의 풍부한 연구 인력을 결합해 '글로벌 R&D 허브'를 구축하겠다는 전략이다. 22일 대웅제약에 따르면 ITB와 손잡고 '대웅 약물전달 시스템 연구소(Daewoong Drug Delivery System Research Institute, DD-RI)'를 공식 출범했다. 이번 협력은 '약물전달시스템(DDS)' 혁신 기술 개발을 매개로 한 아시아 공동 연구 생태계 구축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국내 제형기술과 인도네시아의 인력 및 인프라를 결합, 현지 기반의 혁신 거점을 세웠다는 데 차별점이 있다. ITB 캠퍼스 내 설립된 시설은 제형(Formulation) 연구실, 분석(Analytical) 연구실, 안정성(Stability) 시험실, 제제 생산실 등을 갖췄다. 인도네시아 현지 연구진이 직접 참여하는 개방형 플랫폼 형태(Open Collaboration Hub)로 운영된다. 대웅제약은 DDS-RI를 '오픈 콜라보레이
[더구루=이꽃들 기자] 휴젤이 자사 보툴리눔 톡신 제제 '레티보(Letybo, 국내 제품명 보툴렉스)'의 중국 시장 진출 5주년을 맞았다. 레티보의 입증된 효과와 안전성을 앞세워 유통망을 확대하고 브랜드 인지도 강화에 주력해온 결과다. 휴젤은 중국 진출 5주년을 기념해 21일 중국 베이징에 위치한 '코뮨 바이 더 그레이트 월 호텔(Commune by the Great Wall)'에서 대규모 브랜드 행사를 성황리에 개최했다고 22일 밝혔다. 레티보의 지난 성장 여정과 미래 비전을 공유하기 위해 마련된 행사에는 중국 내 주요 KOL(Key Opinion Leader)과 중국성형협회 관계자 등 250여명이 참석해 자리를 빛냈다. 학술 세션에서는 중국 대형 의료미용그룹인 에스터(AIST) 그룹의 리친(Li Qin) 대표 원장과 한국 클림의원 김현옥 원장이 참여해, 중국 내 레티보 시술 트렌드와 글로벌 적용 사례를 중심으로 임상 인사이트를 나눴다. 초이하이얜(Cui Haiyan) 상하이 동제대학교 부속 동제병원 교수가 좌장을 맡은 토론 세션에선 글로벌 에스테틱 시장 진단 및 발전 방향과 의료진의 역할 변화에 대한 심도 깊은 논의가 이어졌다. 휴젤은 2020년 국내 기
[더구루=이연춘 기자] 제일약품은 지난 21일 서울 JW 메리어트호텔에서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 ‘자큐보정(성분명 자스타프라잔)’ 출시 1주년을 기념하는 심포지엄을 진행했다. 이번 심포지엄은 자큐보정 출시 이후 1년간 축적된 임상시험 및 실제 진료 현장의 경험을 공유하기 위해 마련된 행사로, 인천과 부산 등 전국 주요 도시에서도 순차적으로 이어질 예정이다. 22일 제일약품에 따르면 이번 서울 심포지엄에서는 서울아산병원 정훈용 교수가 좌장을 맡았으며, 1세션에서는 건국대학교병원 김정환 교수, 2세션에서는 서울아산병원 김도훈 교수가 강연을 진행했다. 강연에서는 빠르고 지속적인 위산 억제를 기반으로 한 P-CAB 계열 치료 전략의 임상 근거와 자큐보정의 임상 적용 가능성이 집중적으로 논의됐다. 김정환 교수는 “기존 PPI 치료에도 불구하고 일부 환자에서는 위산 분비와 관련된 증상이 여전히 지속되는 경우가 있다”며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P-CAB 계열 약물이 새로운 치료 전략의 중심축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P-CAB은 강력하고 신속한 위산 분비 억제 효과를 통해 초기 치료 단계부터 위궤양 환자에게도 유효한 옵션으로 고려될 수 있다”며 “
[더구루=길소연 기자] 세계 1위 배터리 기업인 중국 CATL(寧德時代·닝더스다이)가 중국 리튬 배터리 소재 공급업체 캔맥스 테크놀로지스(Canmax Technologies, 이하 캔맥스)의 지분에 투자하며 리튬 배터리 소재 확보를 늘린다. 원재료·소재·셀·팩·재활용까지 수직 계열화된 밸류체인(생산부터 유통까지 산업 전반의 구성) 구조에 집중하고 있는 CATL은 배터리 소재 확보로 공급망 구축과 원가 경쟁력을 강화한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수소연료전지 기업 블룸에너지(Bloom Energy)가 약 3조6000억원 규모의 자금 조달에 성공했다. 강화된 자본을 기반으로 연료전지 발전용량 확대에 박차를 가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