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윤진웅 기자] 중국 전기차 제조업체들이 인도네시아를 생산 거점으로 아세안 전기차 시장 공략에 나선다. 인도네시아 정부 차원에서의 지원 사격까지 이뤄지고 있어 향후 이들 제조업체의 입지가 빠르게 확대될 전망이다. 31일 인도네시아 해양투자조정부에 따르면 우링자동차 등 중국 전기차 제조업체 4곳은 최근 인도네시아에서 전기차 생산을 시작할 채비에 들어갔다. 이는 라흐맛 카이무딘(Rachmat Kaimuddin) 해양투자조정부 인프라 및 교통 조정 담당 차관이 직접 밝힌 내용이다. 카이무딘 차관은 "이들 전기차 제조업체는 인도네시아의 40% 자국부품사용요건(TKDN, Tingkat Komponen Dalam Negeri)을 준수하는 등 규정을 따를 준비가 되어 있다"며 "인도네시아 정부의 전기차 정책을 높이 평가하고 있는 만큼 빠른 시일 내 현지 생산을 개시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이어 "우링자동차의 경우 최근 중국에서 신제품을 출시하고 본격적으로 현지 생산할 준비에 들어갔다"고 덧붙였다. 인도네시아 정부가 강력한 전동화 전환 의지를 나타내고 있는 만큼 현지 전기차 생산 결정에 따른 이들 중국 전기차 제조업체의 현지 입지는 크게 확대될 전망이다. 실제
[더구루=정예린 기자] 중국 배터리 소재 회사 '중웨이구펀(中伟股份, 이하 CNGR)'이 증자를 통해 대규모 자금을 조달한다. 니켈과 전구체 생산능력을 강화하기 위해 투자를 단행, 전구체 1위 기업 지위를 공고히 할 것으로 기대된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중국 빅테크 기업 텐센트가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차량 관리 기술 특허를 출원했다. 텐센트는 블록체인 기술 확보는 물론 클라우드를 활용한 블록체인 인프라 확대에도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중국 최대 이커머스 플랫폼 알리바바가 미국에서 '위조품 판매'에 기여했다는 혐의로 소송에 휘말렸다.
[더구루=정예린 기자] 중국 산학계 어벤저스가 자동차용 5G 통신모듈 시장 선점을 위해 뭉쳤다. 화웨이를 필두로 표준을 구축하고 칩을 출시, 미국의 그늘을 벗어나 반도체 내재화에 박차를 가한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독일 폭스바겐그룹이 중국 자율주행차 반도체 기업 '호라이즌 로보틱스(이하 호라이즌)'와 합작사를 신설했다. 인텔, BYD 등으로부터 투자를 받은 유망 기업과 협력해 자율주행차 두뇌 기술을 선제적으로 확보한다. 미래차 시대에 대비해 주력 판매처인 중국에서 부진을 턴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중국 최대 전자상거래 기업 알리바바를 일군 마윈(马云)이 새로운 미래를 그리고 있다. 마윈의 알리바바 이후 행보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23일 업계에 따르면 알리바바의 전 파트너이자 앤트그룹의 전 CEO 후샤오밍(胡晓明)이 이미바농업과학기술공사(一米八农业科技公司)의 회장 자리에 올랐다. 후샤오밍은 2005년 알리바바에 합류해 앤트그룹을 결제 서비스 회사에서 핀테크 그룹으로 성장시킨 핵심 인물로 평가받는다. 후샤오밍은 2019년 앤트그룹의 CEO를 맡았으나 지난 2021년 개인적인 이유로 CEO를 그만뒀다. 후샤오밍이 이미바농업과학기술공사의 회장을 맡은데는 마윈 알리바바 창업주의 스마트 농업 비전이 있다는 분석이다. 마윈은 이미 수 년전부터 농업에 대한 관심을 보여왔다. 마윈이 특별임용 교수로 있는 도쿄대에서도 연구하는 분야가 지속가능한 농업과 식량 생산인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후샤오밍 회장도 "이미바라는 회사명이 마윈의 농업에 대한 초심모든 아이가 1m 80cm까지 건강하게 자랐으면 하는 엄마의 바람)에서 나온 것"이라고 밝히기도 했다. 실제로 이미바농업과학기술공사 뿐 아니라 7월 항저우에서 설립된 이미바해야과학기술유한공사에도 마윈
[더구루=윤진웅 기자] 중국 자율주행차량 시장이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중국 정부가 나서 자율주행차량 활성화를 위해 적극 지원하고 있다는 점에서 향후 시장 규모는 지속해서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운수 서비스 분야에서 활용도가 더욱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23일 업계에 따르면 중국 교통운수부(交通运输部)는 지난 5일 '자율주행차 운수 안전 서비스 지침'(自动驾驶汽车运输安全服务指南)을 공식 발표했다. 이는 자율주행기술 발전을 이끌고 운수 서비스 분야에서의 자율주행차 활용을 표준화하기 위한 정책 중 하나이다. 해당 지침은 △기본 원칙 △활용 시나리오 △자율주행차운송사업자 △운송 차량 △요원 배치 △안전 보장 △관리·감독 등 7개 부분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각종 도로에서 자율주행차를 운행하는 전기버스운송사업자와 택시운송사업자, 여객운송사업자, 화물 운송사업자 등에 모두 적용된다. 해당 지침에 따르면 자율주행차 서비스는 안전운행을 보장하기 위해 지정된 지역 내에서 진행하고, 교통안전 평가를 통과해야 한다. 시내공공전기버스운송사업자와 여객운송사업자가 운행하는 자율주행차 또는 화물 운송사업에 자율주행차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운전 요원 1인이나 안전 요원
[더구루=김형수 기자] 중국 기업 DPP홀딩스가 지난해 9월 미국에 론칭한 온라인 쇼핑 애플리케이션 티무(Temu)가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초저가 전략, 공격적 마케팅을 무기로 내세워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는 티무발(發) 미국 유통업계 지각변동이 일어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더구루=정예린 기자] 중국 'SVOLT 에너지 테크놀로지(蜂巢能源科技, 이하 SVOLT)'가 태국에서 첫 배터리팩 생산에 성공했다. 안정적인 현지 생산능력을 바탕으로 고성장이 예상되는 동남아시아 전기차 배터리 시장 선도기업으로 도약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중국 IT기업 화웨이가 미국의 제재 여파로 개발한 자체 OS '훙멍(鴻蒙·Harmony)'의 생태계가 빠르게 확대되고 있다. 화웨이는 훙멍 생태계 확장에 속도를 낸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덴마크 선사 머스크가 10억 달러(약 1조3000억원) 규모의 메탄올 이중연료 컨테이너선 15척을 중국 조선소에 발주했다. 머스크로부터 세계 최초 메탄올 추진 컨테이너선을 수주했던 현대미포조선은 이번 수주전에선 고배를 마셨다.
[더구루=이꽃들 기자] 배달의민족 모기업 딜리버리히어로(Delivery Hero)가 유엔(UN)의 새로운 환경 이니셔티브인 '딜리버리-E 연합(Deliver-E Coalition)'에 창립 멤버로 참여하며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을 대폭 강화한다. 이번 결정은 전 세계적으로 팽창하는 배달 서비스 시장에서 발생하는 환경적 영향을 최소화하고,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글로벌 리더십을 확보하겠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중국 배터리 제조사 고션 하이테크(Gotion High Tech, 이하 고션)가 스페인에 배터리 소재 공장 건설을 추진한다. 고션은 새로운 소재 공장을 기반으로 파트너사인 이노뱃(InoBat)을 지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