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길소연 기자] SK해운이 매물로 내놓은 중고 초대형 원유운반선(VLCC)이 그리스 선사 키클라데스 마리타임(Kyklades Maritime, 이하 키클라데스)에 넘어간다. 26일 업계에 따르면 키클라데스는 선령이 15년된 31만3000DWT급 VLCC 'C. 프로스퍼리티(C. Prosperity)'를 5300만 달러(약 736억원)에 인수한다. HD현대중공업이 지난 2009년에 건조한 C. 프로스퍼리티는 스크러버가 설치됐지만 친환경적으로 설계되지는 않았다. SK해운은 유동성 확보를 위해 VLCC 매각 협상을 진행해왔다. <본보 2024년 6월 19일 참고 SK해운 '선령 15년' 초대형 원유운반선 중고 매물로 등장> C. 프로스퍼리티의 중고 거래가는 일반적인 수준보다 낮게 책정됐다. 올해 초 스크러버가 없는 중국산 선박의 경우, 5350만 달러(약 738억원)에 판매됐다. 영국의 선박가치 평가기관인 베슬스밸류(VesselsValue)과 해양 데이터 플랫폼 시그널오션(Signal Ocean)도 C. 프로스퍼리티의 중고 거래를 5900만 달러로 평가했다. 그러나 C. 프로스퍼리티가 약 2개월 후에 특별 조사가 예정돼 있는 상황에서 비용 부담까
[더구루=길소연 기자] 대한항공이 세계적인 항공사 품질 평가 컨설팅 기관인 스카이트랙스(SKYTRAX)가 선정한 월드 에어라인 어워즈(Skytrax World Airline Awards)에서 글로벌 항공사 '톱20'에 올랐다. 대한항공이 기내 서비스와 여객 편의 향상을 위해 노력한 결과이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대한항공은 스카이트랙스가 주관하는 '2024 스카이트랙스 월드에어라인 어워즈'에서 11위를 차지했다. 지난해 10위에서 한 단계 하락했다. 대한항공은 '2024년 세계에서 가장 깨끗한 항공사' 부문에서도 10위에 올랐다. 아시아나항공은 같은 부문에서 6위를 차지했다. <본보 2023년 6월 21일 참고 대한항공, 스카이트랙스 선정 '세계 10위' 항공사 올라> 올해 세계 최고의 항공사로는 카타르항공이 선정됐다. 카타르항공에 이어 2위는 싱가포르항공이 차지했다. 지난해 세계 20대 항공사 1, 2위를 차지했던 싱가포르항공과 카타르항공의 순위가 변동됐다. 3위는 에미레이트, 4위는 ANA 전일본공수가 차지했다. 5위는 캐세이퍼시픽, 6위 일본항공, 7위 터키항공이 뒤를 이었다. 에바항공과 에어프랑스, 스위스항공은 8, 9, 10위를 차지했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우주개발기업 스페이스X(SPACE X)의 엔지니어가 스타십 로켓의 지구 재진입 과정에서 사용된 '플랩(flap)'은 도박이었다고 고백했다. 플랩은 고정되지 않고 움직이는 작은 날개로 우주선의 방향을 설정하는 역할을 한다. 스타십의 자세를 제대로 하지 못할 것이라는 우려의 목소리가 많았지만 결국엔 성공했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에어택시 제조업체 아처 에비에이션(Archer Aviation)이 미국 캘리포니아주(州) 샌프란시스코 주요 지역을 연결하는 도심항공교통(UAM·Urban Air Mobility) 거점을 개발할 방침이다. 미국 UAM 시장 선점에 속도를 높이는 모습이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핵 전쟁에서도 살아남을 수 있어 '최후의 날 비행기(Doomsday Plane)'로 불리는 대한항공 보잉 747 여객기가 목격됐다. 대한항공이 미국 방위산업체 시에라 네바다에 매각한 보잉 747 여객기 5대 중 한 대로, 핵전쟁이 발발할 시 '공중 펜타곤' 역할을 하는 미국의 새로운 특수 군용기로 개조될 예정이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중국이 항공 산업 발전을 위해 국가급 대형 항공기 기금을 설립했다. 기금 조성으로 중국 항공 산업의 지속적인 성장과 글로벌 경쟁력 제고를 기대한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머스크가 글로벌 스포츠 용품 업체인 나이키와 새로 인도 받을 친환경 선박 메탄올 추진 컨테이너선에 이름을 붙인다. 21일 업계에 따르면 머스크와 나이키는 오는 8월27일 로스앤젤레스항에서 메탄올 연료 사용 컨테이너선의 명명식을 개최한다. 선박의 이름은 아직 알려지지 않았다. 명명식은 선박 건조 후 선박의 이름을 부여하며 안전운항을 기원하는 행사이다. 선박의 이름은 배의 '대모(代母)'로 정해진 여성이 명명자로 나서 이름을 붙여준다. 대부분 국가나 항로, 꽃, 동물, 산이나 강, 숫자, 여자 이름, 그리스 로마신화의 여신, 추상명사, 보석, 천문용어 등으로 짓는 경우가 많다. 머스크는 이날 명명식에 일반인도 초대한다. 방문객들은 선원들의 거주 구역을 둘러보고 선장이 선박을 조종하는 브리지에도 올라갈 수 있는 체험행사를 가진다. 이날 나이키는 명명식에 참석해 공급망 탈탄소화에 대한 머스크의 의지를 공유한다. 세계에서 가장 큰 공급망 중 하나를 운영하는 나이키는 탄소 제로와 폐기물 제로에 더 가까워질 수 있도록 혁신과 지속 가능한 방법의 사용하고 있다. 나이키는 머스크와 같은 공급업체와 협력해 주요 퍼스트 마일 배송 채널인 해상 운송에서 바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에어택시 제조업체 조비 에비에이션(Joby Aviation)이 전기 수직이착륙 비행체(eVTOL) 운영을 위한 자체 소프트웨어를 공개했다. 에어택시 상용화에 박차를 가하는 모습이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브라질 항만해양사절단이 삼성전자와 LG전자를 방문했다. 브라질 항만 분야 임원과 관련 회사 관계자로 구성된 사절단은 한국 기업의 혁신 비결을 확인하고 브라질 항만의 혁신성장 토대를 마련했다. 20일 업계에 따르면 브라질 항만해양사절단은 '브라질 포르토앤마르(Brazi Porto & Mar)-한국 2024' 일정에 따라 지난 18일 삼성전자와 LG전자를 연이어 방문했다. 그들은 각 기업이 현재 수준에 도달하기까지의 발전 경로와 항만 지역 개발에 적용할 수 있는 혁신 사례를 배웠다. 사절단은 먼저 삼성전자 이노베이션뮤지엄을 찾아 전자산업의 역사 속에서 삼성전자가 추구해온 도전과 혁신과정을 체험했다. 또 사내 스타트업을 육성하는 C-랩(C-Lab) 프로그램을 보고 창의적인 기업 문화를 장려하고 직원들의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지원하는 기업 문화를 배웠다. 리카르도 미란다(Ricardo Miranda) 산토스 브리잘 기술이사는 "이번 방문을 통해 기술이 국경을 넘어 얼마나 많은 장벽을 허물고 있는지 깨달았다"며 "우리는 (삼성전자의 기술 혁신을) 다양한 분야에 적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사절단은 삼성전자에 이어 LG전자를 방문했다. LG
[더구루=길소연 기자] SK해운이 중고 초대형 원유운반선(VLCC)을 매각해 유동성을 확보한다. 19일 업계에 따르면 SK해운은 HD현대중공업이 지난 2009년 건조한 31만3000DWT급 VLCC 'C. 프로스퍼리티(C. Prosperity)'의 매각 협상을 진행중이다. C. 프로스퍼리티는 스크러버가 설치됐지만 친환경적으로 설계되지는 않았다. 선박은 5000만 달러(약 690억원) 이상의 가격으로 거래될 것으로 보인다. 영국의 선박가치 평가기관인 베슬스밸류(VesselsValue)는 C. 프로스퍼리티의 가치를 5940만 달러(약 820억원)로 평가하고, 영국의 해운시황분석 전문기관인 MSI는 5690만 달러(약 785억원)에서 6490만 달러(약 896억원)로 평가했다. 올해 초 스크러버가 없는 중국산 선박이 5350만 달러(약 738억원)에 판매된 바 있다. 지난 4월에는 벨기에 유조선사 유로나브(Euronav)가 장금상선에 5000만 달러 전후로 VLCC 3척을 매각했다. 2009년에 건조된 VLCC 1척은 5350만 달러(약 738억원)에, 2008년에 건조된 2척은 각각 5170만 달러(약 713억원), 4970만 달러(약 686억원)에 판매했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민간 우주기업 로켓랩(Rocket Lab)이 일본 인공위성 스타트업 신스펙티브(Synspective)와 위성 발사 계약을 맺었다. 회사 설립 이후 역대 최대 규모 계약이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자동차 7000대를 운송하는 현대글로비스의 자동차운반선(PCTC) '글로비스 솔라'(Glovis Solar)호가 북유럽 첫 항해를 시작했다. 18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글로비스의 7000CEU PCTC 글로비스 솔라호는 최근 독일 북부 브레멘주에 있는 브레머하펜항 BLG 자동 터미널에 정박했다. 아시아에서 출발한 선박은 이곳에서 테슬라 전기차 등 신차와 독일 수출차량을 하역했다. 선박은 브레머하펜에서 함부르크의 유니카이(Unikai)까지 항로를 거친뒤 앤트워프(Antwerp)와 아랍에미리트(UAE)를 거쳐 아시아 해역으로 돌아갈 예정이다. 글로비스 솔라호는 에이치라인해운이 중국 광저우조선인터내셔널(GSI)에 주문한 4척의 이중연료 추진 7000CEU급 PCTC 중 한 척이다. 현대글로비스가 선주사로 전세 계약하면서 신조 발주했다. <본보 2022년 2월 10일 참고 에이치라인해운, 중국 조선소에 자동차운반선 2척 추가 발주> 선박은 지난 4월말 현대글로비스에 인도됐다. 이 PCTC는 길이 200m, 폭 38m의 PCTC는 총 12개의 차량 데크를 갖추고 있다. 그 중 4개는 리프팅 기능이 있으며, 적재 용량은 표준 차량 최대
[더구루=정예린 기자] LG에너지솔루션과 일본 토요타그룹의 무역상사 토요타통상이 미국에서 추진하는 배터리 리사이클 합작법인이 유럽연합(EU)으로부터 승인을 확보했다. 주요국의 허가 절차를 잇따라 통과하며 LG에너지솔루션의 북미 전기차 배터리 재활용과 자원 순환 체계 구축 전략에 속도가 붙을 것으로 기대된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DL이앤씨와 두산에너빌리티의 파트너사인 미국 소형모듈원전(SMR) 기업 엑스에너지(X-energy)가 핵연료 제조시설 착공에 들어갔다. 지난 8월 건설 착수를 알린 엑스에너지는 그동안 부지정리 작업을 마무리한 후 지상건설에 본격 돌입했다. 엑스에너지의 핵연료 제조시설 건설로 미국의 핵연료 공급망 자국화가 가속화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