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길소연 기자] 미국 태양광 기술업체 퍼스트솔라(First Solar)가 태양광 업계 최초로 초저탄소 태양광의 글로벌 표준을 설정한다. 글로벌 전자 위원회(GEC)로부터 미국 전자제품 친환경인증제도 EPEAT 에코라벨을 획득했다. 퍼스트솔라는 고객에게 스코프 3(Scope3) 온실가스 배출량을 낮춘 친환경 태양광(PV) 모듈을 제공한다. [유료기사코드] 5일 업계에 따르면 퍼스트솔라는 자사 태양광 모듈 시리즈(Series) 6 플러스와 시리즈 7 TR1이 세계 최초로 EPEAT Climate+ 지정을 획득했다. EPEAT Climate+은 태양광 모듈의 온실가스(GHG) 배출을 평가하는 유일한 글로벌 에코라벨이다. 글로벌전자위원회 EPEAT의 ≤400kg CO2e/kWp의 초저탄소 임계치를 충족해야 지정된다. 퍼스트솔라의 모듈은 GEC에서 생산한 1500개 제품 목록에서 에코라벨을 얻은 최초의 태양광 모듈이다. EPEAT Climate+는 구매자가 기후 변화 완화를 염두에 두고 설계, 제조된 기술 제품을 신속하게 식별하게 해준다. 구매자는 EPEAT Climate+로 지정된 모듈로 태양광 설비의 범위 스코프 배출 3로 온실가스 배출을 줄인다. 퍼스트솔
[더구루=정예린 기자] 우즈베키스탄 대표단이 방한 기간 삼성을 비롯한 국내 기업들과 회동했다. 우리 기업들이 러시아의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는 우즈베키스탄과의 동맹을 강화해 중앙아시아 시장 공략을 확대할지 주목된다. 5일 우즈베키스탄 투자산업통상부에 따르면 라지즈 쿠드라토프 장관은 지난달 방한 기간 중 삼성전자, 기아, 롯데케미칼 관계자와 만나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구체적인 대화 내용은 공개되지 않았다. 쿠드라토프 장관이 삼성전자, 기아, 롯데케미칼 등 3사와 만난 것은 이들 기업이 우즈베키스탄에 생산시설 혹은 법인을 두고 사업체를 운영중이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우즈베키스탄의 지리적, 경제적 이점을 강조하고 해외 기업에 대한 당국의 적극적인 지원 방안을 소개, 현지 투자 확대와 파트너십 강화 등을 요청했을 것으로 관측된다. 삼성전자는 우즈베키스탄에 마케팅법인(SEUZ)을 운영 중이다. 제품은 우즈베키스탄 최대 가전업체 '아르텔(Artel)'을 통해 조립 후 생산하고 있지만, 그 외 사업 지원과 사회공헌활동 등은 SEUZ가 맡아 활발히 펼치고 있다. 최근 서방의 경제 제재 표적이 된 러시아를 대신해 우즈베키스탄 거점 역할을 확대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작년
[더구루=정예린 기자] SK그룹이 중국에서 특허 포트폴리오 확보에 팔을 걷어 붙였다. 올해에만 200건에 가까운 특허를 취득하며 중국 내 특허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는 양상이다. 배터리부터 반도체 소재, 폐플라스틱 재활용, 무선 통신 등 그룹 핵심 계열사의 주력 사업에 대한 기술 경쟁력을 강화해 현지 시장 공략에 고삐를 죈다. 4일 중국 국가지적재산권국(CNIPA)에 따르면 CNIPA는 지난 5월 SK이노베이션, SK온, SK텔레콤 등이 2020년부터 2023년까지 출원한 특허 75건을 허가했다. 월 초부터 3~4일 간격으로 9일에 걸쳐 승인 절차가 이뤄졌다. SK그룹이 지난달 승인 받은 특허 수는 올해 월 기준 가장 많았다. 앞서 CNIPA는 △1월 32건 △2월 22건 △3월 29건 △4월 38건의 특허권을 내준 바 있다. 1월 대비 2배 이상 많은 특허를 승인 받았다. △SK이노베이션 △SK온 △SK텔레콤 △SK가스 △SK케미칼 △SK지오센트릭 △SK넥실리스 △SK엔펄스 △SK바이오사이언스 등 SK그룹 내 9개 계열사가 지난달 특허를 취득했다. SK이노베이션과 SK온, SK텔레콤을 제외한 기업들의 특허 취득은 한자릿수에 그쳤다. 중국에서 단독·합작으로 사
[더구루=오소영 기자] 장인화 포스코홀딩스 회장이 탄자니아를 이차전지 소재 사업의 핵심 파트너로 콕 찝었다. 사이마 술루후 하산 탄자니아 대통령과 회동해 광물을 포함해 여러 협력을 검토했다. 흑연을 시작으로 협력 범위를 넓히며 광물 공급처를 다각화한다. 4일 탄자니아 대통령실에 따르면 하산 대통령은 전날 서울에서 장 회장, 이계인 포스코인터내셔널 사장, 김경한 포스코홀딩스 커뮤니케이션팀장(부사장), 이재완 포스코홀딩스 커뮤니케이션팀 국제협력담당(상무) 등 포스코그룹 경영진과 만났다. 배터리 광물과 식량 등 포괄적인 협력을 논의했다. 포스코는 탄자니아와 흑연 조달에 협력하고 있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지난해 호주 블랙록마이닝의 탄자니아 자회사인 '파루 그라파이트'와 25년간 75만 톤(t)의 천연 흑연을 공급받는 계약을 체결했다. 공급 대가로 1000만 달러(약 140억원)를 투자해 파루 그라파이트가 보유한 탄자니아 마헨지 광산 개발을 지원한다. 마헨지 광산은 세계 2위 천연 흑연 매장지다. 25년간 흑연 채굴이 가능한 것으로 추정된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블랙록마이닝에 4000만 달러(약 550억원) 상당의 추가 투자하는 방안을 검토하며 탄자니아산 흑연에 높은
[더구루=길소연 기자] 한화재팬이 일본 정부가 발행하는 탄소 배출권 'J-크레딧'(J-Credit)의 인증을 받은 온실가스 배출량을 판매했다. 3일 업계에 따르면 한화재팬은 일본 전력거래 플랫폼 디지털 그리드(Digital Grid)와 J-크레딧 인증량 2548톤(t) 이산화탄소 매매계약을 체결하고 크레딧을 이전했다. 매매된 크레딧은 작년 12월15일에 J-크레딧 인증을 받았다. 한화재팬의 크레딧 판매 수익은 JR 동일본그룹 자회사 JR 동일본 빌텍의 청정 에너지 이니셔티브에 사용돼 탄소 없는 사회 실현에 기여한다. 한화재팬은 기업이 자발적으로 달성한 탄소배출 삭감분에 대해 거래를 가능케 하는 탄소 크레딧 제도 인증을 받아 일본 온실가스 배출 감축을 돕고 있다. 지금까지 J-크레딧의 인증을 받은 총량은 9110t이다. 지난 4월에는 큐에네스트(Q.ENEST)의 자회사 '레넥스전력합동회사'가 운영-관리하는 가정용 태양광발전설비 도입사업을 통해 온실가스 배출량 4057톤(t)을 인증 받았다. <본보 2024년 4월 22일 참고 한화재팬, 日 정부 발행 탄소 배출권 'J-크레딧' 획득> 일본은 탄소중립을 위한 GX(녹색전환, Green Transform
[더구루=길소연 기자] 베트남과 인도가 불볕 더위에 전력난이 심화되고 있다. 전력 수급에 따라 삼성, 현대차, 포스코, LG전자 등 현지에 진출한 한국 기업의 공장 가동 중단 가능성이 거론된다. 31일 업계에 따르면 베트남 국영 전력회사인 베트남전력(EVN)의 4월 말 기준 전국 전력망 용량이 4만7670MW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점점 더워지는 날씨로 인해 전국 3개 지역 모두에서 전력 사용량이 크게 급증했다. 아직 베트남 북부 지역의 무더위가 정점에 도달한 시기가 아니라서 베트남 내 전력 소비는 더욱 증가할 전망이다. EVN은 전력난을 우려해 낮(오전 11시~오후 3시)과 저녁(오후 7시~11시) 피크 시간대에 전기를 절약할 것을 촉구하고 있다. 필요할 때만 에어컨을 가동하고, 온도를 섭씨 26~27도 밑으로 설정하지 말라고 당부했다. 피크 시간대에는 여러 개의 에너지 소비 가전제품도 동시에 사용하지 말 것을 권고했다. 전력 부족난으로 공장 가동 중단도 우려된다. 지난해 베트남 북부지방을 중심으로 전력부족이 장기화되자 생산공장들이 순환정전에 조업을 중단한 바 있다. 베트남에는 삼성전자와 LG전자와 LG디스플레이·LG이노텍·LG화학 등이 공장을 운영하고
[더구루=오소영 기자] SK네트웍스가 투자한 네덜란드 인공지능(AI) 스마트팜 스타트업 '소스.ag(Source.ag)'가 북미로 사업 보폭을 넓힌다. 오는 8월 사무소 운영을 시작하고 팀도 꾸린다. 유럽에서 얻은 자신감을 토대로 성장잠재력이 높은 북미에 발을 디딘다. [유료기사코드] 30일 소스.ag에 따르면 이 회사는 오는 8월 미국 시카고에 사무소를 연다. 소스.ag의 고객 관리팀인 '고객 성공(Customer Success)'을 총괄한 토마스 거츠(Tomas Geurts)를 북미 사업장 리더로 임명했다. 거츠는 네덜란드 백화점 체인인 '드 바이엔코르프'와 결제 플랫폼 회사 '아디옌' 등에서 경력을 쌓고 2022년 소스.ag에 운영 책임자로 합류했다. 3년 동안 회사 성장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북미 총괄로 선임됐다. 소스.ag는 북미에서 추가 채용을 진행해 팀원을 늘리고 시장을 본격 공략한다. 북미 온실 원예 시장은 향후 5년 동안 10%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식량 안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기술도 발전하고 있어서다. 무엇보다 미국과 캐나다는 스마트팜의 선도 국가로 불린다. 미국 정부는 2018년 농업증진법을 통해 지원을 제도화하고 스마트팜 확
[더구루=길소연 기자] 토탈에너지와 EREN 그룹이 합작 투자한 'TE H2'가 튀니지 대형 수소 프로젝트 사업을 위해 오스트리아 국영 전력회사와 협력한다. 이들은 튀니지 그린 수소 프로젝트를 위해 중부 유럽으로 향하는 파이프라인을 개발하기 위한 타당성 조사에 나선다. [유료기사코드] 29일 업계에 따르면 TE H2와 베르분트(VERBUND)는 최근 튀니지와 대규모 그린 수소 프로젝트 'H2 Notos'의 실행을 연구하는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TE H2는 베르분트 계열사 베트분트 그린 하이드로젠(VERBUND Green Hydrogen GmbH)과 손잡고 H2 Notos 프로젝트에서 그린 전력 생산부터 그린 수소 생산까지 통합 프로젝트의 개발, 자금 조달, 건설, 운영을 주도하게 된다. 베트분트는 생산된 수소를 중부 유럽으로 운송하는 일을 조정한다. H2 Notos는 대규모 육상 풍력과 태양광 프로젝트에 의해 구동되고 담수화된 바닷물을 공급받는 전기분해기를 사용해 그린 수소 생산한다. 초기 단계에서는 연간 20만톤(t)의 친환경 수소를 생산하고, 연간 100만t까지 생산량을 확대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H2 Notos에서
[더구루=정예린 기자] 현대자동차그룹이 베트남에서 기후위기에 대한 인식 제고에 나선다. 지역사회와 협력해 지속가능한 미래 기반을 닦아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다한다. 29일 탄호아성에 따르면 현대차와 현대엔지니어링은 27일 홍덕대학교(Trường ĐH Hồng Đức)에서 열린 기후변화 적응 강화 프로젝트를 위한 컨퍼런스에 참석했다. 이 자리에서는 △기후변화 심각성 교육 △숲 조성 등 다양한 프로젝트 실행 방안이 논의됐다. 기후변화 적응 강화 프로젝트는 현대차와 현대엔지니어링이 약 75만 달러(약 10억원)를 후원한다. 베트남에서는 탄호아성과 △벤엔 국립공원(Vườn quốc gia Bến En) △홍덕대학교 △세이브더칠드런이 동참한다. 우선 홍덕대학교와 탄호아시 내 10개 고등학교에 기후변화 관련 교육을 실시한다. 청소년들이 지역사회의 기후변화 현황을 파악하고 이에 적응할 수 있는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돕는다는 방침이다. 3년 후 1만 명에 이르는 학생들이 참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벤엔 국립공원에 최소 10헥타르 규모 숲도 조성한다. 탄호아성은 지리적 특성상 기후변화의 영향에 민감하다. 베트남 전역에서 5번째로 큰 삼림(64만7000헥타르)을 보유하고
[더구루=오소영 기자] 한국수력원자력이 체코 원전 사업의 결과 발표를 약 2개월 앞두고 홍보 활동을 가열차게 추진하고 있다. 신규 원전 인근 지역에서 체코 기업들을 대거 초청해 행사를 열었다. 현지 인력을 채용하겠다고 강조하며 체코 기업과도 협력 의지를 내비쳤다. 28일 트레비치 상공회의소(OHK)와 체코 매체 '체스코 저스티스(Česká justice)'에 따르면 한수원은 지난 14일(현지시간) 체코 트레비치 소재 샤토 발레치 호텔에서 '제4차 라운드테이블'을 열었다. 이번 행사는 신규 원전 입찰을 앞두고 현지 지방 정부, 기업과 협력을 도모하고 팀코리아의 사업 역량을 알리고자 마련됐다. 한수원과 한전KPS, 대우건설, OHK, 트레비치카 에너지 협회인 ET(Energetické Třebíčsko)가 주최했다. 박인식 한수원 수출사업본부장과 홍영기 주체코 대사, 체코 상원의원 출신인 비체슬라브 요나쉬 ET 대표, OHK 회원사 관계자 등이 참석했다. 한수원은 이날 체코 인력의 활용 방안을 공유했다. 1기 건설에 약 3000명, 2기 건설에 약 5000명으로 필요 인력이 늘어날 추산하며 사업 이행 단계에서 체코를 포함해 유럽 노동자를 고용하길 원한다고 밝혔다
[더구루=정예린 기자] 대만 신정부가 추진하는 '대만판 실리콘밸리 계획'이 첫 삽을 뜨기 전부터 난항을 겪고 있다. 기업을 유치할 대규모 산업용 부지 부족 문제가 제기된 가운데 예정대로 연내 착공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유료기사코드] 27일 대만연합신문망(UDN)에 따르면 '대만판 실리콘밸리 계획'의 3대 핵심 도시인 타오위안시 경제발전국은 최근 산업 용지를 마련하는 데 어려움을 토로했다. 현재 약 7900헥타르 규모인 타오위안시 공업용지 이용률은 90%를 상회한다. 지안 웨이룬 타오위안시 경제발전국 수석비서관은 "산업용 토지가 부족하면 대기업의 입주 의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용적률을 높이고 토지 용도 변경 심사 절차를 더욱 엄격하게 변경하고 있는 것 또한 민간 기업이 산업 단지 개발 계획을 신청하는 데 영향을 줄 것"이라고 우려했다. 대만판 실리콘밸리 계획은 라이칭더 신임 총통이 후보 시절인 작년 12월 자국 반도체 역량 강화를 위해 내세운 주요 공약이다. 타오위안, 신주, 먀오리 등 3개 도시를 중심으로 글로벌 반도체 거점을 구축한다. TSMC 공장들과 연계해 반도체 생산 시설부터 연구개발(R&D) 기지까지 종합 생태계를 조성한다는 포부
[더구루=정예린 기자] SK그룹과 베트남 푸옌성이 약 두 달 만에 ‘또’ 회동했다. 현지 액화천연가스(LNG) 생태계 구축을 위한 프로젝트가 조만간 닻을 올릴 수 있을지 주목된다. 27일 푸옌성에 따르면 따 안 뚜언(Tạ Anh Tuấn) 푸옌성 인민위원회 위원장은 지난 21일(현지시간) SK그룹 대표단과 회동했다. 양측은 LNG 발전소 건설과 관련 연구개발(R&D) 협력 방안 등을 논의했다. 푸옌성은 SK그룹이 먼저 당국과의 양해각서(MOU) 체결을 제안했다고 밝혔다. SK그룹 측이 푸옌성의 발전 가능성과 다양한 사업 기회 등을 높이 평가했다는 게 정부 설명이다. 뚜언 위원장은 SK그룹과의 지속적인 파트너십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을 약속했다. LNG 프로젝트 외 다양한 산업군에서의 SK그룹과 협력에 대한 기대감도 드러냈다. 그는 "앞으로 SK그룹이 푸옌에서 많은 성공적인 투자 프로젝트를 수행하게 될 것이라고 믿고 있으며, 프로젝트 실행을 진행하기 위해 더 중요한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모든 조건을 조성할 것"이라며 "산업단지 계획, 바이곡 항구, 공항 등 성에서 구현을 추진하고 있는 상업, 서비스 등 분야에 더 많이 연구하고 투자하
[더구루=홍성환 기자] AI 데이터센터 기업 코어위브(CoreWeave)가 영국 데이터센터 사업에 약 5조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유료기사코드] 코어위브는 18일 영국 AI 데이터센터 사업에 15억 파운드(약 2조8300억원)를 추가 투자한다고 밝혔다. 이로써 총 투자액은 25억 파운드(약 4조7100억원)로 늘었다. 이번 추가 투자 발표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영국 국빈 방문을 계기로 이뤄졌다. 코어위브는 영국 정부의 컴퓨팅 로드맵을 가속화하고 AI 관련 연구소·기업·공공기관·스타트업의 혁신을 촉진할 수 있는 맞춤형 첨단 AI 인프라를 제공하는 것으로 목표로 한다. 마이클 인트레이터 코어위브 공동 창립자 겸 최고경영자(CEO)는 "영국에 대한 투자는 세계 최대 규모의 최첨단 지속가능한 컴퓨팅 집적지를 구축해 혁신과 경제 성장, 과학적 발견을 위한 새로운 기회를 열어줄 것"이라고 전했다. 키어 스타머 영국 총리는 "AI는 영국에 엄청난 변화를 가져올 것이며, 국가 공공 서비스와 인프라를 혁신시킬 잠재력을 갖고 있다"며 "코어위브의 투자는 영국이 AI 분야에서 세계적인 리더가 될 수 있는 잠재력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말했다. 코어위브는 엔비디아의 AI
[더구루=홍성일 기자] 양자컴퓨팅 기업 아이온큐(IonQ)가 미국 에너지부(DOE)와 손잡고 우주 양자 기술 개발에 나선다. 연이은 아이온큐의 인수합병(M&A)이 가시적인 성과를 만들어내기 시작했다는 평가다. [유료기사코드] 아이온큐는 17일(현지시간) DOE와 우주 공간에서의 양자 기술 개발과 배포를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이번 MOU는 DOE가 주도하는 '우주 양자(Quantum in Space, QIS)' 이니셔티브의 일환으로 체결됐다. 아이온큐는 계약 내용에 따라 우선 자체 위성 플랫폼을 활용한 우주 양자 보안 통신 시연에 집중한다. 이후 위치 측정, 항법, 시각(PNT) 기술, 시간 동기화, 양자 네트워킹과 센싱 등으로 협력 범위를 확대한다. 이번 파트너십은 아이온큐가 지난해부터 공격적으로 추진해 온 양자 통신 분야 M&A 전략의 성과라는 분석이다. 아이온큐는 지난해 11월 양자 네트워킹 전문 기업 큐비텍(Qubitekk) 인수했으며, 올해 초 SK텔레콤으로부터 양자암호 분야 세계 1위 기업 아이디퀀티크(IDQ)를 인수했다. 또한 양자 메모리 스타트업 라이트싱크(Lightsynq)를 사들이며 양자 통신에 필요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