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길소연 기자] 글로벌 항공사들이 중국 노선에서 빠지고 있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러시아 영공 폐쇄로 우회 항로를 이용하면서 비행시간과 승무원 탑승 증가 등 운영 부담이 늘어난 것이 이유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HMM이 중고 벌크선 7척을 매입한다. 2030년까지 보유 벌크선을 세 배 늘리겠다는 계획을 구체화하고 있다. 컨테이너선에 집중된 사업을 다각화해 해운업 불황에 대비한다. 17일 노르웨이 해운전문지 트레이드윈즈(Tradewinds)에 따르면 HMM은 중고 벌크선 7척 구매를 추진하고 있다. 매입가는 총 2억4000만 달러(약 3300억원)다. 1척은 이미 인수를 확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먼저 지난 5월 중순 6만3600DWT(중량톤수)급 'SSI 프리빌리지(SSI Privilege)'를 3240만 달러(약 450억원)에 구입했다. 두바이 덴세이 쉬핑(Densay Shipping)으로부터 9월 인도받는다. 이어 5500만 달러(약 760억원)를 들여 20만9200DWT '헤르만 올엔도르프(Hermann Oldendorff)'를, 3700만 달러(약 510억원)에 8만1700DWT 'BW 코베(BW Kobe)' 매입을 추진하고 있다. 이와 함께 △8만1800DWT 리비아 로제에 3500만~3600만 달러(약 480억~500억원) △6만3600DWT급 웨스턴 오슬로에 3150만~3200만 달러(약 430억~440억원), △3만4500DWT
[더구루=길소연 기자] 한국선급(KR)이 새롭게 적용되는 국제선급연합회(IACS) 사이버 복원력 적용 규칙 이해를 돕고 적응력을 높이기 위해 세미나를 마련했다. KR은 지난 12일 부산 코모도 호텔에서 '사이버 복원력 형식승인 제조사 간담회'를 개최했다고 16일 밝혔다. 이날 간담회는 자동화 시스템 제조 관계자 100여명이 참석했다. 세미나는 사이버 복원력에 대한 형식승인을 주제로 △사이버 복원력 적용대상 및 절차 안내 △보안 기능 요구사항 △제출문서 요구사항에 대한 설명과 제조사로부터 의견·질의를 청취하는 시간을 가졌다. 최근 선박에 디지털 기술이 빠른 속도로 적용됨에 따라 사이버 위협 및 공격에 대한 리스크도 동시에 증가하고 있다. 이에 국제선급연합회(IACS)는 선박의 사이버 복원력 강화를 위해 2022년 UR E26 '선박 사이버 복원력 공통규칙'과 UR E27 '선내 시스템 및 장비의 사이버 복원력 공통규칙'을 제정했다. 지난해 개정을 거쳐 지난 7월 1일 이후부터 건조 계약되는 선박에 새로운 개정본이 적용된다. 김연태 KR 기술본부장은 "이번 세미나 및 가이드 발간을 통해 사이버 복원력을 갖추기 위한 이해와 최신 정보 확인에 도움이 되었길 바란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국내 로켓엔진 제조 스타트업 우나스텔라가 호주에서 발사장을 확보하는데 성공했다. 우나스텔라는 반복적인 테스트를 통해 우주 발사체 기술을 완성시킨다는 목표다. 호주 로켓 발사장 서비스 기업 '서던 런치(Southern Launch)'는 15일(현지시간) 우나스텔라와 로켓 발사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계약식은 지난 12일 서울에서 진행됐다. 양사는 호주 우주국 규제 승인을 받기 위한 작업에 돌입한다. 우나스텔라는 지난 2022년 설립된 우주 발사체 스타트업으로 현재까지 약 100억원의 투자를 유치했다. 우나스텔라는 설립 이후 엔진 기초 설계, 연소기 시험시설 구축, 엔진 설계 및 제작, 연소 성능 시험, 시험장 설비 완공, 전기 모터펌프 제작 등 발사체 개발을 위한 연구에 매진해왔다. 이번 계약에 따라 우나스텔라는 2025년 말부터 매년 최소 4번 이상의 소형 로켓 발사 테스트를 진행한다. 발사는 서던 런치가 보유한 웨일러스 웨이 발사장과 쿠니바 시험장에서 이뤄진다. 우나스텔라가 서던 런치와 손잡은 것은 반복적인 테스트는 물론 로켓 수거에도 강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서던 런치의 쿠니바 시험장의 경우, 광대한 무인지대 안에 자리 잡
[더구루=길소연 기자] tvN 드라마 '도깨비' 촬영지로 알려진 캐나다 퀘백으로 향하는 하늘길이 닫힌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대한항공은 아시아 최초로 운항한 '인천-퀘벡' 직항 노선 전세기를 올해는 띄우지 않는다. 수요 부족 문제다. 대한항공은 지난해 한진관광 연계상품으로 퀘벡에 직항 전세기를 띄웠었다. 한진관광은 직항편을 통해 인천에서 퀘벡까지의 편안하게 여행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보다 여유로운 일정으로 그동안 타 패키지에서 보지 못한 퀘벡의 숨겨진 보석들을 경험할 수 있는 일정을 구성해 전세기 상품을 선보였다. 퀘벡은 북미에서 가장 오래된 도시 중 하나다. 400년이 넘는 오랜 역사 속에 유럽 감성과 문화 예술을 지키며 발전해 왔다. 드라마 '도깨비'를 통해 한국 소비자들에게 친숙하게 알려졌다. 한진관광은 상품 출시 후 91%의 점유율과 150만 달러(약 20억 7000만원)의 매출을 기록하며 흥행에 성공했다. 그러나 올해는 여행 수요가 줄어 상품이 재출시 되지 않으면서 대한항공의 전세기 운항도 중단됐다. 상품에 투입할 항공기도 부족하다. 대한항공은 해당 전세기 상품에 운용 가능한 기재가 부족해 관광 상품 유지가 힘든 것으로 알려졌다. 로리안 라피에르
[더구루=길소연 기자] 세계 2위 컨테이너 선사인 덴마크의 머스크와 5위 선사 독일 하팍로이드가 결성한 새 해운동맹 '제미나이 협력'(Gemini Cooperation, 이하 제미나이) 출범에 '제동'이 걸렸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미국 에어택시 제조업체 아처 에비에이션(Archer Aviation, 이하 아처)이 미국 4대 항공사 중 하나인 사우스웨스트항공과 전기 수직 이착기(eVTOL) 운항 협력을 맺었다. 아처는 사우스웨스트 항공과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사우스웨스트항공이 운항하는 14개 캘리포니아 공항 모두에서 eVTOL 네트워크 개발에 협력한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세계 최대 전자상거래 업체 아마존의 저궤도 인터넷 위성 프로젝트 '프로젝트 카이퍼(Project Kuiper)'가 인도 위성통신 시장에 진입한다. 지난해 유텔샛 원웹(Eutelsat OneWeb)이 인도서 위성 광대역 서비스를 운영할 수 있는 승인을 획득한 데 이어 아마존도 인도 위성 서비스 자격을 획득할 전망이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한국선급(KR)과 해양수산부가 제안한 선박운항 탄소집약도 지수(CII, Carbon Intensity Indicator)' 등급 산정이 개정됐다. 이로 인해 한국의 벌크선과 자동차운반선 등 76척이 최소 1등급 이상 향상 혜택을 받는다. 15일 KR에 따르면 지난 3월 22일 국제해사기구(IMO)에서 개최된 제81차 해양환경보호위원회(Marine Environment Protection Committee, MEPC)에서 CII 등급 산정을 위한 계산식 개정이 승인됐다. KR이 CII 등급 산정을 위한 계산식 오류 사항을 식별하고, 해양수산부를 통해 IMO에 제안해 정정 합의를 이끌어 냈다. 선박운항 탄소집약도는 총톤수 5000톤(t) 이상인 국제 항해 선박을 대상으로 한다. 선박의 실제 연간 소모량과 운항거리 등을 기반으로 CII를 계산(Attained CII)하고, 해당 기간 선박에 요구되는 CII 허용값(Required CII)과 비교해 A(높은 등급)부터 E(낮은 등급)까지 등급을 부여하는 국제적인 규제이다. 지난 2023년부터 시행되고 있다. KR이 식별한 계산 오류 사항은 CII 계산 시 선박의 실제 용량(DWT 또는 GT)이
[더구루=길소연 기자] 최근 글로벌 상용 항공기 시장을 양분하고 있는 미국의 보잉(Boeing)과 유럽의 에어버스(Airbus)에 잡음이 일고 있는 가운데 중국 국영 항공우주 제조기업 중국상용항공기공사(COMAC, 코맥)가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중국은 세계 민간 항공기 시장 판도를 'ABC'(에어버스·보잉·중국 제조사) 3강 구도로 재편을 기대하고 있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중국의 상업용 항공우주산업 성장이 가속화되고 있다. 중국은 최초의 상업용 우주발사장을 만들어 발사 능력을 구축해 중국 우주 강국 전략의 중요한 이정표를 세웠다는 평가를 받는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SK텔레콤이 투자한 미국 에어택시 제조업체 조비 에비에이션(Joby Aviation, 이하 조비)이 수소전기 하이브리드 이착륙기의 시험 비행을 완료했다. 수소전지를 연료로 사용해 장거리 비행에 성공하면서 잠재력을 입증했다.
[더구루=정예린 기자] LG에너지솔루션과 일본 토요타그룹의 무역상사 토요타통상이 미국에서 추진하는 배터리 리사이클 합작법인이 유럽연합(EU)으로부터 승인을 확보했다. 주요국의 허가 절차를 잇따라 통과하며 LG에너지솔루션의 북미 전기차 배터리 재활용과 자원 순환 체계 구축 전략에 속도가 붙을 것으로 기대된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DL이앤씨와 두산에너빌리티의 파트너사인 미국 소형모듈원전(SMR) 기업 엑스에너지(X-energy)가 핵연료 제조시설 착공에 들어갔다. 지난 8월 건설 착수를 알린 엑스에너지는 그동안 부지정리 작업을 마무리한 후 지상건설에 본격 돌입했다. 엑스에너지의 핵연료 제조시설 건설로 미국의 핵연료 공급망 자국화가 가속화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