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이연춘 기자] 롯데홈쇼핑과 대·중소기업농어업협력재단은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와 아랍에미리트 두바이에서 중소기업 해외 진출 지원을 위한 ‘대한민국 브랜드 엑스포’ 수출 상담회를 개최한다. ‘대한민국 브랜드 엑스포’는 2016년 판로 개척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국내 중소기업의 해외시장 진출을 돕기 위한 롯데홈쇼핑의 상생 프로그램으로 시작했다. 28일 롯데홈쇼핑에 따르면 이번 수출 상담회는 2022년 한국과 두바이에서 온오프라인으로 동시 진행된 이후 중소기업들의 지속적인 요청으로 2년 만에 다시 한번 중동 지역에서 확대 개최한다. 특히, 참여 기업에게 중동 지역 바이어 유치와 시장 조사 기회를 폭넓게 제공하기 위해 리야드와 두바이 두 곳에서 순차적으로 진행한다. 2022년 당시 두피·피부케어 전문기업 ㈜루토닉스 등 참가 기업의 현장 계약 추진액은 947만 달러였으며, 상담실적은 역대 최대인 7980만 달러를 기록하는 등 성공적인 성과를 거두었다. 중동은 이른바 ‘오일 머니’를 갖고 있어 높은 소비력을 가진 안정적인 소비시장으로 평가받는다. 최근에는 젊은 층을 중심으로 K-콘텐츠의 인기가 급부상하며, K-뷰티 등 한국 브랜드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지며 유망 수
[더구루=한아름 기자] 호텔롯데 '롯데뉴욕팰리스'가 뉴욕 맨해튼 최고의 호텔로 선정됐다. 뛰어난 입지에 볼거리·즐길거리 등이 높은 평가를 받았다. 25일 미국 여행전문지 럭셔리트래블매거진(Luxury Travel Magazine)에 따르면 롯데뉴욕팰리스가 크리스마스와 연말연시 뉴욕 맨해튼 휴가를 더욱 럭셔리하게 만들어 주는 호텔에 이름을 올렸다. 롯데뉴욕팰리스는 크리스마스와 연말연시에 호텔 곳곳을 로맨틱하고 우아한 조형물로 꾸며 어느 곳에서도 느껴 보지 못한 마법 같은 시간을 보낼 수 있다고 호평받았다. 롯데뉴욕팰리스는 다음달 27일부터 크리스마스 장식을 선보일 예정이며, 공개 전부터 뉴요커와 전세계 관광객의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롯데뉴욕팰리스는 맨해튼 호텔 중에서 가장 화려한 크리스마스트리를 자랑하고 있다. 호텔 중앙에 위치한 9m 높이의 대형 크리스마스트리는 화려한 장식품과 조명 등으로 낭만적인 크리스마스 분위기를 연출한다. 롯데뉴욕팰리스의 호텔 로비도 대형 과자집 '진저브레드 팰리스' 등 크리스마스 장식으로 꾸며진다. 진저 브레드 팰리스는 롯데뉴욕팰리스 베이커리팀이 약 300시간을 들여 제작한 대형 과자집으로, 섬세한 설탕 공예와 초콜릿 장식으로 마치
[더구루=이연춘 기자] 삼양사가 일본과 미국에서 열리는 식품전시회에 참가하며 해외 판로 확대에 박차를 가한다. 삼양사는 23일부터 25일까지 사흘간 일본 도쿄에서 열린 식품전시회 ‘HI(Health Ingredients) Japan 2024’에 참가해 스페셜티 식품 소재를 선보이며 고객사 확보에 나섰다. HI Japan은 630여개 글로벌 식품소재 기업과 유통사가 참가하고 약 2만명 이상의 식품업계 종사자가 방문하는 일본 최대 규모의 식품박람회이다. 삼양사는 현지 식품시장 트렌드를 파악하고 판로 발굴을 위해 올해로 5년째 참가하고 있다. 삼양사는 이번 전시회에서 식품사업 대표 스페셜티 제품인 알룰로스와 난소화성말토덱스트린을 소개했다. 특히 단순한 소재 홍보에 그치지 않고 알룰로스와 고감미료, 향료 등을 배합한 최적의 당류 저감 솔루션을 제안하는 세미나를 운영해 방문객들의 호응을 얻었다. 일반적으로 제로 슈거 음료나 식품에는 스테비아, 수크랄로스 같은 고감미료와 향료를 주로 쓰는데, 여기에 알룰로스를 첨가하면 단맛과 향을 가감할 수 있다. 알룰로스 특성상 고감미료와 감미 반응 양상이 다르기 때문에 설탕 특유의 풍미를 내기 어려운 고감미료의 한계점을 보완할 수
[더구루=김형수 기자] 전통 담배이자 필립모리스인터내셔널(PMI)의 효자 말보로(Marlboro)가 저물고 있다. 궐련형 전자담배 '아이코스(IQOS) ' 돌풍에 밀려 매출이 감소했다. 아이코스의 글로벌 판매가 말보로 넘어서며 필립모리스가 제시한 '담배 연기 없는 미래' 비전이 순항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유료기사코드] 24일 영국 면세전문매체 TR비즈니스(TRBusiness)에 따르면 베스테 에르마너(Beste Ermaner) 필립모리스 국제면세부문 부사장은 지난해 전세계에서 올린 아이코스 순매출(Net Revenues)이 말보로를 추월했다고 밝혔다. 다만 구체적인 수치는 공개하지 않았다. 베스테 에르마너 부사장은 오는 2030년 전체 매출 가운데 아이코스를 포함한 비연소 제품군 매출이 차지하는 비중을 최소 2/3까지 확대하는 것이 목표라고 강조했다. 흡연자들에게 일반 연초 담배 보다 덜 유해한 대안을 제시하면서 담배 연기 없는 미래의 문을 열어젖힐 것이라고 그는 강조했다. 아이코스가 글로벌 흥행하면서 아이코스로 대표되는 필립모리스 비연소제품군 사업도 활기를 띠고 있다. 필립모리스가 지난해 올린 비연소 제품군 순매출은 128억달러(약 17조6490억원
[더구루=김형수 기자] CJ ENM이 싱가포르 시장 공략에 나선다. 싱가포르 기반 아시아 최대 규모 단편 영화 플랫폼 비드씨(Viddsee)와 협력해 '아이비 보이즈'(Ivy Boys) 공동 제작에 나선다. 예능에 이어 장편 콘텐츠를 선보이며 K콘텐츠 라인업을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24일 비드씨에 따르면 CJ ENM과 파트너십을 맺고 '아이비 보이즈' 제작 프로젝트에 돌입했다. 구체적으로 CJ ENM 홍콩법인인 CJ ENM 홍콩과 비드씨가 아이비 보이즈 제작을 협력한다. 싱가포르 사업을 확대하려는 CJ ENM과 단편에서 장편으로 콘텐츠를 다변화하려는 비드씨의 비즈니스 니즈가 맞아떨어지면서 이번 파트너십이 성사된 것으로 풀이된다. 비드씨는 지난 2013년 설립된 이후 약 5000명의 크리에이터들과 손잡고 다양한 단편 영화를 선보이는 사업을 전개하고 있는 엔터테인먼트 업체다. 현재까지 비드씨 콘텐츠가 기록한 누적 조횟수는 30억회에 달한다. 아이비 보이즈는 비드씨 오리지널 IP로 개발되는 장편 콘텐츠다. 2차 세계 대전 당시 한국을 배경으로 비밀리에 탐정으로 활동하는 재단사들의 이야기를 담아낸 액션 수사물이다. 아직 제작 초기 단계로 영화·드라마 등 콘텐츠 형태
[더구루=이연춘 기자] 배달대행 플랫폼 뉴트랙 운영사 더가치플래닛은 통합형 포스(POS) ‘뉴트랙 올인원’ 프로그램을 출시해 소상공인에게 무료로 제공한다. 이번 올인원 포스 출시는 최근 경기 침체로 어려움을 겪는 소상공인의 경제적 부담을 완화하고 운영 효율성 극대화를 지원한다는 취지다. 소상공인들이 매년 최대 약 40만원의 포스 사용료로 부담이 적지 않은 상황에 소상공인과의 공존·공생 가치를 실천한다는 게 더가치플래닛 측 설명이다. 24일 더가치플래닛에 따르면 ‘뉴트랙 올인원’은 배달대행 프로그램과 포스 기능을 통합한 시스템이다. 홀 주문, 배달 주문, 고객 응대까지 분초를 다투는 외식업 현장에서 홀 주문, 연동, 배달 대행까지 한 번에 처리할 수 있다는 것이 최대 장점이다. 상점 PC에 다양한 배달주문 프로그램과 배달대행 프로그램이 설치되면서 정산이 분산되고 관리가 어려워진 현장의 애로사항을 반영했다. ‘뉴트랙 올인원’ 통합 데이터를 통해 매출과 배달비를 분석할 수 있도록 설계돼 홀 주문, 포장, 배달 통계를 제공해 매출 분석 및 전략 수립을 돕는다. 다양한 현장 환경에 적절한 사용자환경(UI)과 사용자경험(UX)을 선택할 수 있는 점도 눈에 띈다. 조리와
[더구루=이연춘 기자] 컬리는 뷰티컬리의 10월 온오프라인 뷰티 행사에 참여한 파트너사들의 거래액이 전년 동기 대비 4배 가까이 증가했다고 24일 밝혔다. 컬리는 지난 10일 동대문 DDP에서 첫 오프라인 뷰티축제 ‘컬리뷰티페스타 2024’를 진행하며 온라인에서도 동시에 ‘뷰티컬리페스타’를 진행했다. 12일간 열린 이번 기획전에는 오프라인 행사에 참여한 90개 브랜드 포함 총 411개의 브랜드가 참가해 4400가지 제품을 최대 82% 할인가로 선보였다. 이번 뷰티컬리페스타에서는 특히 온오프라인 동시 참여 브랜드의 성장세가 두드러졌다. 피토메르, 프레시안 등 ‘이노베이션관’ 참여 브랜드 전체 거래액은 전년 대비 6.6배 증가했다. 특히 비건 뷰티 브랜드 ‘달바’와 프랑스 클린 뷰티 브랜드 ‘라로제’ 거래액은 200배 가량 늘며 큰 폭으로 성장했다. 시세이도, 랑콤 등 ‘프레스티지관’에 참여한 럭셔리 브랜드 거래액 또한 2.6배 이상 늘어났다. 달바 ‘화이트 트러플 퍼스트 스프레이 세럼’은 12일간 5200여개가 판매되며 단일 제품 판매액 1위를 기록했다. 시중 대비 저렴한 가격에 1개만 사도 무료배송 혜택이 더해지면서 구매 매력도가 높아진 것으로 해석됐다. 카
[더구루=이연춘 기자] CJ올리브네트웍스가 운영하는 라이프스타일 멤버십 서비스 CJ ONE이 포인트 제휴처를 확대하며 MZ회원 취향 저격에 나섰다. 24일 CJ올리브네트웍스에 따르면 CJ ONE 회원 3000만명 중 60%가 MZ세대 회원이다. 이들의 멤버십 포인트 적립 및 사용 건수는 전체의 76%, 활용 포인트는 73%를 차지할 정도로 주 사용층으로 자리매김했다. MZ세대 회원들이 선호하는 CJ브랜드로는 CJ올리브영, CGV, 온스타일, 뚜레쥬르 등으로 CJ ONE 포인트 적립과 사용이 가장 활발하다. CJ 브랜드 외에도 CJ ONE은 지난해 슈퍼앱 도약을 선포하며 여행, 생활·편의, 모빌리티, 교육 등 산업별 대표 브랜드와 제휴를 추진하고 다채로운 혜택을 선보였다. 특히 MZ세대 회원 선호도가 높은 브랜드를 지속 발굴하여 메가MGC커피, 동대문엽기떡볶이, 신세계면세점 온라인몰, OPIc 등과 제휴를 확대하고 있다. 최근 MZ세대의 인기를 끌고 있는 ‘동대문엽기떡볶이’와는 지난 9월부터 제휴를 맺어 해당 앱에서 CJ ONE 회원 연동을 하면 음식 주문 시 CJ ONE 포인트를 적립 및 사용할 수 있다. 그 외에도 MZ회원의 멤버십 포인트 적립 및 사용이
[더구루=김형수 기자]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이 한국을 방문한 베트남 쩐 시 타잉(Tran Sy Thanh) 하노이시 인민위원장과 만나 현지 사업을 논의했다. 신사업 기회 모색과 경제 협력 방안 등에 대한 논의가 이뤄졌다. 23일 하노이시 인민위원회에 따르면 쩐 시 타잉 위원장은 지난 21일 신 회장을 서울 중구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만났다. 박현철 롯데건설 부회장 등 롯데그룹 고위경영진도 배석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회동에서 쩐 시 타잉 위원장은 롯데의 성장 잠재력과 개발 이점을 높게 평가하며 하노이에 대한 관심과 지원을 요청했다. 각종 지원 제도 수립을 통해 우호적 투자 환경을 조성했다며 추가 투자 유치 러브콜을 보냈다. 신도시 개발 프로젝트를 적극 전개하고 있는 가운데 롯데의 투자 유치 강하게 피력한 것으로 풀이된다. 롯데는 중장기적으로 아시아 지역 공략 포트폴리오를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이런 계획에서 베트남은 아시아시장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거점 국가다. 신 회장 역시 베트남 사업을 직접 언급할 정도다. 신 회장이 올 초 가치창조회의(VCM)에서 각 계열사 대표에게 "롯데몰 웨스트레이크 하노이처럼 시장을 선도하라"고 주문했다. 베트남 하노이 사업을
[더구루=김형수 기자] 롯데월드타워가 '세계 최고가 마천루' 순위 최상위권에 진입했다. 미국 뉴욕에 '원 월드 트레이드 센터'(One World Trade Center)가 정상을 차지한 가운데 아시아 초고층 건물들이 상위권을 휩쓸었다. 23일 영국 금융전문매체 러브머니(Lovemoney)에 따르면 롯데월드타워 가치는 32억1000만달러(약 4조4300억원)로 '세계 최고가 마천루' 순위 4위에 올랐다. 국내에 있는 초고층빌딩 가운데 유일하게 '톱10' 진입이다. 러브머니는 건물 완공 당시 집계된 총 건설비용을 물가상승률 등을 감안해 현재 가치로 환산한 금액에 대한 평가를 토대로 해당 순위를 매겼다. 롯데의 롯데월드타워 설립 프로젝트는 고(故) 신격호 명예회장이 서울시로부터 8만6000㎡ 규모의 부지를 매입한 지난 1988년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이후 서울시가 항공법, 공군기지법 규정 등을 이유로 건설 계획을 연달아 반려하면서 위기를 맞기도 했다. 신 명예회장이 지난 2011년 이명박 당시 서울시장을 직접 설득한 이후에야 건축허가 최종 승인을 획득했다. 555m·123층 규모의 초고층 빌딩 롯데월드타워는 그로부터 6년이 지난 2017년 4월 오픈했다. 총 건설
[더구루=이연춘 기자] 삼양그룹의 화장품∙퍼스널케어 소재 전문 계열사 케이씨아이(KCI)는 최근 스킨케어용 물질 전달 기술 ‘엔캡가드(Encapguard)’를 개발하고 해당 기술을 적용한 전달체 ‘엔캡가드세라-에스(Encapguard Cera-S)’와 ‘엔캡가드세라-엘엔피5(Encapguard Cera-LNP5)’를 출시했다고 22일 밝혔다. 엔캡가드는 피부 노화 방지, 탄력 개선, 색소 침착 완화 등 피부 개선에 도움이 되는 유효성분을 나노 크기의 전달체로 캡슐화함으로써 외부 환경에 의한 파괴없이 목표 부위까지 안전하게 전달하고 활성화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의약품 분야에서 활용되는 약물 전달 시스템(DDS, Drug Delivery System)을 화장품에 적용해 전달력을 강화한 새로운 플랫폼 기술이다. 이번에 엔캡가드 기술을 적용해 새롭게 선보인 전달체 엔캡가드세라-에스와 엔캡가드세라-엘엔피5는 피부에서 수분을 유지하고 방어막 역할을 하는 세라마이드를 주성분으로 한다. 전달체가 각질층을 통과할 때 세라마이드 성분의 캡슐이 분해, 흡수되어 피부 장벽을 강화하고, 유효성분은 표피의 가장 깊은 기저층까지 도달할 수 있게 함으로써 피부 개선 효과를 극대화했다.
[더구루=김형수 기자] 브리티시아메리칸토바코(BAT), 필립모리스인터내셔널(PMI), 일본 담배산업(JT) 등 글로벌 담배 제조사들(이하 3사)이 캐나다에서 거액의 '담배 소송' 합의안에 동의했다. 결론부터 말하면 이들 글로벌 담배 3사는 손해배상을 청구한 원고들에게 30조원이 넘는 합의금을 지급할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 2015년 이후 법적 공방이 이어진 지 9년 여만에 원고와 이들 3사 사이의 법적 공방이 마무리 수순에 들어가는 모양새다. 미국에 이어 캐나다에서 합의 방식으로 유사한 법적 공방이 종결되면서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시작한 국내 소송에 어떤 영향을 미칠 주목된다. [유료기사코드] 21일 영국 로이터 등 외신에 따르면 3사는 캐나다 온타리오 고등법원(Ontario Superior Court of Justice)에 제출된 합의안에 동의하기로 했다. 이번 합의안은 3사가 원고에게 손해배상금 236억달러(약 32조3650억원)를 지급하는 것이 골자다. 다만 3사가 30조원을 상회하는 해당 손해배상금 가운데 각각 얼만큼을 부담할 것인지는 공개되지 않았다. 미국이 아닌 국가에서 추진되는 담배 유해성 관련 소송 가운데 사상 최대 규모의 합의안이다. PMI를 비
[더구루=홍성일 기자] 미국 국방부 산하 국방고등연구계획국(DARPA, 이하 다르파)이 바이오하이브리드 로봇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다르파는 바이오하이브리드 로봇을 기반으로 기존 로봇 시스템의 한계를 뛰어넘는다는 목표다. [유료기사코드] 10일 업계에 따르면 다르파는 현재 바이오하이브리드 로봇의 다양한 개념을 탐색하고 연구하는 하이브리드(Hybridizing Biology and Robotics through Integration for Deployable Systems, HyBRIDS) 이니셔티브를 진행하고 있다. 다르파가 하이브리드 이니셔티브를 공식화한 것은 지난해 11월이다. 당시 다르파는 바이오하이브리드 로봇의 다양한 개념을 연구하기 위해 고급 연구 개념(Advanced Research Concepts, ARC)을 진행한다고 발표했다. 다르파는 올해 4월 7일까지 ARC에 참여하기 원하는 기업들에 참가신청을 받았다. ARC는 새로운 아이디어를 마음껏 연구할 수 있도록 1년간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하이브리드 이니셔티브에 참여하는 기업이나 조직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공개되지 않았지만, 다르파가 활성화된 상태라고 밝힌 만큼 관련 연구가 진행 중인 것으로
[더구루=김예지 기자] 대만의 화학소재 기업 LCY화학(李長榮化工)이 미국 애리조나주에 반도체용 소재 공장을 착공했다. TSMC의 공급망을 따라 북미 시장 진출을 본격화하며, 현지 수요 대응과 글로벌 생산 거점 확보에 나선것으로 보인다. [유료기사코드] 10일 대만 경제지 공상시보에 따르면 LCY화학은 반도체 소재 공장 설립에 총 2억 8000만 달러(약 3조 7000억원)를 투입한다. 오는 2028년 완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공장이 완공되면 연간 2만 톤 규모의 생산 능력을 갖추게 된다. 초기에는 반도체 세정 공정에 사용되는 전자급 이소프로필알코올(EIPA)을 생산하고, 이후 첨단 패키징 공정에 필요한 고순도 화학소재로 생산 범위를 확대할 계획이다. 지난 2021년 말 미국 투자 계획을 처음 공개했지만, 착공까지 다소 시간이 걸렸다. 이번 공사 착수로 LCY화학의 북미 진출이 본격화됐다는 평가가 나온다. LCY화학은 이번 투자를 통해 반도체 소재 분야에서의 입지를 확대하고, 공급망 안정화와 고객사 대응 역량을 강화하겠다는 방침이다. 미국 정부의 반도체 산업 육성 정책과 고객사의 생산 현지화 전략에 발맞춘 결정으로 풀이된다. 글로벌 반도체 세정용 소재 시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