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김형수 기자] '합정 피자 맛집'으로 널리 알려진 스파카나폴리(Spacca Napoli)가 아시아·태평양 우수 피자전문점에 선정됐다. 국내 레스토랑 가운데 유일하게 해당 랭킹 상위권에 진입했다. 뛰어난 피자 품질, 매장 인테리어 등이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 5일 이탈리아 피자 전문 가이드 '50 톱 피자'(50 Top Pizza)에 따르면 스파카나폴리는 아시아·태평양 우수 피자전문점 랭킹 11위에 이름을 올렸다. 스파카 나폴리를 운영하는 이영우 셰프는 지난 4일 일본 도쿄에 위치한 이탈리아 문화회관에서 개최된 시상식에 직접 참가했다. 이탈리아 나폴리에서 피자를 공부한 이 셰프는 지난 2011년 서울 마포구 합정역 인근에 스파카 나폴리를 오픈했다. 현재 그는 나폴리피자 장인협회(APN) 한국지부 회장으로도 활동하고 있다. 50 톱 피자는 심사위원들의 평가 결과를 토대로 매년 순위를 매긴다. 심사위원들은 평가 가이드라인에 따라 피자전문점의 피자 품질, 서비스 등에 대한 평가를 실시했다. 스파카나폴리는 뛰어난 피자 맛이 높은 점수를 받았다. 나무 화덕에서 구워진 피자 도우는 어떤 재료와도 잘 어울릴 뿐만 아니라 크러스트 부분이 일품이라는 평가다. 특히 마
[더구루=김형수 기자] '공룡센터'로 불렸던 미 프로농구(NBA) 스타 샤킬 오닐(Shaquille O’Neal)이 파파존스 이사회에서 물러난다. 샤킬 오닐은 지난 5년간 파파존스의 다양성을 상징하는 얼굴로 활동하며 '신(新)나치 피자'라는 비난을 받았던 파파존스를 '다양성 우수 기업'으로 변모시켰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4일 업계에 따르면 샤킬 오닐은 오는 5월 열리는 파파존스 연례 주주총회에서 이사 재선에 도전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이에 따라 샤킬 오닐은 임기가 만료되는 오는 5월2일 파파존스 이사 자리에서 내려오게 된다. 파파존스는 샤킬 오닐이 신규 사업에 집중하기 위해 이같은 결정을 내렸다고 전했다. 다만 샤킬 오닐은 이사직을 그만둔 이후에도 브랜드 앰배서더로 활동하며 파파존슨와의 동행은 이어나간다는 계획이다. 자신의 고향 애틀란타주 조지아 소재 9개 파파존스 매장 운영도 이어나갈 예정이다. 샤킬 오닐은 파파존스가 신 나치 피자라는 비판을 받던 지난 2019년 파파존스 이사에 오른 뒤 구원투수 역할을 톡톡히 해냈다는 평가를 받았다. 지난 2018년 존 슈내터(John Schnatter) 창업자의 발언이 인종 차별 논란을 일으키며 위기에
[더구루=한아름 기자] 지난달 태국 방콕에 첫 발을 내딛은 bhc치킨이 현지 시장 조기 안착을 위해 스타 마케팅에 나섰다. 인스타그램 팔로워 25만명에 달하는 셀럽을 내세워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내 브랜드 노출을 확대했다. 3일 업계에 따르면 태국 유명 여가수 남 칸쿨너트(Nam Kankulnut)가 인스타그램 등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 bhc치킨을 극찬했다. 그는 태국 1호점인 'bhc 센트럴월드점'을 방문, △뿌링클 치킨 △뿌링클 치즈스틱 △뿌링클 치즈볼 △bhc아메리칸 볶음밥 △떡볶이 △해물순두부찌개 등을 직접 소개했다. 특히 칸쿨너트는 뿌링클 치킨에 대해 고소한 프라이드 치킨과 달콤한 치즈가루가 조화를 이룬다고 호평했다. 떡볶이나 해물순두부찌개 등 치킨과 어울리는 한식 메뉴를 갖추고 있는 데다 현지화 메뉴 bhc아메리칸 볶음밥도 매력이 있다고 전했다. bhc아메리칸 볶음밥은 bhc치킨과 미국식 볶음밥으로 구성, 한끼 식사로 적합하다고 덧붙였다. bhc치킨은 이번 스타 마케팅이 브랜드 제고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칸쿨너트은 인스타그램 팔로워가 25만명에 달하는 등 10·20대 젊은 층으로부터 큰 인기를 끌고 있다. bhc치킨 관계자는
[더구루=한아름 기자] 교촌치킨이 아랍에미리트(UAE)에서 '브런치 맛집'으로 변신(?)하고 있다. 현지에서 불고 있는 카페 식문화에 대한 수요가 커지면서 베이커리 등 간편식 메뉴를 확대하고 있다는 것. 3일 교촌치킨에 따르면 아랍에미리트 매장 6개에 △앙념치킨 버거 △소이 갈릭 랩 샌드위치 등을 출시하는 등 간편식 라인업을 강화했다. 카페에서 식사를 즐기는 현지 트렌드를 고려해 브런치 메뉴를 개발했다는 게 회사측의 설명이다. 소이 갈릭 랩 샌드위치와 양념치킨 버거는 번 사이에 두툼한 닭고기와 양상추, 양배추, 토마토 등 야채를 더해 영양학적으로 우수하다는 평가다. 감자튀김도 사이드 메뉴로 제공돼 든든한 한끼 식사를 즐길 수 있다. 지난달 한국식 치즈케이크·아이스크림 세트를 선보인데 이어 브런치 메뉴도 잇따라 출시한 배경은 객단가를 끌어올려 중동 사업 실적 확대를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브런치 메뉴는 치킨 대비 수익성이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이다. 한편, 교촌은 해외 영토 확장에도 본격 나선다는 방침이다. 교촌은 지난 2007년 미국에 첫 해외 매장을 오픈한 뒤 7개국(미국, 중국,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태국, UAE, 대만)에서 71개 매장을 운영하고 있
[더구루=한아름 기자] 뚜레쥬르가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랜드마크 상권에 진출, 현지 영토 확장을 본격화한다. 뚜레쥬르는 자카르타 신규점을 성공적으로 오픈 한 뒤, 이를 바탕으로 땅그랑(Tangerang), 반둥(Bandung) 등 주요 도시 공략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2일 업계에 따르면 뚜레쥬르는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랜드마크 빌딩인 오토그래프 오피스타워(Autograph Office Tower)에 60번째 매장을 오픈했다. 오토그래프 오피스타워점은 '프리미엄 빵 백화점'이란 콘셉트로 400여가지 베이커리 라인업을 갖췄다. 뚜레주르는 이를 통해 1143만 자카르타 상권을 정조준 한다. 뚜레쥬르 매장이 로비층에 위치해 주 고객인 직장인의 관점을 충실히 반영했다는 평가다. 출근 전 아침 식사로 커피·샌드위치 세트를 선보이는 동시에 소보루빵 등 K-베이커리 제품군도 두루 갖췄다. 소득, 접근성 등 다양한 입지 조건에서 유리한 만큼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올해 자카르타 인구 수는 1143만명으로 지난 2020년부터 지속적으로 늘고 있다. 특히 뚜레쥬르가 올해 인도네시아에서 처음으로 선보이는 매장이란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여기에 현지 뚜레쥬르 마니아층이
[더구루=김형수 기자] 파리바게뜨가 싱가포르에 크루아상에 피자를 접목한 이색 메뉴 '크로짜'(Crozza)를 론칭하고 로컬 소비자 공략에 나섰다. 메뉴 포트폴리오를 확대, 현지 브런치 수요를 선점하겠다는 전략이다. SPC그룹은 싱가포르를 미국과 중국에 이은 ‘제3의 글로벌 성장축’인 동남아 시장의 거점으로 삼아 활발한 사업을 펼치고 있다. 1일 업계에 따르면 파리바게뜨는 싱가포르에 신규 브런치 메뉴 크로짜 3종을 론칭했다. 싱가포르에 자리한 16개(지난해 기준) 전체 매장에서 이들 메뉴를 판매한다. 크로짜는 크루아상 위에 피자 토핑을 올린 이색 메뉴다. 파리바게뜨는 △3가지 치즈와 햄이 어우러진 '트리플 치즈 햄 크로짜' △4가지 버섯과 고다·에멘탈 치즈가 조화를 이루는 '포 머시룸 치즈 크로짜' △아시아 향신료와 크리미한 치즈 등으로 만든 '오타 치즈 크로짜' 등을 준비했다. 파리바게뜨는 싱가포르 래플스 시티(Raffles City)점, 아이온 오차드(ION Orchard)점, 주얼 창이공항(Jewel Changi Airport)점 등에서는 크로짜에 더해 신규 브런치 메뉴 3종을 추가로 론칭했다. 베이글·샐러드 등으로 구성된 에그 로열 온 베이글, 해산물을
[더구루=김형수 기자] BBQ가 일본에 인기 메뉴를 중심으로 평일 한정 런치세트를 론칭하고 현지 시장 공략에 나섰다. 메뉴 포트폴리오를 확대하고 현지 직장인과 학생들의 입맛을 잡겠다는 전략이다. 1일 업계에 따르면 BBQ는 일본에 평일 한정 런치세트 메뉴 7종을 출시했다. 이들 메뉴는 평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4시까지 판매한다. BBQ는 런치세트 메뉴 가격이 700엔(약 6200원) 안팎으로 각 메뉴를 개별로 구매했을 때에 비해 100엔(약 900원) 이상 저렴하다. BBQ는 순살 올리브 치킨(3조각)·감자튀김·샐러드·음료 등으로 구성된 모모치킨세트를 비롯해 △허니머스타드랩샌드·감자튀김·음료 등으로 이뤄진 허니마스랩샌드세트 △마라랩샌드·감자튀김·음료 등이 포함된 마라랩샌드세트 등을 선보인다. 또 △올리브치킨버거·감자튀김·음료 등으로 구성된 올리브치킨버거세트 △올리브치킨핑거(4개)·허니브레드·샐러드·음료 등으로 이뤄진 올리브치킨핑거세트 △비빔밥치킨라이스·음료가 포함된 비빔밤치킨라이스세트 △허니갈릭치킨라이스·샐러드·음료 등으로 이뤄진 허니갈릭치킨라이스 세트 등도 준비했다. BBQ 입장에서는 세트 메뉴는 품목을 집중해 조리시간을 단축시킴으로써 고객들에게 빠르게
[더구루=한아름 기자] 교촌치킨 허니 윙이 인도네시아 소비자들이 사랑하는 '최고의 치킨'에 올랐다. 교촌치킨은 현지 소비자 취향을 반영한 신메뉴를 개발해 'K-치킨' 열풍을 이어간다는 계획이다. 1일 교촌치킨 인도네시아법인에 따르면 현지 소비자 중 35%가 허니 윙을 최고의 메뉴로 선정했다. 이는 교촌치킨이 지난달 10개 전 매장에서 소비자를 대상으로 선호도 조사를 진행한 결과다. 오리지날 윙은 허니 윙과 근소한 차이로 2위를 이었다. 오리지날 윙을 선택한 소비자는 전체의 34%에 달했다. 이어 레드 윙이 3위(6.5%)를 기록했다. 치킨 강정과 살살 시리즈는 각각 4위(6.5%), 5위(2.9%)에 머물렀다. 교촌치킨은 이번 조사에서 인도네시아 소비자들이 달고 짭짤한 맛을 선호한다는 점을 확인했다. 이를 고려해 신메뉴를 개발한다는 방침이다. 현지 트렌드를 적용하면 개발 비용 절감이나 홍보 측면에서 큰 효과가 있다는 장점이 있다. 교촌치킨이 인도네시아 마케팅에 공을 들이는 이유는 높은 잠재력 때문이다. 인도네시아 인구수는 지난해 기준 전 세계 4위인 2억7753명에 달한다. 경제성장률 역시 5% 내외로 구매력이 높다는 평가다. K-푸드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더구루=이연춘 기자] CJ푸드빌 뚜레쥬르가 인도네시아 시장에서 두각을 나타내며 사업 확대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뚜레쥬르는 최근 자카르타 인근 반둥지역에 신규 매장을 오픈하며 전체 매장 수가 60개를 돌파했다. ‘수마르콘몰 반둥점’, ‘빈따로 익스체인지점’ 등 지난해 4분기부터 현재까지 8개의 매장을 오픈하는 등 출점 속도에도 탄력이 붙고 있다. 28일 뚜레쥬르에 따르면 지난 2011년 인도네시아에 처음 진출한 이후 수도인 자카르타 위주로 매장을 늘려왔다. 진출 초기에는 자카르타의 동서남북 거점에 매장을 두고 브랜드 인지도를 높여왔으며 점차 진출 지역을 확대했다. 현재는 자카르타, 땅그랑, 브까시, 반둥, 발리, 메단 등 주요도시를 중심으로 인도네시아 전역에 걸쳐 진취적인 확장세를 보이고 있다. 외형 확장뿐만 아니라 수익성도 개선됐다. CJ푸드빌 인도네시아 법인은 지난 2022년 매출이 전년비 약 71%, 영업 이익은 전년비 약 740% 상승하는 등 인니 진출 이래 최대치의 흑자를 달성했다. 인니 사업은 지난해에도 순항해 전년보다 더 큰 폭의 흑자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되며, 최근 2년간 두 자릿수 영업이익률을 기록하고 있다. 이와 같은 성장세는 ‘프리미엄
[더구루=김형수 기자] 파리바게뜨의 미국 충성 고객이 크게 늘어났다. 현지 리워드 회원을 겨냥한 '데이 마케팅'이 성과로 이어졌다는 평가다. 파리파게뜨는 오는 2030년 북미 1000호점 달성이 목표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파리바게뜨 미국 리워드 회원 숫자는 60%, 적극 구매 고객을 의미하는 활성 이용자(Active Membership) 숫자가 50% 증가했다. 지난해 미국 매장 전체 방문객 숫자는 전년 대비 15% 이상 늘어났다. 파리바게뜨가 미국에서 리워드 회원을 대상으로 진행한 데이 마케팅이 효과를 톡톡히 본 것으로 풀이된다. 파리바게뜨는 △크루아상의 날(1/30) △커피의 날(10/1) △케이크의 날(11/26) 등을 기념해 제품을 구입한 리워드 회원에게 크루아상 1개, 커피 1잔, 케이크 1조각 등을 무료로 제공하는 행사를 진행하고 있다. <본보 2023년 9월 22일 참고 파리바게뜨, 미국 '커피의 날' 행사서 K-커피 알린다> 아울러 파리바게뜨는 리워드 회원들에게 1달러(약 1300원) 구매 시 1포인트 증정 혜택을 제공하고 있다. 일정 포인트 이상을 모은 회원에게는 패스트리 등을 무료로 증정한다. 모바일 앱을 통한
[더구루=김형수 기자] 미국 치킨 프랜차이즈 KFC가 치킨에 피자를 접목한 이색 메뉴 '치짜'(Chizza)를 론칭하고 로컬 소비자 공략에 나섰다. 글로벌 인기 메뉴로 자리매김한 치짜의 국내 재출시 여부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치짜의 국내 출시 여부에도 관심이 쏠린다. [유료기사코드] 27일 업계에 따르면 KFC는 미국에 치짜를 론칭했다. 치짜는 후라이드 치킨 위에 모짜렐라 치즈, 페페로니 등을 얹고 토마토 베이스의 마리나라 소스로 맛을 낸 이색 메뉴다. KFC는 미국에 치짜 단품 메뉴, 치짜·감자튀김·음료 등으로 이뤄진 세트 메뉴 등을 선보인다. 치짜와 잘 어울리는 음료 '블랙베리 레모네이드'(Blackberry Lemonade)도 준비했다. 새콤달콤한 과일의 풍미가 입안을 상쾌하게 해주는 음료다. KFC는 치짜 출시를 기념해 미국 뉴욕 맨해튼에 '치쩨리아'(Chizzeria) 팝업스토어를 오픈했다. 치짜를 테마로 조성한 팝업스토어로 치짜만 판매한다. 이달 말까지 해당 팝업스토어를 운영하며 현지 소비자들에게 치짜를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는 방침이다. KFC는 지난 2015년 필리핀에 처음 치짜를 선보였다. 이후 대만, 인도, 태국, 독일, 스페인
[더구루=김형수 기자] 미국 명물 디저트 브랜드 스프링클스(Sprinkles)가 국내 시장에 상륙한다. 허영인 SPC그룹 회장의 차남 허희수 SPC그룹 부사장이 국내 도입을 위해 공들여온 브랜드다. 허 부사장은 앞선 쉐이크쉑, 에그슬럿의 성공신화를 재현하겠다는 계획이다. 27일 스크링클스에 따르면 SPC와 국내 시장에 대한 마스터프랜차이즈 계약을 체결했다. 다만 구체적 계약 규모는 공개되지 않았다. SPC는 이번 계약을 토대로 연내에 스프링클스 국내 1호점을 오픈한다는 목표다. 스프링클스는 지난 2005년 미국 캘리포니아주 LA 비버리힐스(Beverly Hills)에 1호점을 열고 사업을 시작했다. 엄선된 재료로 만든 수제 컵케이크, 케이크, 쿠키 등이 인기 메뉴다. 특히 케이트 모스 등 유명 헐리우드 배우들이 스프링클스 컵케이크를 손에 쥔 모습이 공개되며 전세계적 유명세를 탔다. 현재 미국 전역에서 70여개의 매장을 운영하고 있다. 브랫 윌스(Brett Willis) 스프링클스 개발 담당 부사장은 "이번 글로벌 프랜차이즈 사업 확장을 통해 '기쁨과 축하의 순간'을 해외 소비자들과도 함께 할 수 있게 됐다"면서 "해외 프랜차이즈사업 파트너의 운영·트레이닝·마
[더구루=홍성일 기자] 테슬라가 중국 시장 전용 6인승 전기 SUV '모델 Y L'을 출시했다. 테슬라는 모델Y L을 앞세워 중국 로컬 브랜드에 맞서 경쟁력을 끌어올린다는 목표다. [유료기사코드] 테슬라는 19일(현지시간) 모델Y L을 출시하고 판매에 돌입했다. 모델YL의 배송은 다음달 시작될 예정이다. 모델Y L은 중국 시장 최고 인기 모델인 모델Y의 롱바디 모델이다. 이를 통해 좌석을 3열까지 배치해, 탑승인원을 6명으로 늘린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테슬라 중국법인 측은 "휠베이스를 늘려 각 좌석마다 넉넉한 레그룸을 갖추고 있다"며 "좌석마다 전동 조절 시트와 열선 기능이 장착됐고, 2열 시트에는 전동 암레스트도 탑재됐다"고 소개했다. 또한 2열과 3열은 평평하게 접혀, 필요에 따라 넓은 공간을 확보할 수도 있다. 테슬라 모델Y L의 1회 충전시 751km(CLTC 기준) 주행할 수 있으며, 정지상태에서 시속 100km까지 가속하는데는 4.5초가 소요된다. 최고 속도는 시속 210km에 달한다. 중국 전기차 전문매체 CNEV포스트는 모델YL에 LG에너지솔루션에서 개발한 82kWh 삼원계 배터리(NMC)가 장착됐다고 전했다. 테슬라는 모델YL을 33만90
[더구루=정예린 기자] 엔비디아가 오는 2027년부터 고대역폭메모리(HBM) 핵심 부품인 '베이스 다이'의 자체 생산을 추진한다. 기존 공급망 의존도가 줄어들면서 HBM 시장과 글로벌 메모리 반도체 기업들에 상당한 파장이 예상된다. [유료기사코드] 19일 대만 공상시보(CTEE)에 따르면 엔비디아는 7세대 HBM인 HBM4E부터 자체 설계한 베이스 다이를 탑재할 계획이다. 초기에는 TSMC 3나노미터(nm) 공정을 적용해 소량 시험 생산을 진행하고, 점차 생산 규모를 확대할 예정이다. 현재는 SK하이닉스, 마이크론 등 HBM 생산 기업들이 설계부터 생산까지 모든 과정을 진행하고 있다. 하지만 2027년 하반기부터는 엔비디아가 자체 맞춤형으로 설계한 베이스다이를 적용할 전망이다. 구체적으로, 2027년 하반기부터 어느 메모리 업체의 HBM 제품과 결합하더라도 엔비디아가 자체 설계한 베이스 다이를 적용한다는 계획이다. 계획대로 진행되면 HBM 생산 기업 등 공급망 내 기업들의 일부 역할이 전환될 것으로 보인다. 업계에서는 이번 전략 변화가 GPU와 HBM 시스템 통합 성능을 높이기 위한 결정이라고 분석하고 있다. HBM4E부터는 단순 메모리 적층을 넘어, 최하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