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정예린 기자] 미국 방위업체 '시에라 네바다 코퍼레이션(SNC)'가 대한항공으로부터 매입한 보잉747-8i 항공기의 본격적인 개조 작업에 착수한다. '공중 펜타곤' 역할을 하는 미국의 새로운 특수 군용기로 재탄생, 미군 전력 강화를 위한 핵심 축이 될 전망이다. 5일 SNC에 따르면 회사는 최근 대한항공이 인도한 첫 번째 보잉747-8i 항공기를 오하이오주 데이튼에 위치한 자사 항공혁신기술센터(AITC)에서 미 캔자스주 위치타주립대학교 내 미국 국립항공연구소(NIAR)로 옮겼다. 미 공군의 차세대 생존공중작전센터(SAOC) 항공기로 개조하기 위해서다. 대한항공이 공급한 첫 번째 보잉747-8i는 지난 6월 SNC의 AITC 계류장 에서 처음 포착됐었다. SNC는 격납고에 보관해왔다. 지난 10월 대한항공으로부터 두 번째 보잉747-8i를 인도받으며 첫 번째 항공기를 NIAR로 보냈다. SNC는 같은달 두 번째 격납고를 준공하고, 2개의 추가 격납고 기공식도 개최했다. <본보 2024년 6월 24일 참고 美 '최후의 날 항공기'로 개조될 '대한항공 보잉 747’ 목격> NIAR로 보내진 보잉747-8i는 NIAR의 △디지털 트윈 △적층 제조
[더구루=오소영 기자] HMM의 초대형 컨테이너선 '상트페테르부르크(St Petersburg)호'가 그리스 NGM에너지의 유조선 '글로리아 마리스(Gloria Maris)호'와 충돌 사고가 발생했다. 인명 피해는 없었고, 선체 일부만 손상됐다. 5일 알헤시라스 항만청과 월드카고뉴스 등 외신에 따르면 HMM의 상트페테르부르크호는 지난 3일(현지시간) 오전 글로리아 마리스호와 알헤시라스 항에서 남동쪽으로 약 8.9마일 떨어진 지점에서 충돌했다. 상트페테르부르크호는 지난 2020년 삼성중공업 거제조선소에서 건조한 초대형 컨테이너선(2만3964TEU)이다. 20피트(약 6미터) 컨테이너 박스 2만4000개를 한 번에 운반할 수 있는 규모로 길이 약 400m, 폭 61m, 높이 33.2m에 달한다. 6주간의 항해를 마치고 중국 옌텐에서 유럽으로 향하던 중이었다. 글로리아 마리스호는 15만6620DWT급 수에즈막스 탱커로, 지난달 30일 스페인 카르타헤나에서 14만7564톤(t) 상당의 원유를 하역한 후 화물이 없는 상태로 지브롤터로 향하고 있었다. 상트페테르부르크호는 선원 24명, 글로리아 마리스호는 25명이 타고 있었으나 이번 사고로 인한 인명 피해는 없었다. 유류
[더구루=김은비 기자] 아시아나항공이 이집트항공 항공화물 부문인 이집트항공 카고와 현지 화물 지상조업 파트너십을 맺었다. 아시아나항공은 이번 파트너십 체결을 통해 중동·북아프리카(MENA)에서의 글로벌 네트워크를 한층 더 확장한다는 방침이다.
[더구루=정예린 기자] 한국과 페루를 연결하는 직항 노선 신규 개설을 위한 정부 간 논의가 본격화된다. 방위산업에 이어 민간 항공 분야에서도 양국 협력이 가시화되며 동맹이 굳건해지고 있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오는 2028년 로스앤젤레스(LA) 올림픽에서 혁신적인 도시 교통 기술이 선보일 것으로 기대되는 가운데 에어택시가 특히 주목을 받는다. 30일 코트라 '2028 올림픽 앞둔 미국 LA, eVTOL이 바꿀 미래 교통의 청사진' 보고서에 따르면 조비에비에이션·아처에비에이션·릴리움·볼로콥터 등 전 세계 주요 에어택시 업체가 LA 올림픽을 겨냥해 도심 항공 모빌리티(UAM) 서비스 도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플라잉 택시는 기존 항공기와는 달리 도시 내 단거리 이동에 적합하게 설계된 소형 전기 항공기로 UAM의 핵심 기술이다. 아처 에비에이션은 2026년부터 로스앤젤레스에서 항공 모빌리티 네트워크를 시작할 계획이다. 초기 서비스는 몇 대의 항공기로 특정 노선을 중심으로 하여 소규모로 운영될 예정이다. 이후 2028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까지 서비스를 본격적으로 확장한다는 방침이다. 아처 에비에이션의 로스앤젤레스 네트워크 계획은 사우스웨스트를 포함한 주요 항공사와의 협력 뿐만 아니라 소규모 공항에서 비즈니스와 개인 항공을 지원하는 시그니처와 애틀랜틱 에비에이션과의 파트너십을 기반으로 한다. 이 네트워크에는 로스앤젤레스 국제공항, 오렌지 카운티,
[더구루=김은비 기자] 스칸디나비아항공(SAS)이 내년 하반기부터 덴마크 코펜하겐과 인천을 잇는 직항 노선을 만든다. SAS는 한국으로 오가는 최초의 정기 직항편을 선보이며 글로벌 네트워크를 한층 강화할 계획이다. SAS는 내년 9월12일부터 덴마크 코펜하겐국제공항과 인천국제공항 간 직항 서비스를 시작한다고 28일(현지시간) 밝혔다. 성수기 시즌인 여름에 주 4회, 겨울철에는 주 3회 운항될 예정이다. 수요 변화에 따라 유연하게 항공기를 배치한다는 계획이다. 항공기는 에어버스 A350이 사용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번 취항을 통해 SAS는 글로벌 항공 네트워크를 한층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인천국제공항은 아시아와 유럽을 잇는 주요 허브로, 아시아 전역으로의 연결성이 뛰어난 환승 중심지로 평가받는다. SAS 측은 "이 노선은 규제 승인 절차를 남겨두고 있지만, 스칸디나비아반도와 한국을 잇는 새로운 교두보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SAS는 이번 신규 취항으로 유럽-아시아 여행객들에게 더 다양한 중장거리 항공편 옵션과 향상된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SAS는 내년 5월부터 시애틀행 직항 서비스 또한 신규 취항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코펜하겐국제공항에서 출발해
[더구루=홍성일 기자] 미국 연방통신위원회(FCC)가 스페이스X의 위성 기반 휴대전화 서비스 '셀룰러 스타링크(Cellular Starlink)'의 상업적 운영을 승인했다. 스페이스X는 스타링크 위성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무선 통신 서비스 범위 확장에 속도를 내고 있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민간 우주기업 로켓랩(Rocket Lab)이 330억원 규모 미국 정부 보조금을 확정했다. 복합 반도체 생산 시설에 대한 투자를 본격화한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영국 에어택시 제조업체 버티컬 에어로스페이스(Vertical Aerospace)가 추가 자금조달에 성공했다. 자금난에 숨통이 트일 것으로 기대된다.
[더구루=정예린 기자] 대한항공이 중국 취항 30주년을 맞아 노선 확대에 전력을 쏟는다. 중국의 무비자 정책과 환승객 증가 등에 힘입어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 코로나19 팬데믹 이전 수준으로 회복한다는 방침이다. 20일 중국 일간지 베이징상바오(北京商报)에 따르면 박요한 대한항공 중국지역본부장(상무)은 최근 이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올 겨울 대한항공의 중국 노선은 지난 2019년의 90% 수준으로 돌아올 것"이라며 "대한항공은 공급 능력을 지속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중국 신규 취항에도 속도를 낸다. 박 상무는 "대한항공은 중국 내 2선, 3선 도시에서의 입지도 강화하고 있는데, 중국의 비자 면제 정책으로 한중 국민 간 교류를 더욱 활성화되고 한중 노선 회복이 가속화할 것"이라며 "대한항공은 올해 12월 부산~칭다오 노선을 재개하고 인천~푸저우 노선도 신규 개설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2선, 3선 도시는 주요 대도시 외 중소 도시들을 뜻한다. 2선 도시는 발전 중인 경제 중심로 청두, 소주, 항저우 등이 포함된다. 3선 도시는 정저우, 난창 등 상대적으로 경제 규모는 작지만 최근 투자와 개발이 활발히 진행돼 성장이 기대되는 도시다. 예를 들
[더구루=정등용 기자] SK해운이 노후화 된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 4척을 매각 처리했다. 전체 사업 매각에 앞서 몸집 줄이기에 나선 행보로 풀이된다. 19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SK해운은 LNG 운반선 4척을 스크랩(고철용) 거래로 매각했다. 이번에 매각된 LNG 운반선은 스팀터빈엔진 방식의 선박으로 138,000-cbm급 SK Summit(1999년 건조)과 SK Supreme(이하 2000년 건조), SK Splendour, SK Stellar다. 가격은 495.5달러/ldt 수준에서 거래됐다. 앞서 SK해운은 한국가스공사와 용선 계약이 만료된 LNG 운반선 5척을 시장에 매물로 내놓은 바 있다. 올 상반기에는 15년차를 넘어선 초대형 원유운반선(VLCC) 1척을 그리스 선사에 약 740억원을 받고 매각했다. SK해운은 전체 사업 매각에 앞서 원활한 거래를 위해 비주력 사업부 축소와 노후 선박 매각을 지속 추진하고 있다. 실제 한앤컴퍼니(한앤코)는 지난 2018년 SK해운을 인수한 후 최근까지 30척에 달하는 벌크선을 정리해왔다. 지난달엔 팬오션에 벌크선 4척을 총 2265억원을 받고 매각하기로 확정했다. 한앤코는 지난해 SK해운 탱커선 매각을 위
[더구루=홍성일 기자] 독일 항공사 루프트한자가 대규모 인력 감축에 나선다. 인공지능(AI), 자동화 시스템 도입으로 인한 일자리 감소가 현실화되고 있는 모양새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호주 해양 조선·방산업체 오스탈 수장이 한화의 지분 취득에 또 경계를 표했다. 호주 호위함 사업을 수주한 일본의 기술 유출 우려를 이해한다는 입장을 표명했다. 경영권 참여를 위한 한화의 지분 취득에 극도로 민감한 반응을 보이면서 막판까지 긴장감이 지속되고 있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미국 인공지능(AI)·데이터 분석 기업 팔란티어 테크놀로지스(이하 팔란티어)가 미국 텍사스에 데이터센터 설립을 검토한다. 미국 에너지 개발기업인 페르미 아메리카(Fermi America, FRMI)가 최대 규모의 민간 전력망(HyperGridTM)과 AI·데이터센터 복합단지를 조성하는데 함께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