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에 존재하지만 드러나지 않은 기업들이 있다. 상장사 못지 않은 막대한 수익을 거두나 주식 시장에 상장되지 않아 알려지지 않은 '비상장사들'이 그들이다. 최근 문재인 정부가 '일감 몰아주기'를 재벌 개혁의 핵심 과제로 다루며 비상장사들이 주목받고 있다. 시장의 견제가 없어 내부거래를 통해 총수 일가의 곳간을 채우는데 활용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이에 따라 매일뉴스는 총 6회에 거쳐 비상장사 계열사를 내세운 내부거래로 한해 수십조원을 벌어들인 재벌 이상한(?) 행보를 짚어본다. -편집자주- 비상장사가 총수 일가의 사익편취 수단으로 악용되는 배경에는 느슨한 규제와 감시망이 뽑혔다. 전문가들은 일감 몰아주기 규제 대상을 넓혀 현행법의 사각지대를 해소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공시 의무를 강하게 부여하고 기업 스스로도 경영 투명성을 높이고자 노력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비상장사 사각지대 해소가 관건 현행 공정거래법은 일감 몰아주기 규제 대상을 총수 일가가 지분 30% 이상을 보유한 상장사, 20% 이상 가진 비상장사로 두고 있다. 내부거래가 많지만 총수 일가 지분이 20%를 넘지 않는 회사는 법망을 피할 수 있다. 내부거래율이 2017년 기준 96%에 달하는 삼성전자
※제목을 클릭하시면 해당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14일(화) ▲ 농심 = "치킨+라면 조합" 신라면, 호주 치킨 체인과 콜라보레이션 ▲ 미·이란 충돌 = 이란 국적탱커, 호르무즈 해협 통항…'봉쇄 가능성 無' 시사 ▲ 삼성바이오에피스 = "엔브렐 바이오시밀러 'SB4' 효능 탁월"…폴란드 연구진 발표 ▲ 삼성전자 = 독일 웨어러블 기업과 맞손…"B2B시장 경쟁력 강화“ ▲ 삼성전자 = "삼성·샤오미폰 안 판다"…인도 소매협회 경고 ▲ 삼성전자 = "삼성 냉장고 수명 짧아" 유럽 소비자 '혹평’ ▲ 삼성전자 = "초고해상도 카메라" 갤럭시 S20+ 실물 노출 ▲ 삼성중공업 = 러시아 "삼성중공업과 협력 확대 기대"…북극항로사업 수주 기대감↑ ▲ 쌍용자동차 = 추가자구안 동의율 94% 돌파…금융권 지원 '마중물' 되나 ▲ 롯데·신세계면세점 = 격차 줄이기 '안간힘' ▲ 세계이동통신사업자연합회="5G 통신인구 올해 1억7000만명…5년내 17억명 돌파“ ▲ 현대로템 = '유럽 전차 개발사업 제외' 폴란드 러브콜 ▲ 현대자동차 = 제네시스 G90, 美 가격 테슬라 모델S '비슷'…최고 9149만원 책정 ▲ 현대자동차 = 토요타와 손잡고 노르웨이 수소 충전소 확
※제목을 클릭하시면 해당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 SK텔레콤 = 나노엑스, 폭스콘도 베팅 ▲ 롯데면세점 = '칼 라거펠트X로레알' 라이브 메이크업 컬렉션 '대박'…조회수 2.2억뷰 ▲ 롯데케미칼 = 타이탄 실적 '브레이크'…에틸렌 가격 급락 직격탄 ▲ 볼보 = 美 배터리팩 조립공장 건설…LG화학 '함박웃음’ ▲ 삼성전자 = 하만, 독일공장 폐쇄·관계사 구조조정…군살빼기 강도 높여 ▲ 삼성중공업 = '에너지 공룡' 엑슨모빌, LNG선 14척 건조 예약 ▲ 신라면세점 = 랑콤과 파트너십 체결…'밸렌타인 기념' 한정판 립스틱 출시 ▲ 아모레퍼시픽 = '더 에센셜 크림 플루이드', 英 럭셔리 뷰티 화장품 인정 ▲ 아모레퍼시픽 = 상하이 '프리메라' 1호점 오픈…中 프리미엄 시장 공략 속도 ▲ 토요타 = '연료펌프 결함' 차량 70만대 美서 리콜 ▲ 한국타이어 = 유럽본부장 교체…유럽 시장 확대 노려 ▲ 현대·기아차 = '파트너 부패스캔들'로 알제리 생산중단…중동·아프리카 전략 '빨간불’ ▲ 현대백화점 = 자회사 그린푸드, 콜롬비아산 아보카도 오일 수입…프리미엄 식자재 강화 ▲ 현대중공업·삼성중공업·대우조선해양= 카타르, 중국 방문…LNG선 건조 가능성 타진
※제목을 클릭하시면 해당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 KT = 해외 이통사 5곳과 '5G퓨처포럼' 발족…"글로벌 생태계 구축" ▲ LG화학 = GM 배터리 합작사 '청신호'…부지 확보 ▲ LG화학 = 글렌코어, 테슬라 中공장 코발트 공급 논의…결별 대비하나 ▲ SM상선 = 美 포틀랜드항 첫 기항 ▲ 삼성·SK·LG·한화 = 글로벌 블록체인연합, 신규 테스트 진행 ▲ 삼성벤처투자·LG화학 = 에너베이트, 5분 충전 배터리 기술 개발 ▲ 삼성전자 = 인도, 스마트폰 제조사 대출 이자 지원 ▲ 삼성중공업, 美 퍼시픽드릴링서 계약금 회수…드릴십 분쟁 승소 ▲ 삼성중공업 = '암모니아 연료' 추진 선박 개발 ▲ 한국타이어 = 인니서 딜러 회의 개최…두자릿수 성장 목표 ▲ 한화큐셀·LG화학 = 美 태양광 관세 중간점검… LG·한화 '촉각' ▲ 호텔신라 = 국제면세점 업계 영향력 확대…스리식스티 CFO, IAADFS 이사 선임 ▲ 효성화학 = 베트남서 '광폭행보'…2단계 투자 확정 ▲ 현대중공업 = ‘1500억원 규모’ 원유운반선 2척 수주
※제목을 클릭하시면 해당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 CJ제일제당 = 日 한류축제 참여…'비비고 특판' 행사 ▲ LG전자 = 'TV 과장 광고' 베스트바이 美 집단소송 기각 요청 ▲ LG전자 = 美 선버지, 스마트 에너지 관리시스템 출시 '맞손' ▲ LS전선 = 미얀마사업 제동…"고층건물 건설 중단 여파" ▲ 기아자동차 = 슈퍼볼 광고 촬영현장 포착…셀토스 앞세워 ▲ 대한해운 = 현대중공업에 LNG선 2척 추가 발주 전망 ▲ 롯데칠성음료 = '펩시 필리핀' 지분 추가 확보 나서…독자 브랜드 출시 포석 ▲ 유니슨캐피탈 = 獨 법원 "메디트, 유럽기업 기술특허 침해“ ▲ 현대자동차 = 2020년 유럽에 i시리즈 2개 모델 등 신차 5종 출격 ▲ 현대자동차 = 지난해 멕시코서 4만5000대 판매…8.8%하락 ▲ 현대자동차 = 러시아법인 모스크바 랜드마크에 새 둥지 마련 ▲ 현대자동차 = 美 언론, 제네시스 G80 등장 관심 ▲ 한화큐셀 = 독일 태양광 프로젝트 수주 ▲ 효성중공업 = 조현준, 미국 이어 카자흐 진출…초고압변압기 합작공장 설립 추진
※제목을 클릭하시면 해당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 LG화학 = "오프로드 최강자 허머 부활 이끈다"…LG 美 합작공장 방향타 드러나 ▲ 기아자동차 = '모닝', 콜롬비아서 '국민카' 등극…지난해 1만766대 판매 '1위’ ▲ 삼성SDI = 베바스토 中 배터리 센터 준공…삼성SDI 추가 수주하나? ▲ 삼성엔지니어링 = 멕시코 정유공장 '6900억' 中 은행 조달…사업 가속도 ▲ 애플 = 펜슬, '더블 탭' 너머 '트리플 탭' 시대여나 ▲ 웨스트랜드 = 외신 "韓 해군 'AW159 와일드캣' 운항 재개" ▲ 한화자산운용 = '한화 차남' 김동원 블록체인 도입 '총력'…싱가포르 아이스탁스 투자 ▲ 현대글로비스 = 전도 선박 ‘골든 레이’ 잔해 제거 돌입 ▲ 현대자동차 = i30 페이스리프트 모델, 주행 모습 포착…8세대 골프 '대항마' ▲ 현대자동차 = '캡틴아메리카' 크리스 에반스 출연, 슈퍼볼 광고 '온에어' ▲ 현대자동차그룹 = 정의선, 플라잉카 2호 인재 영입...파멜라 콘, UAM부사장으로 선임
※제목을 클릭하시면 해당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 농심 = "치킨+라면 조합" 신라면, 호주 치킨 체인과 콜라보레이션 ▲ 미·이란 충돌 = 이란 국적탱커, 호르무즈 해협 통항…'봉쇄 가능성 無' 시사 ▲ 삼성바이오에피스 = "엔브렐 바이오시밀러 'SB4' 효능 탁월"…폴란드 연구진 발표 ▲ 삼성전자 = 독일 웨어러블 기업과 맞손…"B2B시장 경쟁력 강화“ ▲ 삼성전자 = "삼성·샤오미폰 안 판다"…인도 소매협회 경고 ▲ 삼성전자 = "삼성 냉장고 수명 짧아" 유럽 소비자 '혹평’ ▲ 삼성전자 = "초고해상도 카메라" 갤럭시 S20+ 실물 노출 ▲ 삼성중공업 = 러시아 "삼성중공업과 협력 확대 기대"…북극항로사업 수주 기대감↑ ▲ 쌍용자동차 = 추가자구안 동의율 94% 돌파…금융권 지원 '마중물' 되나 ▲ 롯데·신세계면세점 = 격차 줄이기 '안간힘' ▲ 세계이동통신사업자연합회="5G 통신인구 올해 1억7000만명…5년내 17억명 돌파“ ▲ 현대로템 = '유럽 전차 개발사업 제외' 폴란드 러브콜 ▲ 현대자동차 = 제네시스 G90, 美 가격 테슬라 모델S '비슷'…최고 9149만원 책정 ▲ 현대자동차 = 토요타와 손잡고 노르웨이 수소 충전소 확장…하이니온 등
세상에 존재하지만 드러나지 않은 기업들이 있다. 상장사 못지 않은 막대한 수익을 거두나 주식 시장에 상장되지 않아 알려지지 않은 '비상장사들'이 그들이다. 최근 문재인 정부가 '일감 몰아주기'를 재벌 개혁의 핵심 과제로 다루며 비상장사들이 주목받고 있다. 시장의 견제가 없어 내부거래를 통해 총수 일가의 곳간을 채우는데 활용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이에 따라 매일뉴스는 총 6회에 거쳐 비상장사 계열사를 내세운 내부거래로 한해 수십조원을 벌어들인 재벌 이상한(?) 행보를 짚어본다. -편집자주- SK그룹은 정유·화학과 서비스업 비상장사가 47개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골프장 운영업을 하는 SK핀크스는 지난 3년간 내부거래율이 32%포인트 이상 증가하는 등 정유·화학, 서비스업 비상장사가 전체 내부거래 증가를 주도했다. ◇절반 이상이 정유화학·서비스업 12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SK그룹은 작년 기준 비상장사 93개를 보유해 4대 그룹 중 가장 많았다. 10년 전인 2008년에도 SK는 비상장사 수 기준으론 '1등'이었다. SK 비상장사는 69개로 삼성전자(45개), 현대자동차(29개), LG(39개)보다 많았다. 무엇보다 석유화학과 서비스업에 집중 분포돼
[더구루=김병용 기자] ※제목을 클릭하시면 해당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7일(화) ▲ LG생활건강 = 뷰티브랜드 '빌리프' 美 시장 공략 강화…'얼타(Ulta)' 판매망 확보 ▲ 기아자동차 = 인도서 셀토스 판매 '수직하락'…무슨일? ▲ 더클래스효성 = 베트남 '벤츠 딜러사' 하사코 인수 장기화 조짐 ▲ 대우조선해양 = '기술이전' 인도네시아 잠수함, 시험운항 나서 ▲ 롯데호텔 = "라운지·연회장서 바퀴벌레"…롯데호텔괌 '오명' ▲ 르노닛산 = "곤 회장 '세기의 탈출극', 터키 전세기 사업 악영향" ▲ 아시아나항공 = "2020년 좀비 항공사의 해"…아시아나 등 4곳 거론 ▲ 이노션 = 美 광고 베테랑 영입…'제2도약' 준비 ▲ 한국타이어 = 이수일 사장, 美법인 수장 겸직…'조현범 경영공백 최소화' ▲ 현대자동차·서연이화 = 中 이어 터키공장 생산중단…협력사도 셧다운 ▲ 현대차·SK·LG = 中장쑤성 외투기업 초청 투자 포럼 참석 ◆8일(수) ▲ CJ CGV = 아이맥스(IMAX)출신 CJ 4D플렉스 미국 CEO로 영입 ▲ LG디스플레이 = OLED 패널·2499달러…세계 최초 폴더블PC 베일 벗어 ▲ LG전자 = '롤러블 TV' 美서 2분기 출시
[더구루=김병용 기자] ※제목을 클릭하시면 해당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 LG전자 = 독일 이어 영국 e스포츠팀 후원…"게이밍 모니터 홍보“ ▲ 기아자동차 = 유럽 마케팅 책임자로 카를로스 라호즈 선임 ▲ 기아자동차 = 중동·아프리카 지역 홍보대행사 오길비 선정 ▲ 농심 = 캐나다 타키니 온천 이색 콘테스트 스폰서로 나서 ▲ 대우조선해양 = 새해부터 '9000억짜리' 수주 잭팟 터트렸다 ▲ 바디프랜드 = 외신 "안마의자 '엄지척'"…CES서 체험하고 SNS에 업로드 ▲ 반얀트리 = "한국 면세점 잡아라" 보습 기능 강화한 컬렉션 면세점 채널 강화 ▲ 삼성SDS = '블록체인 활용' 모바일 결제 플랫폼 구축…美 시니버스 '맞손' ▲ 진에어 = '인천~홍콩' 노선 여름까지 운휴연장 검토…"홍콩 시위 장기화 탓" ▲ 테슬라 = '리튬이온배터리 구루' 제프 단 교수, 연구 이끄나? ▲ 포스코 = '인도 RIN 합작사 설립' 노조 이어 정치권도 반대…'오디샤 악몽' 부활 조짐 ▲ 한화투자증권 = 태국 블록체인 프로젝트 배팅 ▲ 현대글로비스 = 현대중공업에 대형 유조선 1 척 발주…'현대오일뱅크 계약 투입' ▲ 현대자동차 = 베트남 '폭발적 성장'…지난해 판매 2
※제목을 클릭하시면 해당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 SK·LG·포스코 = 장하성 주중대사 "'양쯔강 삼각주 개발 거점' 장쑤성, 韓 기업 지원" ▲ 롯데마트 = 베트남 고객서비스 강화… MSB 카드 선보여 ▲ 메르세데스-벤츠 = '판 커지는 인도 전기차 시장'…EQ 출격 ▲ 삼성전자 = 준법감시위 "총수 예외없어"…성역 허문다 ▲ 아모레퍼시픽 = 美 밀크 메이크업, 로레알 출신 CEO 영입 ▲ 아모레퍼시픽 = 에스쁘아, 中 최대 온라인 쇼핑몰 입점…서민정 경영승계 탄력 ▲ 에어부산 = 인천·부산서 日 가고시마 전세기 띄운다 ▲ 포스코·현대제철·세아철강·휴스틸 = 韓 철강제품 관세 인하하자 美 업계 '발끈' ▲ 한국동서발전 = 인도네시아법인에 16억원 출자…"운영비 목적 ▲ 한국수력원자력 = "원전 수주 도전" 체코서 디지털 캠페인 '주목' ▲ 한화디펜스 = '5조짜리' 호주 장갑차 사업 최종 시험대 오른다…로드쇼 참가 ▲ 현대·기아자동차 = 美에 이어 캐나다도 질주…해외차 브랜드 3위 ▲ 현대자동차 = 코나EV, 中서 '전기차 선도 SUV'로 선정 ▲ 현대자동차 = 현대차-토요타 총수 연봉 비교해보니…정몽구 회장 '승' ▲ 호텔신라 = '기내 면세점 1위
※제목을 클릭하시면 해당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 CJ CGV = 자회사 4D플렉스, 베라 플랫폼 제작사와 손잡고 'AR게임' 만든다 ▲LG전자 = 빌트인 영토 확…中 부동산 기업 협업 ▲ LG전자 = 코닝과 차량용 커브드 디스플레이 개발 협력 ▲ LS = '중국 IT 공룡' 텐센트 회동…자율주행기술 '담금질' ▲ NC소프트 = 배틀그라운드 모바일, 세계 1위 매출 달성 …리니지 2M 10위 ▲ 기아자동차 = 인도 판매실장 교체…박태진 아중아권역실장 선임 ▲ 롯데호텔 = '신동비 원롯데'…롯데시티호텔 도쿄, 시너지 눈길 ▲ 미래에셋자산운용 = 美 자회사 글로벌X, 자산관리 베테랑 영입…"리더십 확대“ ▲ 삼성전자 = 연초부터 헬스케어 드라이브…아이리스비전 협업 강화 ▲ 코레일 = 서울 신이문역과 부산 동래역 유휴자산 매각 추진 ▲ 텐센트 = '액션명가' 플래티넘게임즈 투자…"경영권 보장“ ▲ 포스코 = 터키 생산공장서 장기근속자 표창 ▲ 한국가스공사 = 로잠비크 로부마 사업 척척…합작사 이사회 의장 선임 ▲ 현대자동차 = 2세대 크레타 3월 중순 인도 출…中도 채비
[더구루=오소영 기자] 캐나다 인공지능(AI) 스타트업 텐스토렌트(Tenstorrent)가 미국 반도체 설계자산(IP) 업체 '블루 치타 아날로그 디자인(Blue Cheetah Analog Design, 이하 블루 치타)'를 품는다. 고성능 인공지능(AI) 반도체 요구에 대응할 대안으로 각광받는 '칩렛 기술'을 선제적으로 확보한다. [유료기사코드] 텐스토렌트는 1일(현지시간) 블루 치타를 인수했다고 밝혔다. 인수 금액은 공개되지 않았다. 블루 치타는 아날로그·혼성신호 설계 전문가인 엘라드 알론(Elad Alon) 박사가 2019년 설립한 회사다. 다이간 직접 연결을 통해 데이터 전송 속도를 높이는 '다이-투-다이(D2D)'와 시스템온칩(SoC) 내부 저속 병렬 데이터를 직렬화해 초고속으로 전송하는 '서데스(SerDes)' 등 칩렛 구현을 위한 핵심 IP를 보유하고 있다. 칩렛은 연산과 저장, 통신 등 기능별로 칩을 쪼갠 후 원하는 용도대로 재조립하는 방식이다. 고객사 요구에 따라 주문 제작이 가능하고, 수율 향상에도 용이하다. 이러한 장점 덕분에 회사별 맞춤형 설계를 필요로 하는 AI 반도체 시대에 주목받고 있다. 블루 치타는 칩렛 기술을 바탕으로 LG전자와
[더구루=홍성일 기자] 6월 마지막 주(23일~29일) 테슬라의 중국시장 주간 판매량이 2만 대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모델Y 주니퍼의 선전으로 테슬라의 중국 판매량이 회복세를 보이고 있지만, 경쟁 모델 출시가 이어지면서 단기 성장에 그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2일 업계에 따르면 6월 마지막 주 테슬라 중국법인의 보험 등록은 총 2만680건을 기록했다. 이는 전주(1만3900건) 대비 49.3%, 전년동기 대비 46.7% 증가한 수치다. 또한 올해 2분기 주간 기록 최고치이기도 하다. 올해 2분기 테슬라 중국 판매량은 '상저하고'의 모습을 보였다. 실제로 10주차까지는 지난해 2분기보다 안좋은 성적을 거뒀다. 2분기 6주차의 경우 지난해 1만대 안팎으로 등록됐지만 올해는 3100대가 등록되는데 그쳤다. 테슬라 판매 약세는 모델Y 주니퍼 판매가 급증한 11주차에 들어서며 반전되기 시작했다. 이 기간 테슬라 중국법인은 전년동기 대비 32.5% 증가한 1만5500건의 보험 등록을 진행했다. 이에 테슬라의 2분기 중국시장 판매량은 전년동기 대비 10.9% 감소하는데 그칠 것으로 전망됐다. 테슬라 중국 판매 회복세는 모델Y 주니퍼가 주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