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진유진 기자] 미국 액화천연가스(LNG) 생산업체 '벤처 글로벌 LNG'가 개발 중인 '루이지애나 칼카시우패스 2(CP2) LNG 프로젝트'가 미국 연방에너지규제위원회(FERC)로부터 환경 승인을 받았습니다. 6~12척의 선박을 발주할 계획에 따라 국내 조선 3사가 유력 후보로 거론되고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더구루 홈페이지에서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 더구루 인사이트 영상 보기 ◇ 상세 기사 '韓 단독협상' 美 3조 LNG선 프로젝트 초읽기…FERC, CP2 LNG 승인
[더구루=김은비 기자] 현대자동차가 독일 전기차 시장에서 성장세를 가속화하고 있다. 유럽 전략형 전기차 ‘인스터(국내명 캐스퍼 일렉트릭)’는 출시 초기부터 폭발적인 반응을 얻으며 출시 4개월 만에 올해 목표치의 70%를 조기 달성했다. 29일 현대차 독일법인에 따르면 인스터는 올 들어 4월까지 독일에서 총 2723대가 판매됐다. 이는 연간 판매 계획의 70% 수준으로, 출시 4개월 만에 연간 판매량을 조기 소화하며 흥행 가능성을 입증하고 있다는 평가다. 인스터는 경쟁력 있는 가격과 넓은 공간, 첨단 기술을 앞세워 현지 시장에서 높은 인기를 끌고 있다. 특히 지난달에는 세계 3대 자동차 상으로 꼽히는 '2025 월드카 어워즈'에서 ‘2025 세계 올해의 전기차’로 선정되며 우수한 상품성을 입증했다. 인스터는 49kWh 배터리를 탑재한 인스퍼레이션 모델과 42kWh 배터리를 탑재한 프리미엄 모델 두 가지로 운영된다. 인스퍼레이션 모델은 15인치 휠 및 산업부 인증 기준 315km의 1회 충전 주행가능거리를 확보했으며, 120kW급 충전기 기준 10%에서 80%까지 30분만에 충전이 가능해 여유로운 도심 주행이 가능하다. 이같은 성과에 지난 1~4월 현대차 독일법
[더구루=정등용 기자] 대표적인 테슬라 강세론자로 알려진 게리 블랙 애널리스트가 테슬라 주식을 전량 팔았다. 앞으로 예상된 실적 부진 등을 이유로 들었다. 게리 블랙은 28일(현지시간) "자신이 운영하고 있는 ‘더 퓨처 펀드(The Future Fund)’가 보유한 테슬라 주식 전량을 주당 358달러에 매각했다"고 밝혔다. 블랙은 테슬라의 목표 주가를 310달러로 제시하며 “2030년 예상 판매량 540만 대와 예상 주당순이익 12달러를 기준으로 이 같은 가격을 유지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블랙은 이번 주식 매각에 대해 몇 가지 이유를 언급했다. 첫 번째로 실적 부진을 꼽았다. 블랙은 “테슬라의 분기별 배송량은 12%, 연간 배송량은 10% 감소할 것으로 예상한다”며 “올해 2분기 7% 감소를 예측한 월가 전망치보다도 안 좋은 수치”라고 말했다. 다음달 12일 출시되는 로보택시 서비스에 대해서도 부정적 전망을 내놓았다. 블랙은 “로보택시 서비스와 관련된 위험과 보상은 여전히 의문스러운 부분이 많다”고 지적했다. 또 오는 6월로 예고한 보급형 모델 생산에 대해서도 비판의 목소리를 냈다. 보급형 모델의 경우 기존 모델Y에서 일부 기능을 뺀 형태로 생산될 가능성이
[더구루=김명은 기자] 상반기 코스닥 상장을 추진 중인 액체생검 및 임상 유전체 전문기업 GC지놈이 주요 파트너사인 GC림포텍을 통해 3조 규모의 일본 조기암 진단 시장 선점에 나섰다. 앞으로 일본 현지에서 파트너사를 추가로 확보해 글로벌 조기암 진단 시장 공략에도 속도를 낼 계획이다. 29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GC지놈은 다중암 조기선별 검사 '아이캔서치' 제품을 앞세워 글로벌 액체생검 암진단기술 기업으로서 입지를 다지고 있다. 아이캔서치는 단 한 번의 혈액 채취로 폐암, 간암, 대장암, 췌장담도암, 식도암, 난소암 등 주요 6대 고위험 암종을 스크리닝할 수 있는 검사다. 국내에서 가장 많은 약 7000명 이상의 임상 검체 데이터를 확보했으며, 민감도 82.2%, 특이도 96.2%의 성능을 나타내고 있다. GC지놈은 지난 2023년 9월 국내 주요 대학병원, 건강검진 전문기관과 정식계약을 맺고 검사 서비스를 시작한 뒤, 해외 7개국에 이어 최근 일본시장까지 성공적으로 진출했다. 일본은 전 세계에서 네 번째로 암 발생률이 높은 국가로, 고령 인구 비중이 전체 인구 비중의 절반을 차지하고 있다. 뱅크오브아메리카(BoA)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일본의 조기 암 스
[더구루=이연춘 기자] 키움히어로즈는 블록체인 플랫폼 메티스와 2025시즌 파트너십 계약을 체결했다. 이번 시즌 선수단 헬멧 좌측에 메티스 로고를 부착하고, 홈플레이트 후면 LED에 광고를 노출할 계획이다. 29일 키움히어로즈에 따르면 이번 파트너십은 프로스포츠팀과 블록체인 마케팅을 접목시킨 국내 첫 사례다. 메티스 재단의 한국 마케팅을 맡고 있는 에스앤파트너스 김산 대표는 "키움과의 파트너십은 아직은 낯설은 블록체인 기술을 일상생활에 자연스럽게 전달하고자 하는 노력의 일환"이라며 "프로야구와 블록체인이 만나는 국내 첫 케이스인 만큼 팬들과의 접점을 통해 Web3 기술의 가능성과 가치를 전달하고자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키움히어로즈 관계자도 "혁신적인 블록체인 기업인 메티스와의 협업을 통해 팬들에게 새로운 경험을 제공할 수 있게돼 기쁘다"며 "앞으로도 다양한 공동 마케팅 활동을 통해 시너지를 창출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메티스는 이더리움의 확장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설계된 '레이어2' 솔루션으로 '옵티미스틱 롤업' 기술을 기반으로 한다. 이를 통해 거래 속도를 높이고 수수료를 낮추며, 탈중앙화된 애플리케이션의 개발과 운영을 지원한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배터리 스타트업 '앰프리우스 테크놀로지스(Amprius Technologies, 이하 앰프리우스)'가 한국 배터리 제조사와 손잡았다. 한국 시설에서 앰프리우스의 실리콘 음극재 기술을 접목해 배터리를 생산한다. 외부 파트너십을 활용해 비용 절감과 생산능력 확장의 이점을 모두 취하고 차세대 실리콘 음극재를 상용화한다. [유료기사코드] 29일 앰프리우스에 따르면 이 회사는 한국 배터리 회사와 실리콘 음극재 기반 배터리 생산을 위한 제조 협약(Contract Manufacturing Agreement)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에 따라 한국 제조사의 공장에서 SiCore® 배터리셀을 생산한다. 초기 드론용 배터리로 활용하고 향후 항공우주와 방위, 전기차 등 다양한 분야에 최적화된 배터리를 양산할 계획이다. 다양한 형태의 리튬이온 배터리 생산 경험이 있는 파트너사와 협력하며 글로벌 배터리 생산능력을 확대한다. 앰프리우스는 작년 6월 여러 건의 제조 파트너십을 체결해 배터리 생산능력을 500MWh 이상으로 늘렸다고 밝혔었다. 현재까지 1.8GWh 규모의 생산능력을 확보했다. 추가 파트너십을 통해 아시아에 제조 거점을 보유, 대륙별 생산체계를 구
[더구루=진유진 기자] 세계 최대 종합 화학 기업인 독일 '바스프(BASF)'가 캐나다 퀘벡주에 계획했던 이차전지 소재 공장 투자를 철회했다. [유료기사코드] 다니엘라 레첸버거 바스프 대변인은 28일(현지시간) "비용 절감 계획과 지속적인 시장 불확실성으로 인해 퀘백주 공장 투자를 중단하게 됐다"고 밝혔다. 다만 그는 "시장과 고객이 현지 생산 능력을 필요로 할 경우, 언제든 북미 투자에 나설 준비가 돼 있다"고 덧붙였다. 바스프는 지난 2022년 퀘벡주 베캉쿠르에 배터리 소재 공장을 세우기 위해 부지를 확보하고 올해 가동을 목표로 사업을 추진해왔다. 이 공장은 배터리 핵심 부품인 음극 활성 물질을 생산하고, 지역 내 전기차 생태계와 연계된 재활용 체계를 구축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배터리 시장 성장세가 둔화되면서 프로젝트는 지지부진해졌다. 바스프는 지난해 하반기부터 배터리 부문 지출을 점진적으로 축소했고, 이 프로젝트의 자동차 파트너사 확보에도 실패한 것으로 알려졌다. 피에르 피츠기번 퀘벡주 경제부 장관은 지난 2023년 "오랫동안 바스프로부터 진전된 소식을 듣지 못했다"며 "건설 현장에도 별다른 움직임이 없어 프로젝트가 사실상 멈춰 있는 상태"라고 언급한
[더구루=정예린 기자]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독일 현지 생산기지 설립 계획을 공식화했다. 현지화를 통해 독일 최대 방산업체 '라인메탈(Rheinmetall)'을 추격하는 동시에 유럽을 포함한 글로벌 방산 시장에서 주도권을 강화하겠다는 포석이다. 29일 한화에어로스페이스에 따르면 회사는 지난 27일(현지시간) 베를린에서 처음으로 '한화 인더스트리 데이(Hanwha Industry Day)'를 개최해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이 자리에는 독일 연방·주 정부와 방산 기업, 주독 한국대사관, 방위사업청 산하 국방기술품질원(DTaQ) 관계자 등 100여 명 이상이 참석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독일 동부 지역을 생산시설 후보지로 지목하고, 현지화를 통해 고급 일자리 창출과 지역 경제 활성화, 독일 방위산업 역량 강화에 기여하겠다는 구상을 밝혔다. 초기에는 정밀유도무기와 탄약 등 지상 무기 중심으로 진출하고, 이후 항공우주 기술, ISR(정보감시정찰) 시스템, 해양 방산 등으로 협력 범위를 확대할 계획이다. 동부 지역은 행정구역상 브란덴부르크, 작센, 작센안할트, 튀링겐,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 베를린 등 6개 주로 구성된다. 이 지역은 제조업 기반이 탄탄하고 인건비·부동
[더구루=홍성일 기자] 아마존 창립자 제프 베이조스가 투자한 스위스 로봇기업 RIVR이 미국 라스트 마일 배송 서비스 시장에 진출했다. RIVR은 시범 운영을 거쳐 서비스 범위를 순차적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유료기사코드] 29일 업계에 따르면 RIVR은 27일(현지시간) 미국 물류기업 베호(Veho)와 텍사스 주 오스틴에서 로봇을 이용한 라스트마일 배송 서비스를 시작했다. RIVR은 이번 서비스를 시작으로 택배차량에서 현관문까지 100야드(약 90m) 이내 물류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각오를 전했다. RIVR에 따르면 해당 서비스는 배송기사와 로봇이 택배차량에서 고객 집 앞까지의 배송을 나눠서 처리하는 형태다. 로봇은 고객이 원하는 위치에 제품을 배송한 이후 사진을 촬영하고 이를 전송하는 업무까지 수행한다. 배송 서비스에는 4개의 바퀴가 달린 바퀴형 다리 로봇(wheeled-legged robot)이 투입된다. 해당 로봇은 기본적으로 로봇 개의 형태를 가지고 있지만 발 부분에는 바퀴가 장착됐다. 이에 평지에서는 바퀴를 굴려 기동할 수 있으며, 계단이 나타났을 경우에는 바퀴를 고정한 후 걸어올라갈 수도 있다. 이외에도 몸통 부분에는 물건을 담을 수 있는 상자가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민간 우주기업 로켓랩(Rocket Lab)이 전자광학 탑재체 제조업체 지오스트(Geost)를 인수했다. [유료기사코드] 로켓랩은 지오스트를 2억7500만 달러(약 3800억원)에 인수하는 최종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올해 하반기 인수를 완료할 예정이다. 지오스트는 전자광학 탑재체 제조업체다. 현재 많은 국가 안보 사업에 참여하고 있다. 전자광학 탑재체는 사람의 눈이 볼 수 있는 가시광선 대역을 촬영하는 카메라다. 핵심 부품인 반사경은 카메라의 렌즈와 같은 역할을 수행한다. 반사경 표면을 제작하는 과정은 머리카락을 5만분의 1 굵기로 자르는 수준의 정밀도가 요구된다. 이에 미국, 프랑스 등 극소수 국가만이 최첨단 인공위성 전자광학 카메라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피터 벡 로켓랩 설립자 겸 최고경영자(CEO)는 "지오스트 인수를 통해 첨단 전자광학 탐재체 개발 기술을 확보하게 됐다"면서 "미국 국가 안보 혁신 기업으로 자리매김할 것"이라고 전했다. 지난 2006년 창업한 로켓랩은 2017년부터 상업 발사를 해온 소형 우주 발사체 업계 강자다. 본사는 미국에, 발사대는 뉴질랜드에 있다. 2018년 이후 200여개 위성을 궤도에 배치했
[더구루=오소영 기자] 삼성물산 상사부문이 5000만 달러(약 700억원) 상당 튀니지 토지정보시스템 구축 사업을 수주했다. 컨소시엄 형태로 참여해 핵심 인프라인 데이터센터 건설을 총괄한다. 아프리카 전자 정부 시스템을 완성했던 경험을 바탕으로 디지털 사업 확장에 나섰다. 29일 튀니지 지형지적청(OTC)과 챌린지스 등 외신에 따르면 이 기관은 지난 26일(현지시간) 삼성물산 컨소시엄과 토지정보시스템 구축 사업 계약을 체결했다. 이날 체결식에는 살라흐 조와리(Salah Zouari) 튀니지 건설주택부 장관이 참여했으며 민지환 삼성물산 상사부문 프로와 아하마드 알 카멜(Ahmed El Kamel) OTC 청장이 서명했다. 계약 규모는 5000만 달러, 기간은 계약 발효 후 3년이다. 삼성물산 상사부문은 국내 기업 2곳과 컨소시엄을 꾸려 튀니지에서 데이터센터 개발을 추진한다. 데이터센터는 지적도를 비롯해 각종 부동산 데이터를 안전하게 저장·통합 관리하는 핵심 인프라로, 토지정보시스템 구축의 기반이 된다. 삼성물산 컨소시엄은 데이터센터 구축에 협력할 현지 업체를 발굴하고 건설 전반을 감독한다. 삼성물산은 1992년 국내 기업 최초로 남아프리카공화국에 단독 전시회를
[더구루=김명은 기자] CJ ENM이 tvN 드라마를 내세워 아시아 콘텐츠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한다. CJ ENM은 태국과 필리핀에서 드라마 '해피니스', '마우스', '사이코지만 괜찮아' 등의 판권 계약을 맺었다. K-드라마의 위력을 과시하며 스토리 중심 지식재산(IP)의 글로벌 확장에 더욱 힘을 실을 전망이다. 29일 트루 CJ 크리에이션스(True CJ Creations)에 따르면 오는 30일 tvN 드라마 '해피니스'가 태국 TrueID에서 방영된다. '마우스'는 오는 8월 리메이크될 예정이다. 트루 CJ 크리에이션스는 2021년 CJ ENM이 태국 최대 종합 미디어기업 트루비전스(True Visions)와 함께 설립한 합작회사다. 태국 TrueID는 K-콘텐츠의 차별화된 콘셉트를 높이 평가해 판권 계약을 체결했다는 후문이다. 현지 시청자들에게 K-드라마의 감동과 재미를 알리는 동시에 그 위상을 높이는 효과를 거둘 것으로 기대했다. 한효주, 박형식이 주연을 맡은 '해피니스'는 가까운 미래를 배경으로 계층사회의 축소판인 아파트에 고립된 이들의 생존기를 그린 스릴러다. '마우스'는 자타공인 바른 청년이자 동네 순경인 정바름(이승기)과 어린 시절 살인마에
[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배터리 스타트업 '앰프리우스 테크놀로지스(Amprius Technologies, 이하 앰프리우스)'가 한국 배터리 제조사와 손잡았다. 한국 시설에서 앰프리우스의 실리콘 음극재 기술을 접목해 배터리를 생산한다. 외부 파트너십을 활용해 비용 절감과 생산능력 확장의 이점을 모두 취하고 차세대 실리콘 음극재를 상용화한다. [유료기사코드] 29일 앰프리우스에 따르면 이 회사는 한국 배터리 회사와 실리콘 음극재 기반 배터리 생산을 위한 제조 협약(Contract Manufacturing Agreement)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에 따라 한국 제조사의 공장에서 SiCore® 배터리셀을 생산한다. 초기 드론용 배터리로 활용하고 향후 항공우주와 방위, 전기차 등 다양한 분야에 최적화된 배터리를 양산할 계획이다. 다양한 형태의 리튬이온 배터리 생산 경험이 있는 파트너사와 협력하며 글로벌 배터리 생산능력을 확대한다. 앰프리우스는 작년 6월 여러 건의 제조 파트너십을 체결해 배터리 생산능력을 500MWh 이상으로 늘렸다고 밝혔었다. 현재까지 1.8GWh 규모의 생산능력을 확보했다. 추가 파트너십을 통해 아시아에 제조 거점을 보유, 대륙별 생산체계를 구
[더구루=진유진 기자] 세계 최대 종합 화학 기업인 독일 '바스프(BASF)'가 캐나다 퀘벡주에 계획했던 이차전지 소재 공장 투자를 철회했다. [유료기사코드] 다니엘라 레첸버거 바스프 대변인은 28일(현지시간) "비용 절감 계획과 지속적인 시장 불확실성으로 인해 퀘백주 공장 투자를 중단하게 됐다"고 밝혔다. 다만 그는 "시장과 고객이 현지 생산 능력을 필요로 할 경우, 언제든 북미 투자에 나설 준비가 돼 있다"고 덧붙였다. 바스프는 지난 2022년 퀘벡주 베캉쿠르에 배터리 소재 공장을 세우기 위해 부지를 확보하고 올해 가동을 목표로 사업을 추진해왔다. 이 공장은 배터리 핵심 부품인 음극 활성 물질을 생산하고, 지역 내 전기차 생태계와 연계된 재활용 체계를 구축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배터리 시장 성장세가 둔화되면서 프로젝트는 지지부진해졌다. 바스프는 지난해 하반기부터 배터리 부문 지출을 점진적으로 축소했고, 이 프로젝트의 자동차 파트너사 확보에도 실패한 것으로 알려졌다. 피에르 피츠기번 퀘벡주 경제부 장관은 지난 2023년 "오랫동안 바스프로부터 진전된 소식을 듣지 못했다"며 "건설 현장에도 별다른 움직임이 없어 프로젝트가 사실상 멈춰 있는 상태"라고 언급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