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정등용 기자] 엔비디아가 한국 패싱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휴머노이드 분야에 이어 AI 헬스케어에서도 한국이 제외되면서다.
[더구루=정등용 기자] SK에코플랜트 반도체 리사이클링 전문 자회사 SK테스가 글로벌 완성차 기업 BMW그룹과 폐배터리 재활용 동맹을 구축했다. SK에코플랜트의 IPO(기업공개)에도 청신호가 들어왔다는 분석이 나온다. 14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SK테스는 BMW그룹과 폐배터리 재활용 관련 장기…
[더구루=정등용 기자] 롯데가 약 1조원을 투자한 베트남 투티엠 에코스마트시티 프로젝트가 공식 재개에 들어갔다. 이 프로젝트는 그동안 베트남 내부 정세의 영향으로 공사가 중단된 상황이었지만 인허가 문제 등이 해결되면서 사업 추진에 속도를 낼 수 있게 됐다. 13일 베트남 호치민시 인민위원회에 따…
[더구루=김형수 기자] 코스맥스가 인도네시아에 화장품 공동 연구소를 구축한다. 인도네시아 국립연구혁신청(Badan Riset dan Inovasi Nasional·이하 BRIN)과 손잡고 현지 천연 식물 기반 마이크로바이옴 뷰티 기술 개발을 통해 화장품 혁신을 선도한다는 계획이다. BRIN은 지난 8일…
[더구루=윤진웅 기자]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취임식을 기점으로 수차례 만날 것으로 관측된다. 현대차그룹은 성 김 대외협력 담당(사장)을 주축으로 정 회장과 트럼프 당선인과 취임식 전후 비공식 면담 성사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비공개 면담이 성사될 경우 정 회장…
[더구루=정등용 기자] 유전체분석 전문기업 마크로젠이 미국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낸다. 일본과 유럽 시장 내 성장을 발판 삼아 미국 시장 공략을 위한 새로운 파트너십 모색에도 심혈을 기울인다는 계획이다. 서정선 마크로젠 회장은 11일(현지시간) 싱가포르 경제매체 더월드폴리오와 인터뷰에서 글로벌…
[더구루=윤진웅 기자] 기아가 중국 양대 전자상거래 플랫폼 '징동닷컴'(京东)과 알리바바 '티몰'과 손 잡고 자동차 애프터 서비스 강화에 나선다. 양사 디지털 체인 관리 시스템을 기반으로 자동차 정비 등에서 추적 관리 서비스를 제공한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기아 중국 합작사 기아기차유한공사(起亚汽车…
[더구루=김형수 기자] 이마트가 미국 자회사 뉴시즌스마켓(New Seasons Market) 수장을 전격 경질하고 리더십을 교체했다. 북미 사업 확대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는 정용진 신세계그룹 회장 의지가 담긴 것으로 분석된다. 정 회장은 지난달에 이어 오는 20일 트럼프 대통령 취임식 참석 등으로 미…
[더구루 라스베이거스(미국)·서울=김병용 기자·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그룹이 엔비디아와 손 잡고 미래 모빌리티 인공지능(AI) 솔루션 개발에 나선다. 미래 모빌리티 솔루션 전반에 AI를 접목하기 위한 혁신을 추진하기 위해 컴퓨팅, 생성형 AI, 산업 디지털화 기술 도입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업한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LG에너지솔루션이 미국 자동차 스타트업 '앱테라 모터스(Aptera Motors, 이하 앱테라)에 태양광 전기차용 배터리 공급을 추진한다. 국내 이차전지 기업 CTNS와 협력해 약 7년 동안 4.4GWh 규모의 원통형 배터리를 인도한다. 주력인 파우치에 이어 원통형 배터리 시장에서…
[더구루 라스베이거스(미국)=김병용 기자] LG디스플레이가 소니·혼다 전기차 합작사 ‘소니혼다모빌리티’에 차량용 디스플레이를 공급한다. 최근 급성장하는 전장시장을 공략하기 위한 LG디스플레이의 행보가 본격화할 전망이다. 9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소니혼다모빌리티가 지난 6일(현지시간)…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가 유럽 생산기지인 체코공장의 올해 생산 목표를 역대 최저 수준으로 축소했다. 유럽 전기차 수요 감소가 이어지자 전기차 중심으로 올해 생산량을 10% 가량 줄인다. 인력 감축 등 구조조정도 병행한다. 8일 현대자동차 체코 노쇼비체 공장(HMMC)에 따르면 올해 생산 목…
[더구루=홍성일 기자] 일본 전자기업 맥셀(Maxell)이 극한 환경에서도 충방전이 가능한 전고체 배터리를 개발했다. 맥셀은 이번 달부터 샘플을 출하하며 상용화에 속도를 낸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중국발 이커머스(C-commerce) 공세가 거세지고 있다. 알리익스프레스(AliExpress), 테무(Temu)에 이어 패스트 패션 플랫폼 '쉬인(Shein)'이 한국 시장에서 폭발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것. 쉬인은 올해 애플리케이션(앱) 다운로드와 웹 트래픽이 동시에 급증하며, 한국 시장에서 영향력을 빠르게 확대하는데 성공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