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 라스베이거스(미국)=오소영 기자]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성과를 보여주겠다." 이석우 LG전자 북미이노베이션센터(LG NOVA) 부사장은 9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세계 최대 가전·IT 전시회 'CES 2024'에서 스타트업과의 협력과 성장 가능성에 대해 자신감을 표명했다. 그…
[더구루 라스베이거스(미국)=오소영 기자] 삼성전자가 하만 인수 후 처음으로 함께 부스를 꾸렸다. 삼성의 칩을 탑재한 '레디 업그레이드 어드밴스드', 삼성 네오(Neo) QLED 디스플레이를 활용한 '레디 비전 큐뷰' 등 삼성과 하만의 시너지를 엿볼 수 있는 제품이 대거 전시됐다. 삼성전자와 하만은 9~1…
[더구루 라스베이거스(미국)=오소영 기자] '가전 명가'는 늘 LG전자를 따라다니던 수식어였다. 하지만 세계 최대 가전·IT 전시회 'CES 2024'에 꾸려진 부스에서 가전은 눈에 띄지 않았다. 무선 투명 올레드 TV와 차세대 모빌리티 콘셉트카 '알파블', 인공지능(AI) 집사 '스마트홈 AI 에이전트'가 그 자리…
[더구루 라스베이거스(미국)=오소영 기자] 규모만 커진 게 아니었다. 지난해 '초연결'로 부스 전체를 채운 삼성전자가 올해는 인공지능(AI)을 접목한 신제품을 전면 배치했다. 8일(현지시간) 방문한 미국 라스베이거스 컨벤션 센터(Las Vegas Convention Center) 내 삼성전자 전시장 입구…
[더구루 라스베이거스(미국)=오소영 기자] 현대자동차는 수소차, 기아는 목적 기반 차량(PBV)을 미래 먹거리로 낙점했다. 현대차는 수소 생산부터 활용까지 전 주기에서 개발을 진행한다. 기아는 2025년 첫 중형 PBV인 PV5를 출시하고 대형과 소형으로 라인업을 확장한다. ◇현대차, '수소·소프트웨어…
[더구루 라스베이거스(미국)=오소영 기자] "AI를 활용해 연결된 현실을 더욱 지능적인 초연결 세상으로 변화시키겠다." 한종희 삼성전자 부회장은 8일(현지시간) 삼성의 인공지능(AI)를 통한 '초연결' 경험 확대의 비전을 밝혔다. 세계 최대 가전·IT 전시회 'CES 2024' 개막을 하루 앞둔 이날, 삼성은 미국…
[더구루 라스베이거스(미국)=오소영 기자] 곽노정 SK하이닉스 사장이 3년내 시가총액을 200조원으로 끌어올리겠다고 선언했다. 반도체 업황 둔화로 앞서 언급한 2025년보다 데드라인이 1년 연기됐지만 지속적인 성장세에 대한 자신감을 변함이 없었다. 이를 달성하고자 SK하이닉스는 폭발적으로 성…
[더구루 라스베이거스(미국)=오소영 기자] 올라타는 순간 나만의 공간이 펼쳐진다. 자동차가 나만을 위한 레스토랑으로, 영화관으로, 게임방으로, 힐링 센터로, 쇼핑몰로 변하는 세상. LG전자의 미래 모빌리티 솔루션 'LG 알파블(Alpha-able, αble)'과 함께하는 미래다. LG전자는 8일(현지시…
[더구루 라스베이거스(미국)=오소영 기자] LG디스플레이가 현존 최고 밝기를 자랑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패널을 연내 대형 TV용으로 공급한다. 한층 진화된 '메타 테크놀로지(META Technology)'를 적용해 화질의 핵심 요소인 최대 휘도(화면 밝기)를 3000니트(nit, 1니트는 촛불…
[더구루 라스베이거스(미국)=오소영 기자] "인공지능(AI)가 사용자를 더 배려하고 공감해 보다 차별화된 고객 경험을 제공한다는 의미에서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을 '공감지능(Affectionate Intelligence)'으로 재정의했다" 조주완 LG전자 최고경영자(CEO·사장)은 세계 최…
[더구루 라스베이거스(미국)=오소영 기자] 삼성의 양자점발광다이오드(QLED)냐 LG의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냐. 두 패널을 앞세워 화질 경쟁을 벌였던 삼성과 LG가 올해에는 '투명'으로 맞붙었다. 삼성전자는 세계 최초로 마이크로LED를 내놓았다. LG전자는 최초로 무선 투명 올레드 TV를 선…
[더구루 라스베이거스(미국)=오소영 기자] 2021년부터 시작된 최태원 SK그룹 회장의 '넷 제로(탄소 중립) 경영'은 현재진행형이다. SK는 지난해에 이어 올해에도 세계 최대 IT·가전 박람회 'CES 2024'에서 '친환경'을 키워드로 꼽았다. 테마파크 콘셉트의 통합전시관을 통해 배터리와 반도체 등 SK…
[더구루=정예린 기자] 테슬라 전 사장이 테슬라가 전기차 시장을 주도할 수 있었던 핵심 요인으로 일론 머스크 최고경영자(CEO)가 직접 주도한 실물 기반 제품 회의를 꼽았다. 수치를 담은 프레젠테이션 대신 실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직접 만지며 평가하는 방식이 빠른 피드백과 조직 내 긴장감을 동시에 가능하게 했다는 분석이다. [유료기사코드] 2일 미국 IT 전문 매체 '테크크런치'에 따르면 테슬라의 전 글로벌 세일즈·서비스 총괄 사장이자 현재 제너럴모터스(GM) 이사회 멤버인 존 맥닐은 최근 보스턴에서 열린 'TC 올 스테이지' 행사에서 "첫 번째 규칙은 슬라이드를 금지하는 것이었다"며 "우리는 항상 실제 제품을 검토해야 했다"고 밝혔다. 이어 "매주 고위 임원들과 제품 책임자들이 모여 프로토타입이든 하드웨어든 직접 만지고 작동해보며 진척 상황을 점검했다"며 "이런 문화가 조직에 긴장감을 주고 매주 진척과 혁신이 이어지게 했다"고 덧붙였다. 머스크 CEO의 회의 운영 철학은 애플 창업자 고(故) 스티브 잡스의 조언에서 비롯됐다. 맥닐은 "머스크가 잡스를 찾아가 '하드웨어 비즈니스를 시작하려 한다. 한 가지 조언만 해달라'고 하자, 잡스는 '완벽한 제품을 만
[더구루=김은비 기자] 유럽 전기차 충전 인프라 업체 알피트로닉(Alpitronic)이 미국 충전 시장에서도 빠르게 입지를 넓히고 있다. 테슬라에 이어 미국 내 두 번째로 큰 충전 하드웨어 공급업체로 떠오르며 업계 판도를 흔들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2일 충전 분석업체 파렌(Paren)에 따르면 알피트로닉은 지난 상반기(1~6월) 미국 급속 충전소 점유율 12%로 2위를 차지했다. 1위는 테슬라다. 점유율 36%를 기록했다. 3, 4위 차지포인트(ChargePoint)와 BTC파워였다. 점유율은 각각 9%, 8%로 집계됐다. 알피트로닉은 월마트·벤츠·아이오나 등 주요 파트너와 잇따라 계약을 체결하며 빠른 속도로 시장을 확장해온 것이 점유율 확대에 주효했다. 특히 GM·현대차·토요타 등이 참여한 초고속 전기차 충전 연합체 ‘아이오나(Ionna)’가 ‘프리미엄 EV 충전소’ 콘셉트인 ‘리차저리(Rechargery)’에 알피트로닉(alpitronic)의 ‘HYC 400’ 모델만을 단독 도입했다. 알피트로닉은 2023년 알피트로닉은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 샬럿에 본사 및 생산 거점을 두고 있는 이탈리아 볼차노(Bolzano) 기반의 전력전자 전문 기업이다. 최근에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