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정등용 기자] 엔비디아가 중국 자율주행 스타트업 딥루트닷에이아이(Deeproute.ai)에 자동차용 칩을 공급한다. 딥루트닷에이아이는 중국 내 자율주행 기술 경쟁에서 한발 앞서 나가겠다는 각오다. 6일 미국 경제매체 CNBC에 따르면 맥스웰 저우 딥루트닷에이아이 최고경영자(CEO)는 만리장성 자동차(Great Wall Motor)가 주도한 1억 달러(약 1380억원) 규모의 투자 유치 소식을 알리면서 엔비디아와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저우 CEO는 “엔비디아와 깊은 협력 관계를 맺고 있으며 젠슨 황 엔비디아 CEO와 심도 있는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딥루트닷에이아이는 현재 운전자 보조 시스템에 엔비디아의 오린 칩을 사용하고 있으며, 향후 엔비디아로부터 새로운 토르 칩을 공급 받기로 했다. 토르 칩은 더 복잡한 운전 상황을 관리하기 위해 더 많은 시각 단서를 사용하는 시스템용 칩으로, 엔비디아가 중국 기업에 공급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앞서 미국 정부는 지난 2022년 10월 중국이 엔비디아 등에서 생산하는 AI훈련용 최첨단 반도체에 접근하지 못하도록 수출 제한을 시작했다. 다만 자동차용 칩은 미국의 대중 수출 제한 품목
[더구루=정등용 기자] 글로벌 투자은행(IB) 골드만삭스가 미국 대통령 선거 이후 주식 시장을 전망했다. 대선 결과와 상관 없이 CTA(상품 트레이딩 어드바이저)는 주식을 매각할 것이란 분석이다. 골드만삭스 트레이딩 부서는 지난 4일(현지시간) 발표한 보고서를 통해 “대선 최종 시나리오와 시장 동향에 관계 없이 CTA는 미국 및 전 세계 주식을 매도할 것”이라고 밝혔다. CTA는 선물 계약과 선물 옵션, 리테일 장외 외환 계약, 스왑 등을 사고파는 개인이나 기업을 말하며 주식시장에서는 S&P 500 지수와 연계된 선물 계약을 사고판다. 골드만삭스는 “우리 모델은 이번 주 안에 어떤 시장 상황에서도 CTA가 상당한 매도자가 될 것이라고 가정한다”며 “시장 하락시 E-mini S&P 500 지수에서 112억 달러(약 15조4537억원)가 유출되고 상승시에는 9억4000만 달러(약 1조2970억원)가 유출될 것”이라고 예측했다. 이어 “CTA가 지난주 이미 80억 달러(약 11조384억원) 상당의 글로벌 주식을 매도했다는 점을 언급할 필요가 있다”면서 “이번 예측은 이번주 미국 대선 결과 발표 이후에도 CTA의 매도가 멈추지 않을 것이란 걸 시사한다
[더구루=정등용 기자] 국내 은행들의 3분기 인도네시아 시장 실적이 공개됐다. KB국민은행과 IBK기업은행이 개선된 수치를 보인 가운데 우리은행은 부진한 성적표를 받아들었다. 5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국민은행 인도네시아 법인인 KB뱅크는 올해 3분기 누적 순손실 2조6800억 루피아(약 2350억원)를 기록했다. 이는 전년 동기 3조3800억 루피아(약 2960억원)보다 20.71% 줄어든 수치다. 누적 순손실 축소는 순이자이익 증가에 따른 결과로 해석된다. KB뱅크의 순이자이익은 지난해 3분기 5617억2000만 루피아(약 490억원)에서 올해 9346억2000만 루피아(약 820억원)로 66.38% 증가했다. 대출금 지급액은 39조8200억 루피아(약 3조4880억원)로 전년 동기 49조2300억 루피아(약 4조3125억원) 대비 약 19% 감소했다. 부실채권(NPL) 비율은 11.22%에서 9.58%로 감소하며 여신 건전성도 개선됐다. 기업은행 인도네시아 법인은 올해 3분기 1702억 루피아(약 150억원)의 누적 순이익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 1541억 루피아(약 135억원) 대비 9.75% 증가한 수치다. KB뱅크와 마찬가지로 순이자이익 증가가 이
[더구루=정등용 기자] 노현철 빅솔론 대표가 라벨 프린터 시장 점유율 확대에 강한 의지를 내비쳤다. POS프린터와 모바일 프린터의 성과를 기반으로 라벨 프린터 시장에서도 두각을 나타내겠다는 각오다. 5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노현철 대표는 지난달 말 싱가포르 경제매체 더월드폴리오와 인터뷰에서 현재 시장 상황과 향후 사업 계획 등을 설명했다. 빅솔론은 산업용 프린터 전문기업으로 지난 2002년 삼성전기 EPOS프린터 부문에서 분사돼 설립됐다. 빅솔론은 POS프린터 외에 모바일 프린터와 라벨 프린터 등을 전문으로 생산하고 있다. 하지만 글로벌 시장에서 POS프린터와 라벨 프린터 부문은 높은 품질과 신뢰성을 인정 받고 있는 일본·미국 기업들이 대부분 점유하고 있다. 빅솔론은 국제 무대에서 철저히 도전자의 입장인 셈이다. 그럼에도 한국 기업만의 차별화 된 강점이 있다는 게 노 대표의 생각이다. 노 대표는 “모든 부품을 자국에서 독점적으로 조달하는 일본 기업들과 달리 한국 기업은 중국이나 베트남에서도 소싱이 가능한 유연성이 있다”면서 “영어와 중국어에 능통한 한국인의 언어 능력도 글로벌 시장에서 커뮤니케이션 우위를 점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강조했다. 특히 코로나19는
[더구루=정등용 기자] 이달 코스닥 시장 상장을 앞두고 있는 전력전송 솔루션 전문기업 위츠가 글로벌 자동차 업체들과의 협력을 추진한다. 이를 통해 오는 2030년까지 매출 1조원을 달성한다는 각오다. 김응태 위츠 대표는 4일(현지시간) 싱가포르 경제매체 더월드폴리오와 인터뷰에서 “현대자동차를 비롯한 글로벌 자동차 제조사들과 파트너십을 적극 모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위츠는 현재 글로벌 완성차 업체를 대상으로 전력 제어 모듈과 차량 탑재용 스마트폰 무선 충전 솔루션을 공급하고 있다. 또한 KG모빌리티와 공동으로 전기차 무선충전기능이 탑재된 전기차량 개발에 나섰으며 오는 2026년 상용화 및 양산을 목표로 하고 있다. 김 대표는 “인프라 개발의 경우 단독으로 수행할 수 없는 만큼 정부 기관, 건설사와 협업을 모색하고 있다”며 “전기차 시장의 높은 변동성을 감안해 현재 7㎾(킬로와트)인 용량을 향후 22㎾까지 확대하기 위해 지속적인 역량 강화에 힘쓰고 있다”고 말했다. 위츠는 전기차 무선 충전 확대를 위해 공공과 민간 부문 모두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실제 위츠의 무선 충전소는 이미 공공 주차장에 설치돼 있으며 삼성 매장에서도 이용할 수 있다. 최근에는 KG모
[더구루=정등용 기자] 인도네시아 최대 섬유·의류 생산업체 스리텍스(Sritex)가 파산 위기에 처했다. 값싼 중국산 섬유 제품 유입 등으로 경영 실적이 악화하면서다. 국내 한 시중은행도 스리텍스에 자금을 지원한 바 있어 손실이 불가피 할 전망이다. 5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이완 세티아완 루크민토 스리텍스 사장은 지난 29일(현지시간) 아구스 구미왕 카르타사스미타 인도네시아 산업부 장관을 만나 스리텍스의 재정 상황에 대해 논의했다. 이 자리에서 이완 사장은 스리텍스를 더 지속 가능하게 만들고 사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살리기 위한 장기 전략을 설명했다. 이완 사장은 “기본적으로 어떻게 하면 모든 것을 더 지속 가능하게 만들 수 있을지 큰 전략을 세웠다”면서 “반쪽짜리 계획을 세워서는 안 되며 지역사회가 직접 느낄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스리텍스는 현재 심각한 부채 위기에 빠져 있다. 올해 상반기 재무제표에 따르면 총 부채는 16억 달러(약 2조2100억원)이며 대부분 은행과 채권에서 발생했다. 이 중 6억1890만 달러(약 8540억원)는 △뱅크 센트럴 아시아 △스테이트 뱅크 오브 인디아 싱가포르 지점 △시티뱅크 인도네시아 법인 △뱅크 무
[더구루=정등용 기자] 현대건설이 미국 웨스팅하우스와 불가리아 코즐로두이 원전 설계 계약을 체결했다. 유럽 원전 시장 공략에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불가리아 에너지부는 4일(현지시간) 현대건설·웨스팅하우스 컨소시엄과 코즐로두이 대형원전 7·8호기 신규 건설 공사의 수행을 위한 설계계약(ESC)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에너지부는 이번 계약이 불가리아의 원자력 에너지 용량 구축 계획에 새로운 이정표가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또한 향후 1년 내에 신규 원전의 일정과 자금 조달에 대한 분명한 진전이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블라디미르 말리노프 에너지부 장관은 “현대건설·웨스팅하우스 컨소시엄의 일관된 노력과 적극적인 협력이 오늘의 결과로 이어졌다”면서 “이번 계약은 프로세스의 핵심 단계”라고 설명했다. 신규 원전 사업은 불가리아 수도 소피아에서 북쪽으로 약 200㎞ 떨어진 코즐로두이 원전 단지 내에 1100㎿급 원전 2기를 추가로 건설하는 프로젝트다. 미국 원전기업 웨스팅하우스의 AP1000 노형이 적용될 예정으로 오는 2035년까지 가동을 목표로 한다. 불가리아 전력 생산의 3분의 1을 담당하는 코즐로두이 원전은 1969년부터 시공된 불가리아 최초의 원자력발전소로,
[더구루=정등용 기자] 베인캐피탈이 인텔의 FPGA(프로그래밍이 가능한 반도체) 사업을 담당하는 알테라(Altera)에 대한 지분 인수를 추진한다. 실버레이크(Silver Lake)와 프란시스코 파트너스(Francisco Partners)가 지분 인수 경쟁사로 거론된다. 로이터통신은 5일 소식통을 인용해 베인캐피탈과 실버레이크가 알테라 소수 지분 인수의 잠재적 후보자라고 보도했다. 로이터통신은 이미 인텔이 알테라 소수 지분 매각을 위한 절차를 최근 몇 주 동안 진행했으며 관련 논의가 초기 단계에 있다고 전했다. 향후 몇 주 안에 잠재적인 구매자로부터 초기 입찰을 받을 준비를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또 다른 소식통 중 한 명은 사모펀드 회사인 프란시스코 파트너스도 알테라 지분 인수에 관심을 나타냈으며 입찰자 중 하나가 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소식통에 따르면 인텔은 지난 2015년 알테라 인수에 지불한 금액과 비슷한 수준의 가치를 기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인텔이 알테라 지분을 얼마나 매각할지는 불분명하지만, 어떤 거래든 최소 수십억 달러의 가치가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팻 겔싱어 인텔 최고경영자(CEO)는 최근 실적 발표 후 컨퍼런스 콜에서 “우
[더구루=정등용 기자] 한국동서발전이 수주한 사우디아라비아 아말라 프로젝트가 자금 조달을 마무리했다. 아말라 프로젝트는 사우디 국가 재생 에너지 프로그램 중 하나로 연간 35만t(톤)의 탄소 배출 절감 효과가 예상된다. 4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동서발전이 참여한 프랑스전력공사(EDF)·마스다르 컨소시엄은 최근 아말라 프로젝트 자금 조달이 성공적으로 마무리 됐다고 밝혔다. 자금 조달에는 △퍼스트 아부다비 은행 △에미리트 NBD △리야드 은행 △사우디 국립은행 △알린마 은행 등 현지 및 글로벌 금융 기관이 참여했다. 컨소시엄은 이번 거래가 지역 유산과 문화를 기념하고 지속 가능한 럭셔리 관광지를 만들겠다는 아말라 프로젝트의 열망을 실현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또한 이번 거래는 컨소시엄이 지난해 레드씨 인터내셔널과 아말라 복합시설 인프라 개발을 위한 25년 양허 계약을 체결한 데 따른 것이다. 여기에는 아말라 프로젝트 복합 인프라 시설의 자금 조달과 엔지니어링, 개발, 운영, 유지보수 및 소유권 이전 등의 계약 연장 옵션이 포함돼 있다. 아말라 프로젝트는 홍해 인근 아말라의 3800㎢(제곱킬로미터) 부지에 호텔 25개와 쇼핑센터, 주거용 고급 주택,
[더구루=정등용 기자] 한국과 일본이 111억 호주달러(약 10조원) 규모의 호주 함정 프로젝트 수주전에 가장 앞서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HD현대중공업과 한화오션 간 기술 분쟁이 변수로 꼽히는 가운데 이르면 이번주 수주 기업이 공개될 전망이다. 호주 국영방송 ABC는 4일 복수의 방위 산업 소식통을 인용해 한국과 일본이 호주 함정 프로젝트 수주전에 가장 앞서 있다고 보도했다. ABC는 “호주는 한국과 일본을 인도 태평양 지역 내 중요한 파트너로 인식하고 있다”며 “한국은 최근 수십억 달러 규모의 보병 전투 차량 건설 프로젝트를 수주했고 일본은 AUKUS와 긴밀한 협력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AUKUS는 호주, 영국, 미국이 참여하는 국방 및 안보 협력체다. 이어 ABC는 “지난 2월에는 미 해군 참모총장이 한국 조선소를 방문해 미 프로젝트 투자를 요청했다”며 “올초에는 마크 해먼드 호주 해군 참모총장이 일본의 조선 능력을 칭찬하기도 했다”고 덧붙였다. 업계에서는 일본 정부가 팻 콘로이 호주 방위산업부 장관의 공약에 따라 곧 건설될 공장에 해군 타격 미사일을 구매할 것을 제안했다는 추측이 나오고 있지만 공식 확인되지는 않았다. ABC는 한국과 일
[더구루=정등용 기자] “양자컴퓨터 산업이 아직 초창기에 머물러 있지만 언젠가 AI(인공지능)와 GPU(그래픽처리장치)가 하는 역할을 대체하는 시대가 올 것이다.” 정현철 노르마 대표는 최근 서울 여의도 더구루 사무실에서 진행된 인터뷰에서 이 같이 밝히며 양자컴퓨터 산업의 미래를 전망했다. AI와 GPU의 확대로 LLM(거대언어모델)과 챗GPT 같은 프로그램들의 전력량 소모가 높아지고 있는 만큼 양자컴퓨터가 이에 대한 대안이 될 수 있다는 주장이다. ◇양자컴퓨터, 바이오부터 이차전지 개발까지 활용 양자컴퓨터는 얽힘(entanglement)이나 중첩(superposition) 같은 양자역학적인 현상을 활용해 자료를 처리하는 계산 기계를 말한다. 양자역학의 기본 원리를 이용하는 최초의 기계로 기존 컴퓨터보다 빠르게 복잡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으로 평가 받는다. 컴퓨터의 경우 전자가 있고 없음에 따라 0과 1로 나눈 비트로 정보를 처리한다면, 양자컴퓨터의 단위는 0과 1 상태가 중첩된 큐비트(qubit)다. 이런 특성을 이용해 양자컴퓨터는 동시에 여러 연산을 처리, 슈퍼컴퓨터가 수백년 걸릴 암호 계산을 수초에 풀 수 있다. 활용 방법도 다양하다. 다양한 물질
[더구루=정등용 기자] 영국 최초 SMR(소형모듈원전) 사업자 선정이 연기됐다. 정부 의사결정 과정이 지연되는 가운데 지난 7월 이뤄진 정권 교체가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 나온다. 4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당초 올 연말로 예정됐던 영국 SMR 사업자 선정은 내년 초 이후로 연기됐다. 영국 원자력청(GBN)은 오는 2050년까지 영국 내 원자력 발전용량을 24GW(기가와트)로 확대하겠다는 계획 아래 경쟁 입찰을 통한 사업자 선정 프로그램을 추진해왔다. 올초에는 숏리스트(후보)에 오른 6곳의 SMR 개발사 중 팀 홀텍(현대건설·홀텍) 외에 GE히타치뉴클리어에너지, 롤스로이스SMR, 웨스팅하우스가 최종 입찰 후보에 올랐다. 이후 올 연말 이번 입찰을 통과한 4개사 중 2곳을 선정해 최종 투자를 결정하고 영국 최초 SMR 건설에 본격적으로 착수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영국 정부의 의사결정 과정이 늦어지면서 최종 선정도 내년으로 미뤄지게 됐다. 업계 관계자는 “영국 정부의 의사결정 속도가 예상보다 느리고 프로세스도 충분히 견고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14년 만에 이뤄진 정권 교체도 영향을 미쳤다는 해석이 나온다. 지난 7월 치러진 총선에서 노동당은 400석 이상의 압도
[더구루=김은비 기자] 인공지능(AI) 기반 첨단 배터리 제조사 SES AI 코퍼레이션(이하 SES AI)가 글로벌 에너지저장장치(ESS) 시장 공략에 나섰다. 상업·산업용 ESS 전문기업 UZ에너지 인수를 완료하면서 하드웨어·소프트웨어·운영 데이터까지 통합한 풀라인업 솔루션 역량을 갖추게 됐다. [유료기사코드] 19일 업계에 따르면 SES AI는 최근 약 2550만 달러(약 350억 원)에 UZ에너지 지분 100%를 매입했다. UZ에너지는 2013년 중국 선전에 설립된 ESS 전문기업으로, 전 세계 60여 개국에 500MWh 이상 설치 실적을 보유하고 있다. 고전압 ESS 제품군과 국제 품질·안전 인증을 기반으로 주거용부터 유틸리티급까지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하며 글로벌 시장 입지를 넓혀왔다. SES AI는 이번 인수로 ESS 전 과정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게 됐다. 특히 자체 플랫폼 ‘몰리큘러 유니버스(Molecular Universe)’와 UZ에너지 기술을 결합, AI 기반 통합형 ESS 솔루션을 선보인다. ‘몰리큘러 유니버스’는 배터리 소재를 원자 단위에서 분석·예측하는 독자 플랫폼이다. UZ에너지의 설치·운영 데이터가 더해지면서 △배터리 수명 예측 △실시
[더구루=홍성일 기자] 미국 전기차 기업 리비안이 비밀리에 개발해 온 전기자전거의 모습이 노출되면서 큰 관심을 받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19일 전기차 전문매체 일렉트렉에 따르면 리비안의 마이크로모빌리티 자회사 ALSO는 최근 공개한 홍보 영상에서 다음달 공개 예정인 전기자전거를 노출했다. 해당 영상은 전기자전거 홍보 영상을 촬영하는 현장의 모습을 담은 비하인드 영상으로, 현재는 삭제된 상태다. ALSO에서 개발하고 있는 자전거는 약 20인치 휠, 전후방 서스펜션 등이 장착되며, 디자인은 전기자전거와 엔진이 달린 자전거인 모페드의 중간 형태를 가지고 있다. 자전거 가운데에는 사각형 형태의 박스가 위치하고 있으며, 리비안의 디자인 테마가 반영된 대형 헤드라이트도 확인할 수 있다. ALSO는 첫 번째 전기자전거를 내달 22일 공개할 계획이다. 공개 전까지 유튜브, 인스타그램, 틱톡 등 SNS 채널을 통한 홍보를 진행할 계획이다. 업계는 ALSO 전기자전거의 성공은 가격정책에 따라 결정될 것으로 보고있다. 실제로 과거 세련된 디자인과 강력한 성능으로 힙한 제품으로 관심을 받았던 네덜란드의 밴무프(VanMoof)는 높은 가격이 진입장벽으로 작용하며 대중화에는 실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