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오소영 기자] LG에너지솔루션의 미국법인 LG에너지솔루션 버테크가 미국 재생에너지 인프라 펀드인 엑셀시오 에너지 캐피탈(Excelsior Energy Capital, 이하 엑셀시오)에 대규모 에너지저장장치(ESS)를 공급한다. 미국 재생에너지 기업 테라젠(Terra-Gen)과의 계약에 이어 약 한 달 만에 추가 수주를 올렸다. ESS 토탈 솔루션을 앞세워 북미 시장에서 연이어 성과를 냈다. LG에너지솔루션 버테크는 19일(현지시간) 엑셀시오와 7.5GWh 규모 ESS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7.5GWh는 약 75만 가구(4인 기준) 이상이 하루 동안 사용할 수 있는 전력량이다. LG에너지솔루션 버테크는 고용량 리튬인산철(LFP) 롱셀이 적용된 컨테이너형 모듈러 제품을 내년 4월부터 납품할 예정이다. 클라우드를 기반으로 ESS 성능을 분석하고 전체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에어로스(AEROS™)도 함께 제공한다. LG에너지솔루션 버테크는 지난 2022년 2월 미국 ESS 시스템통합(SI) 기업 NEC 에너지솔루션을 인수해 출범한 회사다. 약 2년 만에 미국에서 총 10GWh 규모의 ESS 전력망 사업을 따냈다. 지난
[더구루=오소영 기자] 사우디아라비아가 한국산 폴리염화비닐(PVC) 코팅직물에 최대 41.84%에 달하는 관세를 부여한다. '범(凡) LG家'인 희성그룹 계열사 '희성폴리머'를 비롯해 국내 PVC 코팅직물 제조사들의 사우디 수출 전략에 차질이 생길 전망이다. [유료기사코드] 19일 사우디 대외무역총국(GAFT)에 따르면 이 기관은 한국에서 수입한 PVC 코팅직물에 반덤핑 관세를 부과하기로 결정했다. 희성폴리머에 26.83%, 기타 회사에 41.84%를 매겼다. GAFT는 작년 10월 11일 FBC 인더스트리를 비롯해 사우디 회사로부터 한국·중국산 PVC 코팅직물이 지나치게 낮은 가격에 판매돼 피해를 입었다는 불만을 접수했다. 약 한 달 후인 11월 30일 조사를 개시했다. 조사 결과, 한국과 중국으로부터의 PVC 코팅직물 수입량은 2020년 1625만 ㎏에서 2022년 1668만 ㎏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2~2023년 한국산 수입량은 391만 ㎏으로 전체 수입량의 16.4%를 차지했다. 중국산은 1606만 ㎏를 기록해 비중이 67.2%에 달했다. 수입량이 늘며 현지 제조사들의 판매 건전성을 나타내는 지수는 2020년 100%에서 2022~2023
[더구루=오소영 기자] HD현대중공업이 스웨덴 '클라이먼(Climeon)'으로부터 폐열을 이용해 전력을 생산하는 '히트파워 300((HeatPower 300)'을 공급받았다. 작년 7월 계약 체결 후 약 1년 5개월 만이다. 덴마크 머스크(Maersk)에 인도할 메탄올 추진 컨테이너선에 '히트파워 300'을 장착해 에너지 효율을 높인다. 클라이먼은 18일(현지시간) HD현대중공업에 '히트파워 300' 6대 공급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히트파워 300은 선박 엔진의 저온 폐열(80-100°C)을 활용해 청정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 시스템이다. 단일 시스템에서 최대 355㎾의 전기 생산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연료 소비를 최대 5%까지 절감하고 탄소 배출량을 감축할 수 있다. HD현대중공업은 작년 7월 클라이먼과 250만 유로(약 40억원) 규모의 히트파워 300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 지난 2022년 10월 머스크로부터 수주한 메탄올 이중연료 컨테이너선 6척(각 1만7200TEU급)에 탑재하기 위해서다. 히트파워 300을 단 선박은 내년부터 순차적으로 인도된다. <본보 2023년 7월 28일 참고 클라이먼, HD현대중공업과 머스크 컨선 폐열 회수 시스템 계약
[더구루=오소영 기자] 포스코인터내셔널과 명신산업이 브라질 바이아주 투자 유치 기관과 만났다. 양사는 바이아주의 투자 환경을 검토하는 한편 현지 사업 구체화를 위한 논의를 진행했다. 바이아주에서는 세계적인 전기차 회사 중국 'BYD'를 이을 차기 투자자로 포스코와 명신산업을 눈여겨 보고 있다. 19일 브라질 바이아 주정부에 따르면 경제개발국(SDE) 산하 투자유치·경제개발 촉진부(SUAD) 총책임자인 루치아노 주디체 토레스(Luciano Giudice Torres)는 지난 16일(현지시간) 포스코인터내셔널·명신산업 임직원과 회동했다. 우수한 투자 환경을 자랑하고 공장 건설에 유리한 조건을 만들 수 있다며 투자를 촉구했다. 대규모 투자를 유치할 잠재력이 충분히 있다고 거듭 밝혔다. 바이아주는 브라질 북동부에 위치한 주로, 브라질에서 네 번째로 인구가 많고, 다섯 번째로 넓다. 니켈과 구리, 철광석 등 광물 자원이 풍부하고, 풍력발전과 전기차 등 친환경 산업이 발달했다. 특히 전기차 부문에서 BYD의 투자를 확보해 이목을 모았다. BYD는 아시아 이외 지역 최초의 공장 부지로 바이아주를 택했다. 바이아주 카마사리 산업단지 내 포드 공장을 인수하고 30억 헤알(약
[더구루=오소영 기자] 삼성SDI가 헝가리에서 방사선 설비 활용에 대한 허가를 연장했다. 안전한 사용 계획을 수립해 규제 기관으로부터 승인을 획득하고 공장 가동에 만전을 기한다. 19일 헝가리 원자력청(Országos Atomenergia Hivatal)에 따르면 이 기관은 지난 13일(현지시간) 삼성SDI 헝가리법인의 방사선 설비 사용 허가 연장을 승인했다. 헝가리 원자력청은 방사선 설비를 활용하는 사업장에 5년마다 활용 계획서를 제출하고 허가를 받도록 하고 있다. 방사선 누출 사고를 사전에 방지하고 안전한 설비 활용을 촉진하기 위해서다. 삼성SDI 헝가리법인도 만료를 앞두고 연장을 신청했다. 이번 허가는 2029년 말까지 유효하다. 헝가리 공장은 유럽 전기차 시장을 겨냥한 전진기지다. 헝가리 수도 부다페스트에서 북쪽으로 30km 떨어진 괴드에 위치한다. 삼성SDI는 2016년 약 4000억원을 투자해 총 33만㎡(약 10만 평) 규모 부지에 착공했다. 2018년부터 가동을 시작해 연간 5만 대 분량의 전기차 배터리 생산능력을 갖췄다. 이어 2022년 말 제2공장을 완공하며 연간 생산능력을 40GWh로 늘렸다. 향후 60GWh까지 증설해 유럽 수요에 대응한
[더구루=오소영 기자] 두산에너빌리티와 HD현대가 빌 게이츠 마이크로소프트(MS) 창업자가 설립한 미국 테라파워의 첫 소형모듈원자료(SMR) 사업에 참여한다. 와이오밍주 케머러에 짓고 있는 나트륨 원전에 쓰일 기자재를 공급한다. 테라파워는 18일(현지시간) 나트륨 원자로 인클로저 시스템(Reactor Enclosure System)에 대한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두산에너빌리티는 코어 배럴(원전 핵심부를 감싸는 구조물)과 가드 베셀(원자로 용기 바깥쪽에 설치되는 이중 방어막), 내부 지지 구조물을 △HD현대는 원자로 압력용기 △스페인 ENSA(Equipos Nucleares S.A.)는 원자로 헤드 △북미 마르멘(Marmen)은 회전플러그를 제작한다. 이들이 공급하는 주요 기자재는 첫 나트륨 원전 건설에 활용된다. 테라파워는 지난 6월 와이오밍주 케머러에 나트륨 원전을 착공했다. 약 40억 달러(약 5조8100억원)를 투자해 345㎿ 규모로 짓는다. 2030년부터 상업운전을 시작하고 25만 가구가 사용할 수 있는 전기를 생산할 예정이다. 두산에너빌리티와 HD현대는 테라파워의 첫 나트륨 상용화를 지원하며 미래 먹거리인 SMR 사업에서 본격적으로 성과를 거둔
[더구루=오소영 기자] 현대로템이 폴란드에 K2전차 7대를 추가 인도했다. 올해까지 총 84대를 조기·적기 납품하며 현지 신뢰에 부응했다. 폴란드 군비청은 17일(현지시간) 소셜미디어 엑스(X)를 통해 배에 실린 K2전차를 크레인으로 하역하는 모습을 공개했다. 이번에 인도된 물량은 7대다. 파베우 베이다(Paweł Bejda) 국방부 차관은 "올해 예정된 K2전차 도입을 완료했다"며 "7대가 추가로 도착해 현재까지 총 84대가 인도됐다"고 부연했다. 현대로템은 지난 2022년 7월 폴란드 군비청과 1000대 규모의 K2전차 기본 계약을 맺었다. 그해 8월 K2GF 180대에 달하는 1차 실행 계약을 체결해 10대를 우선 인도했다. 2023년 18대, 2024년 56대를 납품했으며, 내년 96대를 인도해 180대에 대한 납품을 마무리할 예정이다. 현대로템은 폴란드향으로 개조된 K2PL 수출도 추진하고 있다. 820대를 K2PL로 제작하기로 하며 협상을 진행 중이다. 820대는 1차 계약의 약 4배에 달하는 물량으로 계약 금액은 약 9조원으로 추정된다. 현대로템은 K2PL 현지화를 위해 지난 7월 현지 국영방산그룹 PGZ와 신규 컨소시엄 합의서도 체결했었다. 당
[더구루=오소영 기자] HD현대일렉트릭이 러시아 유통사 ETM(러시아명 ЭТМ)과 차단기 판매에 협력한다. ETM의 네트워크와 영업 노하우를 활용해 러시아 판매를 확대한다.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에도 러시아 유통사들과 파트너십을 지속하며 영업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18일 ETM에 따르면 이 회사는 최근 HD현대일렉트릭의 차단기 6종을 론칭했다. △전류 누설을 감지하고 전원을 차단하는 누전차단기 2종(25~35A·6-50A) △전기모터의 과부하를 방지하는 모토보호계전기(0.1-80A) △1-63A 전류를 차단할 수 있고 차단용량이 6kA인 소형 모듈형 차단기 △10~125A 전류를 차단하고 차단용량이 10kA인 모듈형 차단기 등을 판다. ETM은 러시아 수도 상트페테르부르크에 본사를 뒀다. 500여 개 제조사와 거래하며 전력기기와 케이블, 램프, 펌프 등을 판매하고 있다. HD현대일렉트릭은 방대한 제품 판매 경험을 보유한 ETM과 협업해 러시아에서 판로를 개척한다. 러시아 발전량의 60% 이상을 차지하는 화력발전은 대부분 1960~1980년대 건설돼 노후화가 심각하다. 정부 차원에서 전력 인프라 현대화를 추진하고, 2060년 탄소중립을 위해 재생에너지를 확대하
[더구루=오소영 기자] 한화오션이 태국과 파트너십을 돈독히 한다. 이달 초 방한한 태국 하원 국방위원회에 거제조선소를 소개하고 함정 기술을 알린 데 이어 정승균 한화오션 특수선 해외사업단장(부사장)이 태국으로 날아가 후속 협력을 검토했다. 차기 호위함 사업을 따내 태국의 방산 파트너로 자리매김한다는 복안이다. 18일 업계에 따르면 정 부사장은 지난주 태국을 방문해 지라폴 웡윗(Jirapol Wongwit) 태국 왕립 해군 총사령관과 면담을 가졌다. 태국의 차세대 호위함 사업 협력을 논의하는 한편 태국군의 향후 운영 방안을 청취했다. 이어 파론데이 푸타나비자른(Pharondej Puttanavijarn) 대위와도 만나 국가 안보와 경제 발전을 모두 가져가기 위한 균형있는 시각에 대한 생각을 나눴다. 두 사람은 미 해군사관학교 동문이다. 정 부사장은 회동 직후인 지난 13일 소셜미디어 '링크드인'을 통해 "태국 경제의 역동성을 반영하는 태국 해군의 리더십에 존경을 표한다"며 "향후에도 의미 있고 미래지향적인 논의가 계속되기를 기대한다"고 소회를 남겼다. 한화오션은 지난 3일 거제 사업장에서 위롯 라카나아디손 의장을 비롯해 태국 하원 국방위원회 의장단과 회동한 바
[더구루=오소영 기자] LG전자가 자회사 ZKW의 새 수장으로 황원용 VS오퍼레이션그룹장(전무)을 선임했다. 30년가량 전장 사업에서 쌓은 황 신임 최고경영자(CEO)의 경험과 노하우를 ZKW에 접목해 차량용 램프 사업을 키운다. ZKW는 17일(현지시간) 황 전무를 새로운 CEO로 선임했다고 밝혔다. 전임 CEO인 빌헬름 슈테거(Wilhelm Steger) 박사는 오는 31일부터 ZKW 감독이사회 위원으로 물러난다. 황 CEO는 연세대학교에서 전기공학을 전공한 후 1996년 LG전자에 입사해 전장 사업에서 경력을 쌓았다. 2015년 말 임원인사에서 상무로 승진해 VC AVN2 ED담당, VS스마트제품개발담당, VS북미법인장을 역임했다. 북미 고객사들과 강력한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전장 사업의 턴어라운드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2022년 말 VS사업본부 산하에 새롭게 꾸려진 VS오퍼레이션그룹을 맡게 됐다. VS오퍼레이션그룹은 전장부품 통합 오퍼레이션 관리 역할을 수행했다. 황 CEO는 오랜 기간 전장에서 쌓은 업력을 토대로 내년 1월부터 ZKW의 성장을 이끌 예정이다. ZKW는 오스트리아 헤드램프 제조사로 폭스바겐, 아우디, 포르쉐, 메르세데스벤츠, BMW
[더구루=오소영 기자] LG에너지솔루션과 스텔란티스의 합작사 '넥스트스타 에너지(이하 넥스트스타)'가 캐나다 윈저 투자 당국과 새로운 인력 양성 프로그램을 시행한다. 실직자 또는 전직을 원하는 자를 대상으로 가상현실(VR)을 활용한 교육을 제공한다. 현장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 교육을 추진해 맞춤형 인재를 확보한다. 18일 윈저 투자청 '인베스트 윈저 에섹스(Invest Windsor Essex, 이하 IWE)'에 따르면 IWE는 배터리 인재 양성 프로그램인 '배터리 부스트: 배터리 제조 경력을 위한 기술 교육(Battery Boost: Technical Training for Battery Manufacturing Careers)'을 시작한다. 이 프로그램은 넥스트스타에 투입할 인력 배출을 목적으로 한다. 철저히 실무 중심으로 가상현실(VR)을 접목해 장비와 제조 공정을 시뮬레이션 해보도록 하고 몰입도 높은 교육을 제공하는 것이 핵심이다. 실직자나 경력 전환을 원하는 노동자를 대상으로 하며, 관련 업계가 아니더라도 최소 3년 이상 경력이 있어야 신청이 가능하다. IWE는 내년 1월 중순 400명 이상의 최종 참가자를 확정한다. 그해 2월부터 2026년 3월
[더구루=오소영 기자] "우리는 2030년대 중반까지 나트륨 10기를 건설하길 원한다. 한국의 산업 역량은 목표 달성에 도움이 될 것이다." [유료기사코드] 빌 게이츠가 설립한 미국 소형모듈원자로(SMR) 스타트업 '테라파워'의 크리스 르베크(Chris Levesque) 최고경영자(CEO)는 지난 13일(현지시간) 미국 에너지 전문지 '에너지 인텔리전스'와의 인터뷰에서 "한국은 테라파워에 정말 중요한 나라"라며 이같이 말했다. 테라파워에 투자한 SK와 HD현대, 한국수력원자력을 언급하며 "전통적인 경수로 원전 기업이 테라파워와 같은 첨단 원전 기업에 투자하는 것이 인상적"이라고 덧붙였다. 테라파워는 액체 나트륨(소듐)을 냉각재로 사용하는 SMR '나트륨'을 개발한 회사다. 소듐은 끓는점이 880℃로 기존 냉각제인 물보다 8배 이상 높아 많은 열을 흡수하면서 발전 출력을 높일 수 있다. 안정성이 향상됐고, 핵폐기물도 적다는 장점을 지녔다. 한국 기업들은 나트륨의 경쟁력에 주목해 투자를 추진했다. SK㈜와 SK이노베이션은 2022년 2억5000만 달러(약 3600억원)를, HD현대의 조선 중간 지주사인 한국조선해양은 3000만 달러(약 430억원)를 같은 해 투
[더구루=홍성일 기자] 프랑스의 이커머스(전자상거래) 시장이 기록적인 성장세를 이어나가고 있다. 여행 등 온라인 서비스 부문 사용량이 급증하고, 음식 배달은 '필수 구매 채널'로 자리잡는 등 이커머스가 프랑스인의 일상에 깊숙이 파고들었다는 분석이다. [유료기사코드] 27일 코트라 파리 무역관에 따르면 지난해 프랑스 이커머스 규모는 1809억 유로(약 297조8680억원)로, 가파른 성장세를 보였다. 특히 지난해에는 2022년 인플레이션 이후 처음으로 가격 상승이 아닌 거래량이 늘어나면서 성장세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프랑스 이커머스 시장은 리테일과 여행이 축으로 자리잡고 있다. 여행 이커머스 시장 규모는 2024년 기준 652억 유로(약 107조3485억원)이었으며, 리테일 이커머스는 624억 유로(약 102조7385억원)였다. 여행 이커머스 시장은 파리 올림피 효과로 급성장했으며 부킹닷컴, 에어비앤비 등이 핵심 플랫폼으로 자리잡고 있다. 다만 여행 이커머스 시장은 호텔들이 높은 플랫폼 수수료에 대항해 직접 예약 강화, 로열티 프로그램 확대 등을 하고 있고, 에어비앤비의 경우 단기 임대 규제(안티 에어비앤비 법) 강화로 불확실성이 커진 상태다. 안티 에어비
[더구루=홍성일 기자] 홍콩이 드론과 도심항공교통(UAM)을 활용하는 '저고도 경제(low-altitude economy)'를 미래 성장 동력으로 삼고 규제 완화·정책 지원에 나섰다. 홍콩 정부는 적극적으로 산업을 육성해 GBA(광둥·홍콩·마카오 대만구)를 아우르는 저고도 경제 허브를 구축하겠다는 목표다. [유료기사코드] 27일 코트라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홍콩의 드론 수입이 증가하는 등 시장이 확대되고 있다. 또한 정부 주도로 드론 기술 발전과 다양한 응용 분야 확대로 이뤄지고 있다. 홍콩 정부는 중국 정부가 저고도 경제를 국가 전략 신흥 산업으로 육성하자 지난해부터 핵심 의제로 삼고 산업을 육성하고 있다. 존 리 홍콩 행정장관은 지난해 시정연설을 통해 저고도 경제를 핵심 정책이라고 강조했으며, 11월에는 '저고도 경제 발전 실무그룹'을 출범시키기도 했다. 저고도 경제 발전 실무그룹은 출범 직후 기업들이 규제 제약 없이 드론 기술을 시험하고 상용화할 수 있도록 '저고도 경제 규제 샌드박스 시범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올해 3월 시작된 1기 프로젝트에서는 긴급 구조, 물류 배송, 시설 점검 등 38건의 과제가 승인돼 실제 현장 운영에 들어갔다. 홍콩 정부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