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김은비 기자] 현대자동차가 CNN과 함께 여성 리더십과 혁신을 조명하는 글로벌 캠페인을 전개한다. 이번 캠페인은 다양한 분야에서 활약하는 여성 리더들의 도전 스토리를 통해 현대차의 지속 가능성과 브랜드 가치를 강화한다는 각오다. 5일 CNN에 따르면 현대차는 CNN의 자회사 CNN 인터내셔널 커머셜(CNNIC)과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크로스 플랫폼 광고 캠페인을 진행한다. CNN TV 채널은 물론, 소셜미디어(SNS) 및 스폰서십(후원) 광고를 결합한 방식으로 폭넓은 글로벌 시청자층을 타깃으로 한다. 단순 광고 형식이 아닌 캠페인 속 주인공의 삶의 여정을 자연스럽게 풀어내는 스토리텔링 방식을 채택해 자사의 브랜드 비전인 ‘인류를 위한 진보’와 주인공의 혁신적인 리더십을 시청자에게 전달한다. 이를 통해 시청자들로 하여금 삶에 대한 영감 및 동기를 불러일으킨다는 계획이다. 우선 CNNIC의 글로벌 브랜드 스튜디오인 ‘크리에이트(Create)’에서 다큐멘터리 영상을 제작해 송출한다. 이 영상에는 호주 출신 프로 서퍼이자 기네스 세계 기록 보유자, 현대차 홍보대사인 로라 에네버가 출연한다. 로라는 서핑에 대한 열정과 여성 서퍼로서의 삶을 강조하며 차세대 여성
[더구루=김은비 기자] 현대자동차가 새로운 디자인과 첨단 기술로 적용한 '올 뉴 베르나'(국내명 액센트)를 출시했다. 인도 현지의 제조 역량을 토대로 다양한 판매 라인업을 내세워 현지 시장 확대에 강한 드라이브를 건다. 현대차 인도법인(HMIL)은 지난 4일(현지시간) 인도 시장에서 ‘올 뉴 베르나’를 공식 출시했다. 신형 베르나는 리어 스포일러가 눈에 띄는 스포티한 패스트백 스타일로 출시됐다. 새롭게 출시된 아마존 그레이 색상과 두 가지 듀얼 톤 옵션을 포함한 총 8가지의 컬러 옵션으로 제공된다. 미래지향적 디자인의 다양한 외관 옵션으로 눈길을 모으고 있다. 여기에 넓은 실내 공간과 고성능 사양을 갖춰 한층 업그레이드됐다. 실내에는 △통합 인포테인먼트 및 △디지털 클러스터 △통풍 및 열선 시트 △64가지 색상의 앰비언트 라이트 △보스 프리미엄 사운드 시스템 등 고급 편의 기능이 장착돼 고객에게 뛰어난 차량 내 경험을 제공한다. 가격은 110만400루피(약 1803만 원)부터 시작된다. 현대차는 이번 신형 베르나를 출시를 기점으로 인도 시장 점유율을 더욱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인도자동차판매협회(FADA)에 따르면 현대차는 지난달 인도 시장에서 5만5128대를
[더구루=김은비 기자] 삼성전자가 인도에 최대 규모의 고객 접점을 오픈하며 현지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인도의 다양한 소비자들에게 삼성의 최첨단 기술과 제품을 직접 체험하고 구매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인도 시장에서의 입지를 더욱 공고히 한다는 각오다. 5일 삼성전자에 따르면 인도법인은 인도 구루그램(Gurugram)의 DLF 사이버허브에 인도 최대 규모의 '삼성 익스피리언스 스토어(Samsung Experience Store)'를 오픈했다. 구루그램은 인도 수도 뉴델리 인근 신도시로, 구매력이 큰 신흥 중산층이 밀접한 도시다. 약 3000평방피트(ft²) 공간으로 꾸려진 매장에서 고객들은 삼성의 주력 제품인 △갤럭시 시리즈 스마트폰 및 △웨어러블 △오디오 기기 △스마트싱스(SmartThings) 등 삼성전자의 최신 모바일과 커넥티드 기술을 체험할 수 있다. 특히 이번 매장은 물리적 공간인 오프라인 매장과 디지털 경험을 할 수 있는 온라인 스토어를 결합한 '옴니채널 공간'이라는 점이 특징이다. 디지털 전환 추세에 맞춰 고객은 삼성전자 온라인 스토어인 '스토어+(Store+)' 플랫폼을 통해 물건을 검색하고 오프라인으로 직접 살펴볼 수 있다. 최종
[더구루=김은비 기자] 중국 비야디(BYD)가 유럽 전기차 시장 공략을 위해 스텔란티스의 유럽 전략을 담당하던 주요 인사들을 잇따라 영입하고 있습니다. BYD는 최근 마리아 그라치아 다비노(Maria Grazia Davino) 전 스텔란티스 영국법인장을 독일, 스위스, 폴란드, 오스트리아, 체코 지역 상무이사로 영입한것으로 알려졌으며 임기는 내달부터 시작됩니다. 마리아 신임 상무이사는 유럽 자동차 산업 중진으로 현지 시장에서 풍부한 경험을 지닌 베테랑입니다. 스텔란티스에서 영국법인장을 맡기 전 오스트리아, 스위스, 독일 마케팅 담당 수석 부사장을 역임했습니다. BYD는 현지 인력과 맞춤형 전략을 토대로 글로벌 인재들을 빨아들이는 모양새입니다. ◇ 더구루 인사이트 영상 보기 ◇ 상세 기사 中 BYD, 스텔란티스 유럽 베테랑 잇딴 영입
[더구루=김은비 기자] 대만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업체 'TSMC'가 첨단 공정 칩과 패키징 가격을 잇따라 인상합니다. 4일 대만 공상시보에 따르면 이 매체는 최근 모건스탠리, 유니프레지던트증권 등의 보고서를 인용해 TSMC가 내년 3나노미터(nm) 공정과 자체 개발한 첨단 후공정 기술 '칩 온 웨이퍼 온 서브 스트레이트(CoWoS)' 가격을 올릴 것이라고 보도했습니다. 3나노 공정 가격은 5% 이상, CoWoS는 약 10~20% 상승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인공지능(AI)향 반도체 수요가 급증하며 공급망 핵심 '키'를 쥔 TSMC가 부르는 게 값이 된 것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더구루 홈페이지에서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 더구루 인사이트 영상 보기 ◇ 상세 기사 '부르는게 값' TSMC, 3나노·CoWoS 가격 천정부지 솟을듯
[더구루=김은비 기자] 한국 대형 조선소와 카트르에너지의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 계약이 해를 넘길 전망입니다. 노르웨이 해운전문지 '트레이드윈즈(Trade Winds)'에 따르면 카타르에너지는 한국 조선소와 LNG 운반석 20척 협상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일부 선박은 27만1000㎥인 카타르·차이나막스(Q-MAX)급일 것으로 추정되는데요. 카타르·차이나막스는 길이 344m, 너비 53.6m, 높이 27.2m, 흘수 12m로 현존 최고 규모입니다. 한화오션과 삼성중공업은 현존 최고 규모의 선박 건조를 두고 물밑 협상을 진행 중인데요. 카타르와 계약을 성사시켜 LNG선 시장에서 중국의 추격을 따돌리고 우위를 굳건히 한다는 방침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더구루 홈페이지에서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 더구루 인사이트 영상 보기 ◇ 상세 기사 카타르, 한국 조선업체와 '中 독점' QC-MAX급 LNG선 협상
[더구루=김은비 기자] 대동의 북미법인이자 트랙터 사업부인 카이오티(KIOTI)가 캐나다 온타리오주 밀턴에 새로운 물류 시설을 개소하며 북미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한다. 이번 확장을 통해 물류 효율성을 향상해 고객 만족도를 제고하는 한편, 캐나다 트랙터 시장에서 브랜드 입지를 공고히 한다는 방침이다. 4일 카이오티에 따르면 이 회사는 캐나다 시장에서 증가하는 고객의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신규 물류 시설을 오픈했다. 이 시설은 총 25만2424ft²(제곱피트) 규모로, 기존 토론토에 위치한 시설 대비 재고 용량이 260% 늘어났다. 밀턴 시설은 67개의 도크 도어, 36ft 높이의 천장, 그리고 1만 7000개의 팔레트와 1만 개의 부품 라인 아이템을 수용할 수 있는 하이 티어 랙킹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또한 에너지 효율적인 발광다이오드(LED) 조명을 설치해 친환경 운영 환경을 구축했다. 이번 시설 확장을 통해 카이오티는 캐나다 딜러와 고객들의 수요에 보다 보다 신속하게 대응하고 물류 효율성을 높이는 한편, 캐나다 시장에서의 입지를 더욱 공고히 한다는 방침이다. 특히 텔레매틱스, 자율 주행 기술, 인공지능(AI) 등 첨단 기술을 활용, 제품 경쟁력을 강화할
[더구루=김은비 기자] 배터리 소재 및 장비 기업 노보닉스(Novonix)가 영국의 코발트 및 니켈 염 생산업체 아이코니켐(ICoNiChem)과 손잡고 친환경 배터리 소재 개발에 나선다. 양사는 재활용 금속 원료를 활용해 배터리 업계의 지속 가능성을 높인다는 방침이다. [유료기사코드] 4일 노보닉스에 따르면 이 회사와 아이코니켐은 니켈 기반 양극 활성 소재(CAM) 개발을 위한 협력 계약을 체결했다. 이 협약에 따라 아이코니켐은 재활용 금속 원료인 코발트 및 니켈 탄산염 및 산화물을 노보닉스의 특허 기술인 완전 건식 및 제로 웨이스트 공정에 공급하기로 했다. 노보닉스는 고성능 소재 및 효율적인 생산 방법 개발을 위해 지난해 7월 완전 건식 폐기물 제로 및 음극 합성 공정을 가동, 이에 대한 특허도 취득했다. 양사는 2년에 걸친 프로젝트를 통해 아이코니켐의 재활용 원료를 노보닉스의 양극 파일럿 라인에서 테스트하고, 최종적으로 선진 양극 소재와 비교 평가를 위해 풀 스케일 파우치 셀을 제조할 계획이다. 테스트가 성공적으로 완료되면 노보닉스는 아이코니켐의 재활용 원료를 CAM 생산 과정에 통합하기 위한 상업적 계약을 체결할 예정이다. 이번 프로젝트는 '캐나다-영국
[더구루=김은비 기자] 대한항공이 마닐라로 향하는 고객 수요에 발맞춰 항공 운항 편수를 늘린다. 승객의 한국과 필리핀 간 여행 편의성을 높이는 한편 필리핀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한다. 4일 업계에 따르면 대한항공은 오는 24일부터 '인천~마닐라' 노선을 기존 일 3회에서 4회로 늘릴 예정이다. 인천국제공항(ICN)에서 오후 9시40분에 출발하는 KE619편은 마닐라 니노이 아키노 국제공항(MNL)에 오전 1시5분(현지 시간)에 도착한다. 귀국편인 KE620편은 MNL에서 오전 2시20분에 출발, 7시25분 인천에 도착할 예정이다. 증편 노선에는 보잉777-3000ER과 에어버스 A321neo 기종이 혼합돼 투입될 전망이다. 이번 증편을 통해 미국으로 향하는 연결성까지 한층 개선될 것으로 기대된다. 귀국편은 대한항공 아침 뉴욕행 항공편과 시간대가 맞물려 있어 인천 경유를 해 북미로 향하는 필리핀 고객들에게 원활한 연결성을 제공할 예정이다. 대한항공은 현재 필리핀에서 △애틀랜타 △보스턴 △댈러스 △라스베이거스 △워싱턴 등 미국 주요 도시로 항공편을 운영 중이지만 노선이 길고 복잡해 새로운 노선의 필요성이 제기돼 왔다. 이번 항공편 증편으로 대한항공은 승객들의 인
[더구루=김은비 기자] 미국 자율주행 기술 스타트업 오로라 이노베이션(Aurora Innovation, 이하 오로라)이 자율주행 트럭의 상용화 목표 시점을 연기했다. 자율주행 기술의 검증과 안전성을 높이기 위한 결정이라는 설명이다. [유료기사코드] 1일 업계에 따르면 오로라는 자율주행 트럭의 상용화를 기존 올해 말에서 내년 4월로 연기한다고 발표했다. 크리스 엄슨(Cris Urmson) 오로라 최고경영자(CEO)는 올 3분기(7~9월) 실적 보고 주주 서한에서 "우리가 설정한 출시 목표보다 다소 늦춰지긴 했지만, 2024년 내내 공유했던 일정 범위 내에 있다"며 “타임라인 변화가 재정적 영향에 큰 타격을 주지는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오로라가 상용화 연기를 발표한 것은 자사의 자율주행 기술을 신중하게 검증해 높은 완성도를 추구하기 위해서다. 오로라는 현재 상용화를 위해 다양한 지표를 모니터링 중이다. 크리스 CEO는 "오로라 드라이버는 ‘정보 수집(Crawling), 시행(Walk), 본격 가동(Run)’ 3단계에 따라 상용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오로라 드라이버는 오로라의 자율주행 기술이다. 현재 오로라는 고객에게 구독 형태로 이 기술을 제공하고 있다.
[더구루=김은비 기자] 미국 3대 재생에너지 회사 중 한 곳인 RWE가 미국의 전기차 스타트업 리비안에 재생에너지를 제공한다. 양사는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탄소 배출량을 줄이는 한편 전기차 충전 인프라 구축에 박차를 가한다는 각오다. [유료기사코드] 1일 RWE에 따르면 이 회사는 최근 리비안과 15년 장기 전력 구매 계약(PPA)를 체결했다. RWE는 택사스 서부 지역 놀란과 미첼 카운티에 위치한 챔피언 풍력 발전소에서 127MW 전력을 생산, 2039년까지 리비안 어드벤처 네트워크 고속 충전소에 전력을 공급한다. 2008년 건설된 챔피언 풍력 발전소는 대대적인 업그레이드를 진행 중이다. RWE는 최첨단 터빈과 블레이드를 교체해 내년 중반부터 본격 가동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향후 리비안에 더욱 원활하게 양질의 전력을 공급할 것으로 예상된다. 리비안은 현재 미국 주요 고속도로 및 일반 도로 약 600곳에 3500개가 넘는 고속 충전기를 설치했다. 그간 리비안은 자사 2.8메가와트(MW) 풍력 터빈으로 전기차 제조 공장의 전력을 공급해 왔다.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에 따른 세제 감면 등 각종 혜택을 받을 수 있어서다. 특히 이번 계약을 맺은 배경에
[더구루=김은비 기자] 기아가 콜롬비아 톨리마 지역 농촌 공립학교에 재학 중인 아동들을 위해 1000대 가량의 컴퓨터를 기부하며 교육 지원에 나섰다. 현지 학생들의 디지털 격차를 줄이고, 지역 사회의 교육 환경을 개선하기 위함이다. 기아가 사회적 책임(CSR) 활동을 강화하며 브랜드 이미지 제고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1일 기아 콜롬비아판매법인에 따르면 이 회사는 톨리마 주 교육청과 협력해 농촌 공립학교 아동들에게 총 1015대의 컴퓨터를 지원했다. 이번 지원은 교육 자원이 부족한 농촌 지역의 아동들이 디지털 학습 환경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진행됐다. 지역 간 디지털 격차를 해소하고 보다 나은 학습 기회를 제공하도록 돕는다. 이로써 톨리마 주 내 농촌 학생들은 온라인 학습 및 디지털 교육 콘텐츠를 보다 원활히 접할 수 있게 됐다. 특히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디지털 교육 인프라가 필수적으로 자리 잡으면서 기아의 지원은 공공 교육의 질을 높이고 접근성을 강화하는 데 실질적인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기아는 향후 콜롬비아 전역에서 교육과 복지 분야에 대한 사회적 가치를 창출, 브랜드 인지도를 제고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호르헤 네이라(Jor
[더구루=정예린 기자] 호주 반덤핑위원회(Anti-Dumping Commission, ADC)가 중국산 철근에 대한 반덤핑 조사 최종 보고서 제출 기한을 내년으로 연기했다. 이번 조치로 한국을 포함한 대호주 철강 수출 기업들의 전략 계획에 불확실성이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유료기사코드] 18일 호주 반덤핑위원회에 따르면 위원회는 지난 8일(현지시간) 직경 50mm 이하 중국산 열간압연 변형 철근에 대한 반덤핑 조사 최종 보고서 제출 기한을 기존 오는 10월 7일에서 2026년 2월 9일로 연기한다고 발표했다. 이번 연장은 자료 검증 지연과 추가 정보 분석 필요에 따른 것이다. 추가 절차를 거쳐 핵심 사실 진술서(SEF)는 오는 12월 10일까지 공개된다. 공개 후 이해관계자는 20일 이내에 의견을 제출할 수 있으며, 최종 보고서는 호주 산업과학에너지자원부 장관에게 제출된다. 위원회는 호주 철강업체 '인프라빌드(InfraBuild)'의 신청을 계기로 지난 5월 5일 기존 반덤핑 조치에 대한 일몰재심을 개시했다. 인프라빌드는 호주 최대 철강 생산·유통 업체로, 건설용과 산업용 철근을 주로 공급한다. 이번 조사는 2024년 4월 1일부터 2025년 3월 31일까
[더구루=오소영 기자] 말레이시아가 중국만리장성산업공사(CGWIC)와 중거리 지대공 미사일 공급을 검토하고 있다. 말레이시아는 자국 영공 수호를 위해 글로벌 방산 기업들에게게 손을 내밀고 있다. 입찰이 시작되면 LIG넥스원과 CGWIC의 양강 구도가 전망된다. [유료기사코드] 18일 말레이시아 국방부와 디펜스 시큐리티 아시아 등 외신에 따르면 다툭 록만 하킴 알리(Datuk Lokman Hakim Ali) 사무차관은 지난 8일(현지시간)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푸지헝(Fu Zhiheng) 회장을 비롯한 CGWIC 경영진과 만났다. 중거리 지대공 미사일인 'HQ-16(红旗-16·수출형 LY-08)'의 공급과 기술 이전을 포괄적으로 논의했다. 면담 자리에는 말레이시아 컨설팅 회사인 IDC 테크놀로지스(IDC Technologies Sdn Bhd) 임원도 참석해 현지 기업들과의 협력을 검토했다. 말레이시아는 동남아시아에서 네 번째로 많이 국방에 투자하는 국가다. 남중국해 영유권 분쟁으로 긴장이 고조되며 2000년대 이후 군비 지출을 늘렸다. 코트라에 따르면 지난해 전년 대비 약 10.5% 증가한 42억 달러(약 5조8200억원)를 국방 예산으로 책정했다. 전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