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김병용·길소연 기자] LG전자 한국영업본부의 전직 임원들이 판매도급사를 설립, 대표로 재취업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국내 영업 임원급 인사들이 LG전자의 내수가전 판매망을 장악하고 있는 셈이다. 특히 이들은 LG전자 재직 당시 한국영업본부 대부로 꼽히는 최상규 전 사장의 측근으로 분류됐던 인물이다. 지난해 최 전 사장의 퇴임과 무관하지 않다는 분석이 나오는 이유다. ◇전직 한국영업본부 출신 임원 4인방, 판매도급사 설립 6일 유통 및 관련업계에 따르면 LG전자의 가전 판매도급사는 서울과 수도권을 담당하는 서조코퍼레이션과 맨파크를 포함해 지방권역을 총괄하는 피앤비솔류션과 A사 등 총 4곳이다. 판매도급사는 LG전자 협력업체로 판매사원을 교육하고 관리하고 공급하는 역할을 맡고 있다. 직영점을 제외하고 LG 가전 판매 최전선에서 뛰고 있는 인력을 관리하고 있다는 얘기다. 공교롭게도 이들 4사 대표들은 LG전자 한국영업본부에서 임원급으로 재직했다. 이서호 서조 대표는 LG전자 한국영업본부에서 전략수도권담당 업무를 총괄했다. 정한경 맨파크 대표는 LG전자 한국영업본부에서 대표적인 ‘영업통’으로 꼽혔던 인물이다. 부산과 경남지역을 총괄하는 피앤비솔류션의 남
'치킨값 꼼수인상', '올리브유 일감 몰아주기' 등 각종 논란과 구설에 휩싸인 치킨 프랜차이즈업체 제네시스BBQ가 지난 2017년 유통마진 공개·필수납품 항목 최소화 등 상생안을 발표, 환골탈태를 선언했다. 그러나 3년이 지난 지금 상생안 불이행으로 제자리 걸음을 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지난해 윤홍근 회장의 가맹점에 대한 폭언논란이 허위로 최종 판명, 갑질논란 의혹은 벗었지만, 본사의 더딘 상생안 이행에 가맹점주의 불만이 이어지고 있다. 특히 2015년 1월부터 진행해온 bhc와의 물품대금 소송에서 1심에 이어 최근 2심에서도 패소, 브랜드 이미지도 위축됐다. ◇매출도 상생안도 '제자리 걸음'…가맹점 연매출 업계 '2위' 유지 28일 업계에 따르면 제너시스BBQ는 지난 2017년 정부의 가맹사업 정책에 동참하기 위해 유통마진 공개 검토 등 가맹점과의 상생 방안을 추진하기로 했다. 당시 가격인상·철회 과정 중 비난여론이 커지고 공정거래위원회의 불공정 거래행위 현장조사가 이어지자 동행방안을 발표했었다. 당시 내놓은 방안에는 △가맹점과의 동행위원회 설치 △필수품목 최소화·마진공개 등 투명한 정보공개 △가맹점주 주주제도 도입 등 9개 항목이 담겼다. 그러나 가맹점주
[더구루=홍성일 기자] 일본 전자기업 맥셀(Maxell)이 극한 환경에서도 충방전이 가능한 전고체 배터리를 개발했다. 맥셀은 이번 달부터 샘플을 출하하며 상용화에 속도를 낸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중국발 이커머스(C-commerce) 공세가 거세지고 있다. 알리익스프레스(AliExpress), 테무(Temu)에 이어 패스트 패션 플랫폼 '쉬인(Shein)'이 한국 시장에서 폭발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것. 쉬인은 올해 애플리케이션(앱) 다운로드와 웹 트래픽이 동시에 급증하며, 한국 시장에서 영향력을 빠르게 확대하는데 성공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