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길소연·홍성환 기자] 현대백화점그룹이 정지선 회장과 정교선 부회장의 '형제경영' 체제를 더욱 공고히 한다. 정교선 부회장을 다음달 주총서 현대백화점 사내이사로 재선임하기로 했다. 형제경영의 2기 막이 오른 것이다. 형제경영을 바탕으로 향후 10년 내 매출 40조원을 달성하겠다는 그룹의 중장기 목표가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25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현대백화점은 내달 24일 열리는 정기 주주총회에서 정교선 부회장을 사내이사로 재선임하는 안건을 처리할 예정이다. 앞서 정 부회장은 지난 2019년 현대백화점 사내이사에 처음 오른 바 있다. 당시 업계 안팎에서는 두 형제가 모두 등기이사에 이름을 올려 책임경영을 강화하는 동시에 형제경영 체제의 기반을 다진 것으로 풀이했다. 그동안 두 형제는 계열분리보다 각각의 사업 영역을 책임지면서 경영 시너지를 내왔다. 정지선 회장은 현대백화점과 그룹 전반의 경영을 맡고, 정교선 부회장이 홈쇼핑을 중심으로 비(非)백화점 부문을 맡는 식이다. 실제로 정지선 회장과 정교선 부회장은 각각 현대백화점(지분율 17.1%)과 현대그린푸드(지분율 23.8%)의 최대 주주로 있다. 이들 형제는 지배구조를 단순화하기 위해 1500
[더구루=홍성환 기자] 사우디아라비아 수협력공사(SWPC)가 추진하는 얀부 4단계 담수화 플랜트(IWP) 사업이 자금 조달에 성공했다. KDB산업은행이 이 사업의 프로젝트 파이낸싱(PF)에 참여한다. 국내 자본이 투입되는 만큼 입찰에 참여 중인 두산중공업의 수주가 유력한 상황이다. 26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얀부 4단계 IWP 사업을 수행하는 프랑스 엔지-사우디 모와 컨소시엄은 이르면 내달 초 대주단과 PF 계약을 맺을 예정이다. 산업은행과 영국 스탠다드차타드은행, 일본 미쓰비시UFJ파이낸셜그룹, 사우디 내셔널커머셜뱅크(NCB), 리야드은행 등이 참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애초 지난 8월 금융 조달을 마무리할 예정이었지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코로나19) 등의 영향으로 지연됐다. PF 협상이 마무리됨에 따라 사업이 본격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 사업은 사우디 헤자즈 지방에 있는 내륙도시 메디나에 담수화 플랜트를 건설하는 공사다. 총 사업비는 8억5000만 달러(약 9400억원)다. 공사가 끝나면 하루 4억5000만L의 담수를 메카와 메디나 지방에 식수로 공급하게 된다. 이르면 2022년 상업 운전을 시작할 예정이다. 산업은행이 자금 조달에 참여하면서 두산중공
[더구루=오소영 기자] 중국 지리그룹의 오너가가 세운 로보틱스 기업 '쑤저우원스타로보틱스(苏州一星机器人, 이하 원스타)'가 해산한다. 직원들을 해고하고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서 흔적을 지우고 있다. 테슬라와 보스턴다이내믹스를 매섭게 추격하겠다는 당찬 포부로 창립 3개월 만에 첫 로봇을 공개했으나 갑작스레 해체 수순에 돌입, 그 배경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더구루=김은비 기자] 스텔란티스(Stellantis)가 중국 자율주행 기술기업 포니닷에이아이(Pony.ai)와 손잡고 유럽 시장에서 레벨4(완전 자율주행) 전기밴 상용화에 나선다. 양사는 내년부터 유럽 주요 도시에서 실증 주행을 시작, 밴 모델을 중심으로 공동 개발에 착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