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길소연 기자] 유럽 최대 조선업체 이탈리아 핀칸티에리(Fincantieri)가 특수선 분야 경쟁력 강화를 위해 이탈리아 동해안 안코나(Ancona) 항의 운영 방식을 재편하고, 대규모 조선소 현대화에 나선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인도의 러시아산 원유 수입 기피로 유조선 발주 수요가 다시 되살아날 전망이다. 인도의 탈러시아 행보로 미국산 원유를 대량 수입하면서 교역 항로가 변경돼 초대형 원유운반선(VLCC)의 필요성이 다시 부각되고 있다. 원유 수송이 장거리일수록 한꺼번에 많은 양을 실어 나르는 것이 경제적이 때문에 적재용량이 큰 유조선이 선호된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폴란드 국방부가 8조원 규모의 '오르카(오르카(Orka)' 잠수함 사업 권고안을 완료했다. 폴란드 정부는 권고안을 바탕으로 승인 절차를 거쳐 사업을 확정한다. 폴란드가 신형 잠수함 사업의 최종 사업자 선정에 한 걸음 더 다가섰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이하 한화에어로)가 노르웨이 차세대 다연장로켓 도입 사업에서 '폴 포지션'(pole position, 레이스 출발 선상 맨 앞자리)에 섰다. 한화에어로가 노르웨이에 납품한 K9 자주포의 뛰어난 운용성능과 신뢰성을 기반으로 K239 천무 다연장로켓(MLRS)도 높은 평가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한화에어로는 K9 자주포에 이어 천무도 수출해 노르웨이군의 전력강화에 기여하고, 노르웨이를 넘어 북유럽 시장에서 입지를 한층 더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미국과 캐나다, 핀란드가 쇄빙선 건조 협력에 속도를 낸다. 3국은 쇄빙선과 북극 관련 공동 개발에 상호 협력해 각국 조선업을 활성화하고, 북극 해운 경쟁력을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한∙미 관세협상 타결로 마스가(MASGA) 프로젝트가 급물살을 타고 있는 가운데 HD현대와 한화오션 사업장을 방문한 대릴 커들(Darly Caudle) 미 해군참모총장이 한국과 협정 체결시 즉각적인 협력 개시를 주문했다. 중국의 해군 굴기에 대응하기 위한 한미 조선 협력이 본격화된다. 21일 미 군사전문매체 스타즈 앤드 스트라이프스(STARS AND STRIPES)에 따르면 대릴 커들 참모총장은 17일(현지시간) 일본 도쿄 신산노 호텔에서 열린 언론 간담회에서 "한국과의 파트너십을 구축해 중국과 미국의 조선 역량 격차를 해소하기를 희망한다"고 밝혔다. 이어 "정책 결정자에게 한국과 몇 가지 사항을 협의하고 협정을 체결하면 즉시 사업을 시작해야 한다는 의견을 개진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커들 총장은 지난 15일에 HD현대중공업과 한화오션을 방문해 조선 기술 역량을 확인하고, 마스가(MASGA)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그는 HD현대중공업에서는 상선 건조 현장을 둘러 본 후 세계 최정상급 이지스 구축함 등 함정을 건조하는 HD현대중공업 함정·중형선사업부를 방문했다. 이어 한화오션 거제사업장을 찾아 사업장 내 전시실을 시작으로 조립공장, 특수
[더구루=길소연 기자]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이하 한화에어로)가 아랍에미리트(UAE) 국영 방산기업 EDGE그룹과 방산 협력을 확대한다. 지난 2월부터 각국의 방위력 증진이라는 동일한 목표를 갖고 전략적 파트너십을 논의해온 양사는 방위·우주·조선해양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 고도화에 나선다. 한화에어로와 EDGE의 협력은 중동 방산 수요 증가에 대응해 미래 전장(무인전) 대응력과 글로벌 방산 수출 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전망이다. 21일 방위산업 전문매체 디펜스미러(DefenseMirror)와 유럽 시큐리티 앤 디펜스(European Security & Defence) 등 외신에 따르면 한화에어로는 20일(현지시간) UAE 두바이에서 열린 '2025 두바이 에어쇼'에서 EDGE 그룹과 전략적 방위 협력 확대를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이번 MOU에 따라 양사는 UAE를 위한 통합 다층 방공 시스템 협력 방안을 모색하기로 예비 합의했으며 △장거리 정밀 타격 시스템 △무인 플랫폼 △방위 인공지능(AI) 기술 분야 협력 기회도 검토한다. 한화에어로의 기술 포트폴리오와 EDGE의 확장 중인 산업 생태계를 결합한 다양한 협력 프로그램도 모색한다. 논의
[더구루=길소연 기자] 우리나라와 남아프리카공화국(이하 남아공)이 방산분야 상호 성장과 공동 번영을 위한 미래지향적 협력의 새 장을 열었다. 양국은 방산 협력을 확장해 나가자는데 뜻을 모으고 협력 채널을 구축했다. 아프리카 방산시장 진출을 위한 교두보를 마련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20일 아프리카 방산매체 디펜스웹(Defenceweb)에 따르면 방위사업청은 최근 남아공 국영 방산기업인 암스코(Armscor)와 양국 방위산업 및 국방기술 협력을 공식적으로 약속하는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이날 체결식에는 김태곤 방사청 국제협력관과 솔롬지 음바다(Solomzi Mbada) 암스코 최고경영자(CEO)가 참석했다. 양국은 이번 MOU로 공동 연구·개발, 공동 투자, 군수물자 생산 등 실질적 협력 기반을 마련했다. 5년간 유효한 이번 MOU에는 양국 방위산업 협력과 국방 연구개발(R&D) 강화 방안이 담겨있다. 양측은 상호주의 원칙에 따라 방산 물자, 지식 및 기술의 생산과 교류를 중점으로 논의할 예정이다. 무기체계 획득과 공동 국방 연구 사업도 추진한다. 또한 세부내용 이행을 위해 양국 전문가로 구성된 방산협력 공동위원회를 구성한다. 암스코는 이번 MOU
[더구루=길소연 기자]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이하 한화에어로)의 차세대 엔진이 미국 방산기업 록히드마틴의 스텔스 협동 전투 무인기(CCA) '벡티스(Vectis)'에 탑재될 가능성이 제기됐다. 20일 업계에 따르면 한화에어로의 터보팬 엔진이 록히드 마틴의 벡티스 엔진으로 거론되고 있다. 록히드마틴의 비밀 연구소 스컹크 웍스가 설계한 CCA 벡티스의 엔진 교체 후보로 부상한 것이다. 벡티스는 F-35와 같은 유인 전투기와 팀을 이뤄 정밀 타격, 전자전, 정보·감시·정찰(ISR) 임무 등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고성능 스텔스기다. 록히드 마틴은 2027년 윌리엄스 인터내셔널 FJ44-4A 터보팬 엔진을 장착한 벡티스의 시험 비행을 계획 중이나 벡터스의 생산 가용성을 높이기 윌리엄스 인터내셔널의 엔진 외 교체 후보를 검토 중이다. 윌리엄스 인터네셔널의 엔진은 이미 여러 경쟁 CCA 기종과 다수의 소형 상업용·개인용 제트기에 채택된 인기 동력 장치다. 스티브 시히(Steve Sheehy) 록히드 마틴 항공 사업부 국제 사업 개발 부사장은 최근 기자간담회에서 "록히드 마틴은 생산 가용성이 더 높은 대안을 검토하고 있다"며 "이는 무인 항공기 시스템(UAS)과 CCA용으로 특
[더구루=길소연 기자] 일본 종합 화학기업 스미토모화학이 리튬 이온 배터리 주요 부품인 분리막 자국 생산을 중단하고, 한국 자회사로 생산거점을 통합한다. 전기차(EV) 수요 둔화와 중국 업체의 급성장으로 경쟁력이 약해지자 사업을 재편한다는 전략이다. 스미토모화학은 분리막 대신 전고체 배터리에 투자해 공급망 주도권 확보하고, 일본 정부의 배터리 자립 전략에 적극 대응한다는 방침이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노르웨이 에너지 기업 에퀴노르(Equinor)가 발주할 신조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의 용선(선박대여) 선주사가 5개사로 압축됐다. 에퀴노르의 최종 선주사 선정에 따라 한화오션의 신조 건조 계약이 빨라진다. 19일 노르웨이 해운전문지 '트레이드윈즈(Trade Winds)'에 따르면 에퀴노르는 LNG 운반선 신조 입찰에 참여한 선주사들의 최종 후보 명단을 공개했다. 공개된 명단을 보면 △싱가포르 BW LNG △노르웨이 크누센 OAS 해운(Knutsen OAS Shipping) △그리스 마란 가스 마리타임(Maran Gas Maritime) △일본 NYK라인(Nippon Yusen Kaisha) △영국 씨피크 마리타임(Seapeak Maritime) 등이 경쟁하고 있다. 에퀴노르는 후보 선주사들에게 LNG 운반선 신조·용선 관련 입찰참가의향서(EOI)를 접수 받아 최종 선주사를 선정할 예정이다. 입찰 과정은 에퀴노르가 신조 스펙을 설계하고, 공개하면 해운사들이 정기용선계약(타임 차터)를 제시하는 형태로 진행된다. 후보 해운사들은 한화오션이 건조한 선박을 운용한 이력이 있다. 한화오션은 과거 씨피크를 제외한 해운사에게 신조선을 공급한 바
[더구루=길소연 기자] 중국계 글로벌 이차전지 제조사 에스볼트(이하 SVOLT)가 내년에 1세대 반고체 배터리 양산에 착수한다. 올해 4분기에 140Ah 용량의 1세대 반고체 배터리 시험 생산을 시작한 SVOLT는 유럽 전기차 브랜드의 주문을 확보해 대량 생산에 나선다. SVOLT는 반고체 배터리 기술 상용화와 공급망 확대를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의 입지를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더구루=정예린 기자] 중국 창신메모리테크놀로지(CXMT)와 양쯔메모리(YMTC)의 반도체 특허 출원이 지난 5년간 큰 폭으로 증가하며 기술 축적 속도를 빠르게 높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이 미국의 대중 반도체 제재 속에서도 기술 독립을 가속화하며 한국 기업들을 포함한 글로벌 메모리 시장의 경쟁 구도에 변화가 있을지 주목된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폴란드 재무부 산하 산업개발청(Agencja Rozwoju Przemysłu S.A, 이하 ARP)이 LG에너지솔루션 공장을 방문했다. 에너지저장장치(ESS)용과 46시리즈 배터리 투자 계획을 살피고 향후 협력을 모색했다. 전기차 캐즘에도 불구하고 현지 투자를 지속하고 고용을 창출하는 LG에너지솔루션의 행보에 기대를 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