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길소연 기자] 양창호 한국해운협회 상근 부회장(사진)이 해운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제도를 정착시키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선사와 화주의 애로사항을 살펴 양자의 소통을 강화하겠다는 방침이다. 최근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환경과 안전사회적 기여 부문도 살피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양창호 부회장은 21일 서울 여의도해운협회에서 한국해양기자협회 소속 기자들과 간담회를 열고 올해 경영 목표를 이 같이 밝혔다. 그는 우선 국내 해운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제도 정착에 주력하겠다고 말했다. 해운 업계의 불황에 대비해 유동성을 확보하는 등 위기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고, 해운 경기·기술을 정밀하게 파악하기 위해 산학연 체제를 구축하겠다는 입장이다. 톤세제 일몰 연장과 선사간 공동행위 등 당면한 현안도 해결하겠다고 밝혔다. 또 대기업의 2자물류 자회사의 해운업 진출을 막는 등 해운 시장의 질서 확립에 노력하겠다는 설명이다. 특히 선사와 화주의 애로사항을 살펴 양자의 소통을 강화하는 중간다리 역할을 맡겠다는 방침이다. 양 부회장은 선사·화주의 애로사항을 정기적으로 조사해 이를 해결하고 국회 정부의 정책 담당자들과 정기적으로 소통해 입법정책에 선제적으로 대
[더구루=길소연 기자] 세계 최대 육·해상 풍력 터빈 제조사인 지멘스 가메사(Siemens Gamesa)가 미국 뉴욕에 해상 풍력 터빈 나셀 시설을 설립하고 해상풍력 사업 경쟁력을 강화한다. [유료기사코드] 18일 업계에 따르면 지멘스 가메사는 뉴욕 당국의 세 번째 해상 풍력 터빈으로 선택됨에 따라 뉴욕주에 주요 해상 나셀 제조 시설을 건설할 계획이다. 나셀 제조 시설로 420개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간접 일자리의 증가를 지원한다. 이로 인해 이 지역에 약 5억 달러(6635억원)의 투자 효과를 나타낸다. 시설은 미국 뉴욕주에 코이만스(Coeymans) 항구에 위치한다. 지멘스 가메사는 또 철강 부품 제작, 베어링 및 복합 부품을 포함한 몇 가지 새로운 부품 공급업체 시설을 현지화해 지속 가능한 지역 공급망 에코시스템의 추가 개발을 입증한다. 마크 배커 지멘스 가메사 해상 비즈니스 최고경영자(CEO)는 "뉴욕에서 제안된 이 시설의 발표는 대규모 미국 해상 풍력 시장을 주도하려는 우리의 열망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는 것"이라고 말했다. 지멘스 가메사는 독일 지멘스의 해상 풍력부문과 육상풍력의 강점을 지닌 스페인 가메사가 합병해 설립됐다. 양사의 장점을 합쳐 다양
[더구루=길소연 기자] 유럽 최대 항공기 제조사인 에어버스가 수소엔진 시제품을 위해 전기 모터 전문업체 '니덱 리로이-소머'와 협력한다. [유료기사코드] 18일 업계에 따르면 에어버스는 수소 전기 엔진을 생산할 수 있도록 일본 소유의 프랑스 전기 모터 전문업체인 니덱 리로이-소머(Nidec Leroy-Somer)와 함께 하기로 결정했다. 니덱 리로이-소머는 엔진 프로토타입 자체를 개발하는 것 외에 항공기 추진 시스템의 아키텍처를 전체적으로 최적화하기 위한 기술과 혁신을 모색하는 임무도 받았다. 프로젝트 관리, 설계, 엔지니어링 및 프로토타이핑을 포함한 프로세스는 프랑스 앙굴렘에 있는 니덱 리로이-소머 본사에서 진행된다. 에어버스는 ZEROe 프로젝트를 통해 2035년까지 상용 서비스를 준비할 수 있도록 수소로 추진되는 무공해 항공기를 보유하려 한다. 장미셀 콘다민(Jean-Michel Condamin) 니덱 리로이-소머 상용·산업용 모터 부문 사장은 "고효율 전기 모터에 대한 전문 지식을 제공하고 혁신적인 연구개발(R&D) 팀과 솔루션을 통해 이 야심찬 친환경 상용 항공 프로젝트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니덱 리로이-소머는 전기 모터를 제조하는 프
[더구루=길소연 기자] 일본 전력회사 제라(JERA)에너지가 대만해협의 지정학적 리스크 확대를 고려해 2GW급의 해상풍력발전단지 개발사업에서 손을 뗀다는 보도가 나왔다. 18일 업계에 따르면 제라는 건설 비용과 대만해협의 긴박한 상황을 고려해 하이딩(Haiding) 풍력발전 프로젝트 지분 44%를 청산할 예정이다. 이는 니혼게이자이신문에 관련 내용이 게재되면서 알려졌다. 이미 지난 13일(현지시간) 일부 프랑스 기업인들이 제라의 하이딩 투자를 인수하겠다는 뜻을 밝혔고, 대만 경제부 에너지국도 후속 조치를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현재 제라는 대만에서 총 3건의 해상풍력발전단지 개발사업을 추진 중이다. 이중 대만에서 두 개의 풍력발전소에 투자하고, 하이딩 프로젝트 투자만 철수한다. 하이딩 해상 풍력 발전 프로젝트의 총 잠재적 설치 용량은 2GW(10억 와트)이다. 원래 제라와 코리오 제너레이션(Corio Generation) 간의 합작 투자로 계획됐으며 코리오가 약 56%의 지분을 보유하고 제라가 44%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제라가 대만 시장에서 철수한다는 소문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작년 6월 제라와 켈리오(Kelio)는 하이딩 프로젝트를 공동으로 시작했지
[더구루=길소연 기자] 중형 조선소인 대한조선이 스위스 해운회사로부터 수에즈막스(suezmaxes) 유조선을 수주한다. 대한조선의 강점인 중형 선박 건조에 집중해 세계적 경쟁력을 갖는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대한조선은 스위스 어드밴티즈 탱커즈(이하 어드밴티즈)와 15만8000DWT급 선박 3척을 건조하기 위한 건조 의향서(LOI)에 서명했다. 선박은 LNG 이중 연료를 사용하고 스크러버가 장착된다. 신조선가는 척당 7900만 달러(약 1006억원)이며 3척은 4억7400만 달러(약 6043억원)이다. 대한조선에서 건조해 오는 2025년 인도할 예정이다. 투그룰 톡고즈(Togrul Togkoz) 어드밴티즈 최고경영자(CEO)는 "15만8000DWT급 선박 3척을 건조하기 위한 의향서(LOI)에 서명했다"며 "관련 조선소와 기술적인 논의를 거쳐 최종 계약이 체결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번 LOI 소식은 어드밴티즈가 대우조선해양으로부터 29만9600DWT급 신조선 Advantage Vital(2023년 건조)을 인수한 지 불과 며칠 만에 나온 것이다. 이번 거래의 성사 여부는 선수금환급보증(RG) 발급에 달렸다. 선박 발주처는 선수금을 떼일 경우를 대비해 조선
[더구루=길소연 기자] 글로벌 도심항공교통(UAM) 기체 제조사 조비 에비에이션이 전기 수직이착륙 비행체(eVTOL) 최종 조립에 착수했다. 기체 양산에 속도가 붙은 만큼 SK텔레콤과 협력하고 있는 한국형 도심항공교통(K-UAM) 상용화에 청신호가 커졌다. [유료기사코드] 조비 에비에이션은 14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주 마리나에 있는 파일럿 제조 시설에서 공개된 설계에 따라 eVTOL 최종조립 단계에 돌입한다고 밝혔다. 조비는 이번 작업을 통해 기체의 주요 항공 구조물인 날개, 꼬리, 동체를 접합하고 파일럿 생산 라인에 배선, 전자 장치, 작동 및 추진 시스템을 설치하는 과정을 시작한다. 이 과정에서 조비의 품질 관리 시스템에는 항공기의 모든 부품 추적, 문서화, 엔지니어링 도면의 구성 관리, 제작 중의 환경 조건, 제조 기술자가 취한 조치가 포한된다. 디디에 파파도풀로스 조비 OEM 책임자는 "첫 번째 회사 적합 항공기의 최종 조립을 시작하는 건 조비의 중요한 성과이자 더 넓은 eVTOL 산업의 랜드마크"라며 "형식 인증과 후속 생산 인증에 대비해 품질 관리 시스템을 실행할 수 있게 해준다"고 말했다. 조비는 1회 충전으로 최대 사거리가 150마일,
[더구루=길소연 기자] 두산밥캣이 농업·조경용 장비(GME·Grounds Maintenance Equipment) 제품 경쟁력 강화에 전력을 기울이고 있다. GEM용 자율주행 소프트웨어 기업 '그린지'(Greenzie)에 투자한 데 이어 소프트웨어 회사와 협력을 통해 북미 농기계 시장 공략 확대에 나섰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두산밥캣은 최근 미국 농업 기술 소프트웨어 회사인 애그토노미(Agtonomy)와 파트너십을 맺고 전기화, 자율 운영, 디지털 분야에서 협력한다. 양사는 생산성과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밥캣 장비를 향상시키고 새롭고 혁신적인 방법을 만들기 위해 협력할 것이다. 전력과 자율 운영 솔루션을 개발해 농업의 시급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 집중한다. 조엘 허니맨(Joel Honeyman) 두산밥캣 글로벌 혁신 부사장은 "애그토노미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우리는 고객이 농업 운영에서 생산성과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찾고 있다"며 "밥캣은 농업 혁신 발전을 위한 솔루션 개발에 주력한다"고 말했다. 미래에셋벤처투자가 투자한 애그토노미는 샌프란시스코 남부와 소노마 카운티에 기반을 둔 하이브리드 자율, 원격 안내 서비스 플랫폼이다. 지역 농업, 토지 유지
[더구루=길소연 기자] 티웨이항공이 일본 소도시에 전세편을 띄워 여객 수요 유치에 나선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티웨이항공은 이달과 내달 아사히카와와 가고시마에 전세편을 운항한다. 사용 항공기는 189석 규모의 보잉 737-800이다. 먼저 아사히카와 노선은 인천국제공항에서 오전 8시에 출발해 10시40분에 도착한다. 귀국편은 아사히카와에서 오전 11시 40분에 출발해 오후 3시 10분에 도착한다. 운항 일수는 오는 16, 19, 22, 25, 28일 등 총 5회이다. 가고시마는 인천국제공항은 오전 9시 35분에 출발해 가고시마공항에 오전 10시55분에 도착한다. 귀국편은 가고시마에서 오후 12시 05분에 출발해 인천국제공항에 13시 35분에 도착한다. 운항일은 3월 2, 5, 8, 11, 14, 17, 20, 23일이다. 3/26, 29, 4/1도 운행 예정이나 아직 미확정이다. 아사히카와는 훗카이도의 내륙 분지에 위치해 일본에서 가장 추운 곳으로 유명하다. 산으로 둘러싸인 분지에 있다 보니 아라시야마 전망대에 올라가면 눈 덮인 산의 비호를 받는 듯한 도시의 모습을 감상할 수 있다. 또, 유명한 사케를 생산하는 양조장이 있어 양조장 투어도 가능하다. 일본의
[더구루=길소연 기자] 대한항공이 일본 하늘길을 늘린다. 코로나19 확산 이후 중단했던 도쿄 노선 운항을 재개해 국제선 네트워크를 확대한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대한항공은 내달 26일부터 '인천~하네다' 노선 운항을 재개한다. 운항 스케줄은 인천국제공항에서 오후 20시30분에 출발해 도쿄 하네다 공항이 22시50분에 도착한다. 귀국편은 도쿄 하네다 국제공항에서 오전 2시에 출발해 4시 35분에 도착한다. 운항 기종은 보잉 737-900 기종이다. 인천~하네다 노선은 도쿄와 서울의 심야, 이른 아침 시간을 활용해 먹거리와 쇼핑을 즐기는 여행으로 인기를 끌었다. 그러나 대한항공은 코로나19가 확산한 2020년 초부터 일본 노선의 운항을 중단했다. 지난해 10월 일본 정부가 외국인 관광객의 자유여행을 허용한 이후 주요 도시와 핵심 관광지만 운항을 재개했다. 인천~하네다 노선도 운항을 중단하다 하계시즌에 운항을 재개한다. 김포~하네다 노선은 작년 6월 재개했다. 내달 중순에는 '김포~오사카' 노선도 매일 2회씩 운항할 계획이다. 해당 노선엔 보잉 737-8 맥스 기종을 투입한다. 대한항공은 "일본 하네다 노선은 코로나19 발발 이후엔 운항을 안하다 이번에 운항을
[더구루=길소연 기자] 숄츠(Olaf Scholz) 독일 총리의 대(對) 우크라이나 전차 공급 결정 지연에 따라 한국이 유럽의 군비 증강의 대안으로 부상 중이다. 이미 현대로템과 한화디펜스가 폴란드로부터 K2 주력전차 1000대, K9 자주포 672대 등을 수주하면서 선택 옵션으로 유력하게 떠오르고 있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한국이 폴란드 등 유럽의 군비 증강의 대안으로 물망에 올랐다. 독일이 유럽 내 표준 주력 전차인 레오파드(Leopard) 2 전차에 대한 우크라이나 공급 망설임으로 고객 신뢰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자 유럽 일부 국가에서는 국방 조달을 위한 다른 옵션을 물색 중이기 때문이다. 대안으로 떠오른 한국 전차는 독일 회사인 라인메탈(Rheinmetall)이 제공할 수 있는 것보다 훨씬 빠르고 경쟁력 있는 가격으로 제공돼 후보로 거론되고 있다. 동시에 자체 방위 산업을 강화하기 위한 기술 이전에 대한 요구도 충족되고 있다. 폴란드는 지난해 한국과 K2 전차 980대와 K9 자주포 600여문, FA-50 경공격기 48대 계약을 체결했다. 또 K239 다연장로켓 천무 288문도 구매했다. 폴란드는 무기 구매 외 올해 국방비 지출이 GDP의 4%에 이른
[더구루=길소연 기자] 불가리아가 서구권 무기 구매를 통해 군 현대화를 지속 추진하는 가운데 한국의 무기 수출 기회가 열릴 것으로 기대된다. 11일 코트라 불가리아 소피아무역관이 낸 보고서 '불가리아 방위산업 현대화 현황과 전망'에 따르면 불가리아는 2004년 나토(NATO, 북대서양기구)에 정식으로 가입한 이래로, 무기 체계 현대화를 추진하고 있다. 불가리아 육군은 정부 수립 지연으로 인해 차세대 장비 도입 사업이 일부 지연되고 있다. 그러나 현대화 추진으로 전차 개량과 장갑차 구매 등을 통해 새로운 무기 체계를 받아들인다. 실제 불가리아 군은 2032년까지 군의 현대화를 최우선 목표로 삼고, 32억 유로(약 4조원)의 예산을 배정해 다양한 무기조달을 추진할 예정이다. 불가리아 육군은 기계화 여단용 장갑차 구매를 계획 중이다. 또 155mm 자주포를 구매해 포병 지원 능력을 강화할 예정이다. 기동력이 우수하고 자동장전 시스템을 갖춘 자주포를 조달할 계획이다. 기계화 보병용 대공 장비 구매, 대공 방어 체계 구축, UAV 체계 구축 등도 추진할 예정이다. 불가리아 해군은 디젤 추진 잠수함과 미사일 함정 획득을 추진하면서 전투력 증강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공
[더구루=길소연 기자] 한국조선해양의 사우디 아라비아 합작사 IMI(International Maritime Industries)가 아람코와 손잡고 현지 조선해양 인력 육성에 나선다. 12일 업계에 따르면 IMI는 아람코의 'IKTVA(In-Kingdom Total Value Add 2023) 프로그램'에서 최대 3억4000만 달러(약4300억원) 규모에 달하는 10건의 계약을 체결했다. IKTVA프로그램은 아람코가 사우디아라비아 국내 공급업체의 부가가치를 높이고 국내 산업 발전을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지난 2015년 출범됐다. ‘사우디 비전 2030’과 맥을 같이 하는 IKTVA는 사우디 아람코의 전략적 필수 과제이자 사우디아라비아 산업 기반의 가치를 높이는 프로그램이다. IMI는 현지 조선해양 인력 육성해 글로벌 경쟁력을 높이고자 한다. IMI는 성명을 통해 "용접 전문 ESAB, 산업용·의료용·특수 가스 걸프 크라이오(Gulf Cryo), 유로블래스트(Euroblast), 엑셀레온(Acceleron), 기계 및 전자 장비를 위한 최고의 수리업체 일렉터로메치(ElectroMech) 등과 체결한 6개 계약은 조선, 선박 수리 및 해양 공학을 포함한 다양한
[더구루=홍성일 기자] 세계 최대 전자상거래 기업 아마존(Amazon)이 로봇 기술과 인공지능(AI)을 결합해 미국 스마트 물류 시스템 표준을 정립하고 있다. 물류 효율성이 기업 경쟁력의 핵심으로 떠오르면서, 아마존의 행보가 업계 전반에 걸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평가다. [유료기사코드] 25일 코트라 로스앤젤레스무역관 보고서에 따르면 아마존의 스마트 물류 시스템은 미국 연방정부가 제정한 '인프라 투자 및 일자리 법(IIJA, Infrastructure Investment and Jobs Act)' 등과 맞물려 미국 물류 산업 전반의 지능형 전환을 이끌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아마존은 지난 2012년 로봇 기술 스타트업 '키바 시스템(Kiva Systems)' 인수를 기점으로 물류센터 자동화를 본격화했다. 현재는 △프로테우스(Proteus) △카디널(Cardinal) △스패로(Sparrow) 등 다양한 첨단 로봇과 AI 기반 소프트웨어를 통해 물류 처리 속도와 정확성, 비용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있다. 2022년 공개된 프로테우스는 사람과 동일한 공간에서 충돌 없이 자율주행하며 카트를 운반하는 완전 협업형 로봇이다. 카디널은 머신러닝 기반 비전 시스템
[더구루=홍성일 기자] 대만 전자제품 위탁생산(EMS) 기업 위스트론(Wistron)이 엔비디아(NVIDIA)의 인공지능(AI) 서버 생산을 위해 미국 제조 시설 건설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엔비디아는 위스트론, 폭스콘 등과 손잡고 미국 AI 인프라 구축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유료기사코드] 24일 업계에 따르면 제프 린(Jeff Lin) 위스트론 최고경영자(CEO)는 최근 개최된 연례 주주총회에서 "내년 중 미국 텍사스주 댈러스 공장을 준공하고 블랙웰(Blackwell) 아키텍처 기반 AI 서버 생산을 시작할 것"이라고 밝혔다. 위스트론 댈러스 공장은 엔비디아의 대대적인 미국 AI 인프라 구축 사업에 따라 건설된다. 엔비디아는 지난달 최대 5000억 달러(약 690조원)를 미국 AI 인프라 구축에 투자할 것이라고 밝혔다. 엔비디아는 AI 인프라 구축 사업에 필요한 슈퍼컴퓨터 등을 미국에서 생산하겠다고 밝히며 폭스콘, 위스트론과 협력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에 따라 폭스콘도 텍사스주 휴스턴에 새로운 공장을 건설하고 있다. 폭스콘 휴스턴 공장에서는 반도체 칩 테스트, 모듈 통합 작업 등이 진행된다. 위스트론은 엔비디아 외에 미국 내 추가 고객사 확보에도 나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