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길소연 기자] 에스토니아 정부가 국방 예산에 12억 유로(약 1조7500억원)를 투자한다. 에스토니아는 오는 2025년까지 작전 중거리 대공 방어 능력을 강화한다. 17일 업계에 따르면 에스토니아 국방부는 2024년부터 2027년까지 국방 예산의 20% 이상에 해당하는 12억 유로를 탄약에 투자한다. 이는 우리나라 연간 국방예산의 약 20%에 해당하는 금액이다. 한노 페브쿠르(Hanno Pevkur) 에스토니아 국방부 장관은 "에스토니아의 국방비를 GDP의 3 %로 늘릴 계획"이라며 "12억 유로 이상의 무기와 장비를 구매할 수 있는 2024-2027년 에스토니아 군대 개발 계획을 승인했다"고 밝혔다. 에스토니아는 군대를 대대적으로 재무장해 2024-2027년 국방비 지출 비중을 이전 예산인 국내 총생산의 2.85%에서 3%로 늘릴 계획이다. 이는 발트해 3국(에스토니아, 라트비아, 리투아니아)가 중 역대 최대 규모의 국방 투자이다. 국방부는 향후 10년간 약 145억 달러(약 19조원)를 지출할 계획이다. 2023-2026년 군사비의 재정 배분은 예산의 54%가 조달에 사용될 전망이다. 올해 에스토나아의 주요 조달 분야는 포병 및 장거리 무기, 방
[더구루=길소연 기자] 포스코 베트남 형강 생산법인 포스코 야마토 비나가 베트남 철강업계 최초로 환경 관련 국제 인증 획득했다. 환경 규제에 엄격한 유럽시장 수출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는 평가다. 17일 업계에 따르면 스웨덴 민관협력 환경연구소 산하 인터내셔널EPD(International EPD)는 최근 포스코 야마토 비나에 국제환경성적표지인증(EPD) 인증을 부여했다.. 미국 글로벌 안전환경기관 UL로부터도 EPD를 획득한지 두 달 만에 국제 인증을 추가 획득함으로써 공식적으로 환경 성능을 인정받았다. 포스코 야마토 비나가 국제 EPD 인증을 획득한 제품은 열연 부문이다. 지난 6월부터 H형강, U형강, V형강 등 3개 제품의 EPD 인증을 받았다. EPD는 제품생산이 환경에 미치는 정보를 소비자에 정확하게 제공해 친환경적 소비를 유도하고자 도입된 제도다. 원료채취·생산·유통·사용·폐기 등 제품 수명의 모든 과정에 대한 환경영향을 계량적으로 표시한다. 포스코 야마토 비나는 거래하는 철강제품의 환경영향을 측정해 저감하고 이를 투명하게 보고해 취득했다. 업계는 포스코 야마토 비나가 EPD를 취득함으로써 국제적으로 공신력도 확보했다 평가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포스코가 투자한 호주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주의 필바라 지역 철광석 개발 사업이 순항하고 있다. 온슬로우 철광석 프로젝트를 위한 중량 화물선이 도착해 부두 인프라를 구축한다. 17일 업계에 따르면 호주 광산회사 미네랄 리소스의 온슬로우 철광석 프로젝트를 위해 빅리프트의 해상 화물 중량물 운반선 '해피 도버'(Happy Dover, 2011년 건조)가 서호주 애쉬버튼 항에 도착했다. 해피 도버는 900t의 중량물을 적재할 수 있는 선박이다. 미네랄 리소스에 인도된 선박의 화물에는 20m 높이의 접안 돌핀, 두 개의 모듈로 운반되는 하역 부두, 컨베이어 및 환승 스테이션과 같은 육상 항만 인프라가 포함됐다. 선박은 450t 크레인 2대로 화물을 직접 들어 올려 말뚝 위에 올려놓을 수 있도록 제작됐다. 부두 모듈의 무게는 150t이다. 중량 화물선으로 부두 인프라를 설치한다. 대런 하디(Darren Hardy) 미네랄 리소스 온슬로우 제철 프로젝트 디렉터는 "애쉬버튼 항에 도착한 해상 화물선이 프로젝트의 중요한 이정표"라며 "중량 화물선의 도착으로 부두 인프라를 설치할 수 있게 됐다"라고 말했다. 부두 인프라 공사는 해안에서 40km 떨어진 곳
[더구루=길소연 기자] 현대자동차그룹의 미국 보스턴다이내믹스 사족보행 로봇 '스폿'(Spot)이 브라질에 상륙한다. 로봇개의 판로 확대로 현대차그룹의 로보틱스 사업에 탄력이 붙는다. 16일 업계에 따르면 브라질 산업개발청(ABDI)은 스폿을 이용해 브라질 사설 5G 네트워크가 있는 산업 환경에서 테스트할 예정이다. ABDI는 5G 네트워크에서 스폿의 기능과 플랫폼 통합을 평가한다. 브라질 인프라와의 연결성과 도달범위, 호환성을 살펴본다. ABDI는 "스폿이 4개의 관절 다리가 있고 인공지능(AI)을 사용하기 때문에 구조에 바퀴나 트랙을 사용하는 기계보다 더 많은 이동성을 획득한다"며 스폿 도입 배경을 설명했다. 스폿 기능에는 도달하기 어려운 영역의 이상 감지가 포함되며 이를 위해 여러 센서, 마이크 및 카메라가 사용된다. 태블릿을 통해 제어하거나 자율적으로 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다. 5G 연결을 지원하고 구조물이 손상된 장소에서 행동 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잔해 위를 걸을 수 있는 능력이 있다. 또 추락 시 자가 교정과 장애물 주변에서 동적으로 다시 계획하는 작업을 할 수 있다. 배터리 수명은 90분으로 시속 5km 이상의 속도로 이동하고 계단을 오를 수도
[더구루=길소연 기자] 삼성중공업이 일본선급으로부터 암모니아 연료 기술을 인정받았다. 차세대 선박 연료로 주목 받는 암모니아 기술 경쟁력을 과시했다. 16일 업계에 따르면 일본해사협회(ClassNK)는 삼성중공업이 개발한 유조선과 컨테이너선용 암모니아 연료 공급 시스템에 대해 기본승인(AiP)을 발급했다. 일본해사협회는 "대체 연료를 사용하는 선박에 대한 지침에 따라 삼성중공업이 개발한 시스템의 개념 설계를 검토했다"며 "규정된 요건을 준수하는지 확인한 후 AiP를 발행했다"고 밝혔다. 일본해사협회의 암모니아 연료 공급 시스템 AiP 인증 획득은 새로운 기술에 대한 기술력과 안전성을 검증받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일본해사협회는 안전성 평가 측면에서 암모니아 연료를 사용하는 무공해 선박을 목표로 하는 프로젝트에 참여해 왔다. 선박용 암모니아 연료를 사용하는 선박과 관련된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 필요한 기준으로, '대체 연료를 사용하는 선박에 대한 지침'을 발표했다. 지침에는 설치, 제어, 안전 장치에 대한 요구 사항이 있다. 암모니아는 연소 시 이산화탄소(CO2)를 전혀 배출하지 않는데다 공급 안정성과 보관·운송·취급이 비교적 용이하다. 탄소중립 시대를 준비하는
[더구루=길소연 기자]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호주 육군 로봇 연구기관과 손을 잡는다. 호주 육군은 인공지능(AI)을 비롯해 자율주행 기술과 로보틱스 기술 등을 통해 작전 우위를 확보하고자 한다. 16일 업계에 따르면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호주법인(HDA)는 최근 호주 육군 산하 로봇 및 자율시스템 구현 조정사무소(Robotic and Autonomous Systems Implementation and Coordination Office, 이하 RICO)에 자동화 보호 물류 콘셉트 '베놈X(VenomX)' 개념을 선보였다. 베놈X는 호주 방위 산업에서 가장 뛰어난 기업들이 혁신적인 기술을 선보일 수 있게 하는 플랫폼이다. 베놈X 호주 파트너로는 △인공지능(AI)·사물인터넷(IoT) 전문기업 포제로테크놀로지스(4Zero Technologies) △호주 물류서비스 이클립스 로지스틱스 △호주 디킨대학교 △호주 소프트웨어 회사 비저너리 머신스(Visionary Machines) 등이다. 베놈X는 육군의 로봇 및 자율 시스템(RAS) 전략의 다양한 요소를 지원한다. 팀 구성, 스워밍 기술 등의 플랫폼을 통해 대량 생산 및 확장 가능한 효과를 창출한다. 또 인공 지능(AI)과
[더구루=길소연 기자] 페루 육군이 6000만 달러(약 800억원)를 투자해 획득 예정인 8x8 장갑차 30대의 획득 사업에서 현대로템과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탈락했다. 방산매체 디펜스닷컴(defensa.com)은 13일(현지시간) 페루 국방부는 장갑차 30대 도입 사업에서 △튀르키예 코치그룹 산하 방산업체 오토카르(Otokar)가 만든 아르마(Arma)와 △세르비아 유고임포트(Yugoimport) SDPR의 라자르 3(LAZAR III)를 최종 후보로 압축했다고 보도했다. 이들 외 우선순위로는 현대로템의 K808 , 폴란드 PGZ 로소막 장갑차가 뒤를 잇는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타이곤(Tigon)과 튀르키예 FNSS의 파르스3(Pars III), 중국 최대 방위산업체인 노린코의 VN 장갑차는 기술-경제적 제안이 알려지지 않았거나 수주전 가중치 및 점수 요소에서 기준치를 탈락했다. 페루 국방부는 지난 4월 장갑차 30대 도입 사업을 발주했다. 이번 입찰은 총 99대의 신형 장갑차 도입 사업 중 1단계이다. 페루 육군이 정부간 거래(GtoG) 방식으로 도입하며, 페루 제3 육군 기갑 여단과 육군 제6 기갑 여단의 차륜형 장갑 수송용 차량으로 획득한다. 지난달 2
[더구루=길소연 기자] 폴란드가 기아의 소형전술차량 KLTV(Korean Light Tactical Vehicle)를 도입한다. 폴란드 기갑 기계화 부대의 수색정찰용도다. 폴란드가 지난해 한국에서 K2 흑표 전차, K-9 자주포, FA-50 경공격기 등 최대 20조원대로 추산되는 무기류를 사들인데 이어 추가 구매다. 16일 업계에 따르면 기아는 14일(현지시간) 폴란드 국영 방산업체 PGZ와 경전술차량 LPR(KLTV의 폴란드 수출형) 400대 구매 계약을 체결했다. 계약 규모는 2억7000만 유로(약 4000억원)에 달한다. 납품은 내년부터다. 향후 폴란드 시에미아노비체실롱스키에(Siemianowice Śląskie)에 있는 PGZ 자회사 로소막(Rosomak)에서 생산된다. PGZ는 로소막과 컨소시엄을 구성해 협력을 확정지었다. 기아의 KLTV 4×4의 최신 버전을 활용해 폴란드 수출형 LPR로 생산한다. 이후 폴란드 기갑부대에 투입돼 폴란드군용 구형 차량인 '호커'를 대체할 예정이다. 이번 계약은 기아와 폴란드 방산업체 간의 강력한 산업 파트너십을 위한 토대를 기반으로 체결됐다. 주요 목표는 폴란드 국경 내에서 해당 차량의 허가된 생산, 유지보수, 서비
[더구루=길소연 기자] 한화오션이 인도네시아 군 잠수함 프로젝트 지연 원인으로 신용장(Letter of Credit, L/C) 발급을 지목했다. 16일 업계에 따르면 한화오션은 인도네시아 군용 잠수함 계약 보류 원인을 공개했다. 한화오션은 인도네시아 잠수함 프로젝트가 지연된 데는 L/C를 제공하지 않아서라고 전했다. 인도네시아가 아직 L/C에 서명하지 않아 한화오션은 2019년에 계약한 지 5년이 지나도록 아직 건조 작업에 돌입하지 못하고 있다. 한화오션은 인도네시아 국영조선소 PT.PAL조선소와 보고급(209형) 잠수함 3척을 공동 건조할 예정이다. L/C는 은행이 거래처의 요청으로 신용을 보증하기 위하여 발행하는 증서다. 국제 무역에서 상대 거래처의 신용을 확인하기 어렵거나, 물품의 인도와 대금 지급에 위험 부담이 있어 제3자인 은행이 대금 지급을 보증하는 확약이다. L/C가 없으면 한화오션은 잠수함 인도에 착수할 수 없고, 이미 배정된 자금으로 인해 막대한 금전적 손실을 입게 된다. 실제로 한화오션은 인도네시아와 잠수함 판매 계약을 맺은 뒤 약 900억원의 자재를 선(先)발주했으나 계약 발효가 미뤄지면서 이를 사실상 손실 처리했다. 인도네시아로부터 선수
[더구루=길소연 기자] 폴란드가 이스라엘이 제작한 수백 기의 스파이크 대전차 미사일을 생산한다. [유료기사코드] 15일 업계에 따르면 폴란드 국방부는 이스라엘 방산기업 라파엘 어드밴스드 디펜스 시스템(이하 라파엘)의 스파이크 대전차 미사일 수백 대를 구매했다. 폴란드의 방산기업 메스코(Mesko)가 미사일 부품의 현지 생산과 무기의 최종 조립을 담당한다. 구매 미사일 수는 공개되지 않았지만, 계약 금액은 거의 1억 달러(약 1334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폴란드는 군에 완전히 '폴란드산' 또는 현지에서 생산된 미사일을 공급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라파엘(Rafael)은 성명을 내고 "폴란드의 방산기업 메스코(Mesko)와 1억 달러(약 1315억원) 수백 발의 스파이크(Spike) 대전차 미사일 생산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스파이크 미사일은 5세대 미사일로 최대 4개의 탄두를 탑재하고, 단일 발사대에서 발사된다. 장거리용은 최대 5.5km 밖의 목표물을 요격할 수 있다. GPS 재밍에 영향을 받지 않으며 사용자 요구 사항에 따라 다양한 발사 방식으로 구성할 수 있다. 스파이크 LR은 이전 모델에 비해 무게가 줄어들어 한 명의 병사가 두 개의 미
[더구루=길소연 기자] 오만과 아랍에미리트(UAE)의 에티하드를 연결하는 철도 프로젝트가 본격 시동을 건다. [유료기사코드] 15일 업계에 따르면 오만-에티하드 철도망·운영회사 '오만-에티하드 레일 컴퍼니(Oman-Etihad Rail Company)'는 지난 10일(현지시간)부터 오는 27일까지 오만과 에티하드 간 양국 철도 프로젝트의 입찰을 위한 사전 자격을 신청하기 위해 전문 계약자를 초청했다. 전문 계약자는 개별적으로 또는 컨소시엄을 맺은 조인트벤처(JV)를 구성해 요구 사항을 충족하면 된다. 요구 사항으로는 △해당 국가에서 포장물을 배송하기 위해 오만 또는 UAE에 등록된 현지 회사가 이끄는 현지 회사 또는 JV/컨소시엄 △최근 해당 철도 프로켁트(철도 화물 시설, 철도 여객역과 철도 유지보수 창고 등)와 유사한 규모의 프로젝트 수행 경험 요구 △요구 품질 공기(工期) 준수 경험, 철도 환경 시공 경험, 설계 및 시공 경험 등을 갖춰야 한다. 오만-에티하드 철도 프로젝트는 303km 길이로, 오만의 소하르(Sohar), UAE의 알 아인(Al Ain)과 아부다비(Abu Dhabi)를 연결한다. 소하르와 아부다비를 1시간 40분 만에 연결하고, 소하르
[더구루=길소연 기자] 지난 1월부터 7월까지의 조선업계 컨테이너선 인도량이 신고점을 경신한 것으로 조사됐다. 14일 발트국제해사협의회(BIMCO)에 따르면 올해 1~7월 총 약 120만 TEU(1TEU는 20피트짜리 컨테이너) 물량의 컨테이너선이 완공·인도되며 같은 기간 최고 인도량 기록을 20만 TEU 차이로 넘어섰다. 선박 인도는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데 비해 해체 움직임이 미진했고, 결과적으로 전체 컨테이너선대 규모가 연초 이후 4.3%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컨테이너선 발주량은 2021년 신기록을 달성한 이후 둔화 추세를 보였지만, 여전히 강세를 유지하고 있다. 컨테이너선 부문의 신규 발주량은 올해 현재까지 130만 TEU에 달하며, 조선업계 수주잔량 역시 지난 3월 수립된 최고치인 760만 TEU 대비 3000TEU 낮다. 수주잔량 영향으로 연간 컨테이너선 인도량은 2025년까지 3년 연속으로 종전 연간 최고치 170만 TEU를 넘어설 것으로 보인다. 구체적인 전망치는 △2023년 240만 TEU △2024년 290만 TEU △2025년 190만 TEU 등이다. 조선업계 관계자는 "컨테이너 해운시장이 성수기에 돌입하며 물동량이 다소 증가하더라도,
[더구루=홍성일 기자] 세계 최대 전자상거래 기업 아마존(Amazon)이 로봇 기술과 인공지능(AI)을 결합해 미국 스마트 물류 시스템 표준을 정립하고 있다. 물류 효율성이 기업 경쟁력의 핵심으로 떠오르면서, 아마존의 행보가 업계 전반에 걸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평가다. [유료기사코드] 25일 코트라 로스앤젤레스무역관 보고서에 따르면 아마존의 스마트 물류 시스템은 미국 연방정부가 제정한 '인프라 투자 및 일자리 법(IIJA, Infrastructure Investment and Jobs Act)' 등과 맞물려 미국 물류 산업 전반의 지능형 전환을 이끌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아마존은 지난 2012년 로봇 기술 스타트업 '키바 시스템(Kiva Systems)' 인수를 기점으로 물류센터 자동화를 본격화했다. 현재는 △프로테우스(Proteus) △카디널(Cardinal) △스패로(Sparrow) 등 다양한 첨단 로봇과 AI 기반 소프트웨어를 통해 물류 처리 속도와 정확성, 비용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있다. 2022년 공개된 프로테우스는 사람과 동일한 공간에서 충돌 없이 자율주행하며 카트를 운반하는 완전 협업형 로봇이다. 카디널은 머신러닝 기반 비전 시스템
[더구루=홍성일 기자] 대만 전자제품 위탁생산(EMS) 기업 위스트론(Wistron)이 엔비디아(NVIDIA)의 인공지능(AI) 서버 생산을 위해 미국 제조 시설 건설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엔비디아는 위스트론, 폭스콘 등과 손잡고 미국 AI 인프라 구축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유료기사코드] 24일 업계에 따르면 제프 린(Jeff Lin) 위스트론 최고경영자(CEO)는 최근 개최된 연례 주주총회에서 "내년 중 미국 텍사스주 댈러스 공장을 준공하고 블랙웰(Blackwell) 아키텍처 기반 AI 서버 생산을 시작할 것"이라고 밝혔다. 위스트론 댈러스 공장은 엔비디아의 대대적인 미국 AI 인프라 구축 사업에 따라 건설된다. 엔비디아는 지난달 최대 5000억 달러(약 690조원)를 미국 AI 인프라 구축에 투자할 것이라고 밝혔다. 엔비디아는 AI 인프라 구축 사업에 필요한 슈퍼컴퓨터 등을 미국에서 생산하겠다고 밝히며 폭스콘, 위스트론과 협력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에 따라 폭스콘도 텍사스주 휴스턴에 새로운 공장을 건설하고 있다. 폭스콘 휴스턴 공장에서는 반도체 칩 테스트, 모듈 통합 작업 등이 진행된다. 위스트론은 엔비디아 외에 미국 내 추가 고객사 확보에도 나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