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길소연 기자] 이라크가 원자력 발전소 도입을 추진한다. 전력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새로운 원전을 건설한다. 이를 위해 러시아 국영 원전기업 로사톰(ROSATOM)과 협력 가능성을 타진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31일 업계에 따르면 이라크 총리 모하메드 시아 알 수다니(Mohammed Shia Al-Sudani)는 전날 국가 안보 장관 협의회 회의를 주재해 원자로 건설을 논의했다. 야히아 라술(Yahya Rasool) 이라크군 총사령관 대변인은 "고등교육부 장관, 과학연구부 장관, 전기부 장관, 원자력 관련 기술위원회 등이 회의에 참석했다"며 "이번 회의에서 평화적 목적을 위한 원자로 건설이 논의됐다"고 밝혔다. 라술 대변인은 원전 건설을 찬성해왔다. 그는 자신의 소셜미디어에 "원자로를 통한 전력 생산은 가스나 석유와 같은 다른 에너지원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는 데 기여할 것"이라며 "장기적으로 전력 안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라크 당국은 전력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이라크에 원자력 발전소를 건설할 계획이다. 전부터 추진해왔으나 지난해 10월 이라크 방사능원규제청(IRSRA)의 카말 후세인 라티프 청장은 새 정부 구성 실패로
[더구루=길소연 기자] 중국이 일본과 손잡고 한국의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 독주 견제에 나선다. [유료기사코드] 31일 업계에 따르면 중국해양석유총공사(CNOOC)는 일본 선사 NYK 라인, 중국 해운사 중국상선에너지해운(China Merchants Energy Shipping, CMES)과 총 4억1260만 유로(약 5900억원)를 투자해 LNG 운반선 합작투자회사(JV)를 설립하는 프로젝트 기본 계약을 체결했다. 3사는 합작사를 통해 17만4000㎥급 LNG운반선 6척을 발주한다. 선박들은 2026년 8월~2027년 10월에 인도될 예정이다. 주로 중국으로의 LNG 운송에 참여할 예정이다. 홍콩 증권거래소에 제출된 서류에 따르면 이들은 LNG운반선 전문 6개의 단일 선박 회사(single-ship)를 설립할 계획이다. 각 회사들은 LNG운반선 하나씩을 담당하며 중국해양석유총공사(CNOOC)의 자회사인 CNOOC 가스&전력 싱가포르 무역회사(Gas & Power Singapore Trading & Marketing)에 용선해 준다는 계획이다. CNOOC는 자회사 CNOOC 홍콩투자공사를 통해 이 프로젝트에 1억 8570만 유로(약
[더구루=길소연 기자]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호주에 납품할 보병전투장갑차(IFV) '레드백(Redback)이 모로코 수출길에도 오를 것으로 보인다. K-방산 수출의 큰 손으로 부상한 사우디아라비아·UAE 등 중동 지역에 이어 아프리카의 모로코도 관심을 보이고 있다. 아랍권 국방매체 디펜스 아라빅(defense-arabic)은 30일(현지시간) 모로코가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레드백 IFV 전투차량에 관심을 표명했다고 보도했다. 이 매체는 "모든 관심 국가들이 호주에서 장갑차 수주 결과를 기다리고 있다"며 "최종 계약에 따라 레드백 IFV 도입을 뒤이어 검토할 것"이라고 밝혔다. 특히나 모로코가 레드백에 관심을 보인 이유는 모로코에서 사용하는 미사일이 호환될 수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레드백에는 모로코가 사용하는 이스라엘 라파엘의 '스파이크 LR2' 대전차 미사일과 미국산 대전차 미사일 '자벨린'을 장착할 수 있다. 한편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레드백은 지난달 호주군 보병전투차량사업인 랜드400(Land400) 3단계 사업의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됐다. 최종 계약이 체결되면 레드백 129대를 순차 배치할 예정이다. <본보 2023년 7월 27일 참고 호주 정부 "한
[더구루=길소연 기자] 파나마 운하 관리 당국이 현재의 운하 통행 제한 정책을 최소 10개월 이상 더 유지할 수 있다고 밝혔다. 가뭄으로 낮아진 수위가 회복되지 않으면 통행 제한을 내년까지 이어간다는 방침이다. 31일 업계에 따르면 파나마 운하청(ACP)은 가뭄에 시달리는 파나마 운하를 통과하는 일일 선박 통과 횟수 제한이 최소 10개월에서 최대 1년간 유지할 수 있다. 일리아 에스피노(Ilya Espino) ACP 관리자는 "향후 3개월 이내 운하 수위를 복구할 수 있을 정도의 강수량이 확보되지 않는다면 최대 1년 이상 통행 제한 정책의 연장 결정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운하를 이용하려는 선주들에게 지연을 피하기 위해 미리 예약할 것을 권했다. 파나마 운하를 이용 예정인 해운사에는 통행 제한 연장을 고려해 연간 항해 계획 수립을 권고하기도 했다. ACP는 통상 최대 23대 까지 선박 예약이 가능하도록 허용했다. 그러나 가뭄으로 운하 수위 유지에 필요한 담수가 부족해지자 예약 가능 선박 수를 16대로 제한하는 '컨디션 2(condition 2on)'를 발령했다가 운하 수위 상태가 개선되지 않자 다시금 예약 제한을 강화했다. 선박이 운하
[더구루=길소연 기자] HD한국조선해양이 부유식 원유생산설비(FPU)를 수주한 9조5000억원 규모의 멕시코발 해양플랜트 개발 사업에 속도가 붙는다. 멕시코 규제 기관의 승인이 떨어지면서 개발이 가속화된다. 31일 업계에 따르면 호주 에너지 기업 우드사이드 에너지(Woodside Energy, 이하 우드사이드)는 멕시코 규제 기관인 국가탄화수소위원회(Comisión Nacional de Hidrocarburos, CNH)로부터 트리온(Trion) 초심해 석유 개발 프로젝트 개발 승인을 획득했다. 트리온 자원 개발은 합작 투자 승인과 규제당국의 승인을 받아야 했다. 앞서 우드사이드는 트리온 초심해 석유 개발 프로젝트를 위해 72억 달러(약 9조5000억원) 예산 규모로 최종투자결정(FID)을 내렸다. <본보 2023년 6월 21일 참고 'HD한국조선·삼성중공업 눈독' 멕시코 해양플랜트, '9조원 규모' 사업비 확정> 이어 멕시코 규제당국의 개발 승인을 획득하면서 프로젝트 실행도 빨라진다. 현재 트리온 유전 개발의 주요 계약은 확정됐다. 트리온의 부유식 원유생산 저장 하역 설비(FSO)은 네덜란드 해양플랜트 업체인 SBM오프쇼어(SBM Offshore
[더구루=길소연 기자] 한화큐셀이 입찰에 참여한 멕시코만 해상풍력 발전사업에서 고배를 마셨다. 태양광 발전사업의 성공 경험을 토대로 풍력과 수소 등으로 보폭을 넓히며 해상풍력 시장에서도 수주를 꾀했으나 실패했다. 미국 내무부(DOI)는 29일(현지시간) 멕시코만 해상 풍력 에너지 경매에서 독일 에너지 기업 에르베에 오프쇼어 US 걸프(RWE Offshore US Gulf, 이하 RWE)를 유일한 낙찰자로 선정했다. RWE는 루이지애나주 레이크찰스에서 약 1.24GW 용량의 해상 풍력 에너지 임대 지역 'OCS-G 37334'을 560만 달러(약 74억원)에 개발권을 따냈다. 미국 35만 가구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임대 지역을 확보한 것이다. 미국 내무부 산하 해양에너지관리국(BOEM)이 주관한 이번 경매는 최근의 다른 연방 해상 풍력 임대 경매에 비해 빠르게 마무리돼 두 번의 입찰 라운드 만에 끝났다. 스벤 우터몰렌(Sven Utermohlen) RWE 오프쇼어 윈드의 최고경영자(CEO)는 성명을 내고 "오늘 멕시코만에서의 입찰 성공으로 RWE는 미국 해상 풍력 산업에서 계속해서 입지를 다지고 있다"며 "이해관계자들과 함께 이 새로운 시장을 형성하여 이
[더구루=길소연 기자] 1조8000억원 규모의 필리핀 잠수함 수주를 위한 경쟁이 한국과 프랑스, 스페인 3파전으로 압축됐다. 30일 업계에 따르면 필리핀 잠수함 수주전에 한화오션의 KSS-III 잠수함, 스페인 국영 조선소인 나반티아(Navantia)의 S-80급, 프랑스 나발 그룹의 스코르펜(Scorpene) 잠수함이 최종 후보로 이름을 올렸다. 한화오션은 지난해부터 필리핀 군과 잠수함 프로젝트를 위한 물밑 협상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화오션은 필리핀에 잠수함 수출을 위해 기술력을 현지에 알리고 있다. 한화오션은 필리핀 해군 맞춤형으로 개발한 1400t급 'DSME 1400PN' 잠수함을 선보였다. 이는 인도네시아에 수출했던 DSME1400급 잠수함을 바탕으로 국내 '장보고-3'급 잠수함의 고사양 장비를 반영한 모델이다. 특히 한화오션은 2019년에 인도네시아와 맺은 2차 잠수함 계약 물량을 필리핀에 넘긴다는 방안도 고려중이다. <본보 2023년 8월 14일 참고 한화오션, 필리핀과 잠수함 물밑 협상> 스페인 나반티아는 현대식 S-80급 잠수함 2척의 공급을 제안했다. AIP 탑재형 S-80급 선도함 아이작 페럴(Isaac Peral, S81)
[더구루=길소연 기자] 반도체 기반 차세대 위성 안테나 기업인 한화페이저(Hanwha Phasor)가 영국 위성시장을 공략한다. 30일 업계에 따르면 한화페이저는 다음달 12일부터 15일까지 영국 런던의 액셀(ExCeL) 전시장에서 열리는 'DSEI(Defence and Security Equipment International) 2023'에 참가한다. 한화페이저가 DSEI에 참가하는 건 이번이 처음이다. 부스를 마련해 상업용과 군사용 항공에 모두 사용하도록 특별히 설계된 위성 안테나인 '페이저 A7700'을 전시한다. 한화페이저는 DSEI를 통해 비행중, 육상 또는 해상 등 이동 중에도 끊김 없는 다중 궤도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독자적인 컨포멀 평면 패널 설계를 선보인다. 도미닉 필포트(Dominic Philpott) 한화페이저 운영책임자는 "한화에어로스페이스와 함께 처음으로 DSEI에 전시해 혁신적인 페이저 A7700 위성 안테나를 시연하게 돼 기쁘게 생각한다"며 "영국에서 한화페이저가 수행할 수 있는 중요한 역할에 대해 논의하기 위해 고객들과 만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DSEI는 영국 국방부와 국제 무역부가 주관하는 국제 방산 장비 박람회이다. 격년
[더구루=길소연 기자] SK이노베이션이 투자를 단행한 미국 스타트업 아모지가 최초로 선박용 암모니아 기반 수소연료전지 시스템을 주문한 발주처를 공개한다. [유료기사코드] 30일 업계에 따르면 아모지는 암모니아 연료전지를 처음으로 주문한 노르웨이 해운사 공개에 나선다. 앞서 아모지는 첫 수주 이후 발주사에 대한 정보를 함구했다. 노르웨이 선주로 알려진 첫 발주처는 지난 6월에 선박에 탑재할 아모지 시스템을 선주문했다. 신조선에 200kW 암모니아 발전 시스템 4대를 공급하는 사전 주문했다. 총 800kW의 아모지 파워팩이 신조선에 탑재된다. <본보 2023년 6월 23일 참고 '김준號'의 대체연료 투자 드디어 결실…아모지 첫 수주 성공> 아모지의 암모니아 전력 시스템은 배기가스 배출이 없는 운항을 위해 선박의 주 전력을 공급한다. 고효율 암모니아 발전 기술이 하이브리드 연료전지 시스템에 통합된 분해 모듈을 통해 액체 암모니아를 공급해 전기 모터에 동력을 공급한다. 크리스티안 W. 베르그(Christian W. Berg) 아모지 노르웨이 전무이사는 "노르웨이의 저명한 선주가 우리의 기술을 믿고 신조 선박의 탈탄소화를 위한 가장 실행 가능한 솔루션으로
[더구루=길소연 기자] 현대글로비스가 멕시코 최대 항구 '라자로 카르데나스(Lázaro Cárdenas)' 투자에 나선다. 30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글로비스는 라자로 카르데나스 항구 내 자동차 보관을 위해 최대 15만㎡에 달하는 부지를 개발한다. 현대글로비스는 지난 5월 항구 유휴부지 경매에서 이 구역을 낙찰받았다. 호르헤 루이스 크루즈 발라도( Jorge Luis Cruz Ballado) 아시포나 라자로 카르데나스 총책임자는 최근 "자동차 화물의 증가 추세가 계속될 것으로 보고 이 화물을 처리하고 보관할 수 있는 시설을 마련해 공간을 확보해야 한다"며 "글로비스는 아직 개발 초기 단계로 프로젝트 계획이 수립되면 그들이 얼마나 투자할 것인지를 알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멕시코 라자로 카르데나스 항만을 운영하는 아시포나(Asipona)는 항구의 자동차 저장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총 72.5만㎡의 유휴 부지 3곳에 대한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멕시코 자동차 화물의 증가로 화물을 처리하고 보관할 수 있는 시설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현대글로비스가 개발하는 구역 외 남은 2곳은 과거(2008~2016)에 이미 항구에 저장고를 운영했던 앰포츠(Amports)가
[더구루=길소연 기자] HD한국조선해양과 한화오션이 폴란드 잠수함에 이어 해양플랜트를 놓고 경쟁한다. 폴란드는 북부 그단스크에 새로운 부유식 저장·재기화 설비(FSRU)를 공급하기 위해 선주들에게 초기 제안서를 보내면서 해양플랜트에 시동을 걸었다. 30일 업계에 따르면 폴란드 국영가스기업 가즈시스템(GAZ-SYSTEM)은 지난 25일(현지시간) 그단스크 FSRU 설치를 위해 입찰 제안서를 접수를 시작했다. 입찰 마감은 다음달 19일이다. FSRU는 운송을 위해 액화한 LNG를 다시 기화해 육상에 공급할 수 있는 선박형태의 설비를 말한다. 가즈시스템은 입찰 참여 업체에 오는 2028년 초에 상업 운영에 투입할 수 있도록 2027년 8월까지 FSRU를 인도해달라고 요청했다. 가즈시스템의 FSRU 수주전에는 HD한국조선해양과 한화오션이 경쟁에 참여한 것으로 알려졌다. HD한국조선해양은 "그단스크 FSRU의 입찰 참여를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가즈시스템은 17만~18만 DWT급 FSRU를 그단스크만에 배치할 예정이다. 연간 61억㎥의 가스 공급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지난 7월에 FSRU 프로젝트에 따라 구현된 세 개의 육상 가스 파이프라인(Kolnik - G
[더구루=길소연 기자] 프랑스 선사 CMA CGM가 중국에 10억 달러(약 1조 3000억원) 규모의 메탄올 연료 컨테이너선을 발주한다. 메탄올 이중연료 네오파나막스 컨테이너선 신조 발주를 통해 탈탄소화 추진에 박차를 가한다. 30일 업계에 따르면 CMA CGM은 최근 중국 상하이 와이가오차오 조선(SWS)과 9200TEU급 선박 8척에 대한 잠정 신조 계약을 체결했다. 계약 규모는 10억 달러(약 1조 3000억원)에 달한다. SWS는 중국 국영 조선소인 중국선박그룹(CSSC)가 관리하는 국영 조선소이다. CMA CGM이 신조선에 액화천연가스(LNG) 대신 메탄올 이중 연료를 선택했다. 선가는 척당 SWS에서 1억 2500만 달러(약 1650억원)에서 1억 2700만 달러(약 1676억원) 사이로 추정된다. SWS에서 건조해 2027년에 인도한다. CMA CGM의 메탄올 연료 컨테이너선 발주는 이번이 네 번째다. 앞서 CMA CGM은 CSSC에 메탄올로 구동되는 1만5000TEU급 컨테이너선 12척과 액화천연가스(LNG) 연료를 사용하는 2만3000TEU급 4척을 주문했다. CSSC 자회사인 장난조선과 다롄조선이 메탄올 컨테이너선 12척을, 후둥중화조선이
[더구루=홍성일 기자] 세계 최대 전자상거래 기업 아마존(Amazon)이 로봇 기술과 인공지능(AI)을 결합해 미국 스마트 물류 시스템 표준을 정립하고 있다. 물류 효율성이 기업 경쟁력의 핵심으로 떠오르면서, 아마존의 행보가 업계 전반에 걸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평가다. [유료기사코드] 25일 코트라 로스앤젤레스무역관 보고서에 따르면 아마존의 스마트 물류 시스템은 미국 연방정부가 제정한 '인프라 투자 및 일자리 법(IIJA, Infrastructure Investment and Jobs Act)' 등과 맞물려 미국 물류 산업 전반의 지능형 전환을 이끌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아마존은 지난 2012년 로봇 기술 스타트업 '키바 시스템(Kiva Systems)' 인수를 기점으로 물류센터 자동화를 본격화했다. 현재는 △프로테우스(Proteus) △카디널(Cardinal) △스패로(Sparrow) 등 다양한 첨단 로봇과 AI 기반 소프트웨어를 통해 물류 처리 속도와 정확성, 비용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있다. 2022년 공개된 프로테우스는 사람과 동일한 공간에서 충돌 없이 자율주행하며 카트를 운반하는 완전 협업형 로봇이다. 카디널은 머신러닝 기반 비전 시스템
[더구루=홍성일 기자] 대만 전자제품 위탁생산(EMS) 기업 위스트론(Wistron)이 엔비디아(NVIDIA)의 인공지능(AI) 서버 생산을 위해 미국 제조 시설 건설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엔비디아는 위스트론, 폭스콘 등과 손잡고 미국 AI 인프라 구축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유료기사코드] 24일 업계에 따르면 제프 린(Jeff Lin) 위스트론 최고경영자(CEO)는 최근 개최된 연례 주주총회에서 "내년 중 미국 텍사스주 댈러스 공장을 준공하고 블랙웰(Blackwell) 아키텍처 기반 AI 서버 생산을 시작할 것"이라고 밝혔다. 위스트론 댈러스 공장은 엔비디아의 대대적인 미국 AI 인프라 구축 사업에 따라 건설된다. 엔비디아는 지난달 최대 5000억 달러(약 690조원)를 미국 AI 인프라 구축에 투자할 것이라고 밝혔다. 엔비디아는 AI 인프라 구축 사업에 필요한 슈퍼컴퓨터 등을 미국에서 생산하겠다고 밝히며 폭스콘, 위스트론과 협력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에 따라 폭스콘도 텍사스주 휴스턴에 새로운 공장을 건설하고 있다. 폭스콘 휴스턴 공장에서는 반도체 칩 테스트, 모듈 통합 작업 등이 진행된다. 위스트론은 엔비디아 외에 미국 내 추가 고객사 확보에도 나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