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길소연 기자] 산업기계·부품 전문 기업인 LS엠트론이 브라질에서 열리는 농기자재 박람회에서 신규 트랙터 2종을 선보인다. 브라질 박람회에 참가해 브랜드 인지도를 제고하고 유통망을 확대한다. 4일 업계에 따르면 LS엠트론 트랙터사업부는 지난달 26일부터 이달 3일까지 아시스 브라질 주립전시공원에서 열리는 '엑스포인터(Expointer) 2023'에 참가했다. LS트랙터는 올해 1200㎡ 규모의 스탠드를 마련해 트랙터 'MT7.80F'와 'MT7.90F' 모델을 전시했다. 이들은 브라질 기후의 특성과 국가 농업 기업의 요구 사항을 기반으로 개발됐다. 트랙터는 내년 1월에 생산에 돌입한다. 아스트로 킬프(Astor Kilpp) LS 트랙터 마케팅·영업 매니저는 "교통 제한이 있는 커피, 과일 재배 농가를 위한 소형 장비로, 80마력과 90마력의 강력한 출력을 갖고 있다"며 "박람회에는 많은 고객과 해당 부문의 중요 인물이 한자리에 모이기 때문에 내년 양산 전 사전 출시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어 "시장 수요에 대응해 신제품을 출시한다"며 "시장 격차를 해소하는 제품으로 브라질 농업 종사자의 반응도 긍정적"이라고 강조했다. 매년 브라질에서 열리는 엑스
[더구루=길소연 기자] 포스코가 아르헨티나서도 '여성'을 위한 행복한 일터를 만든다. 3일 업계에 따르면 포스코 아르헨티나는 최근 살타 주정부와 민간 기업이 만나 돌봄 공간 구현을 논의하는 자리에 참여했다. 이 자리에서 포스코는 이타티 카리케(itati carrique) 살타 주정부 여성부 장관과 노동계약법(LCT) 179조의 이행에 관해 논의했다. 아르헨티나는 노동계약법 제 179조에 따라 3월 23일부터 100명 이상의 사업장에서는 근무일 동안 근로자를 관리하는 태어난 지 45일부터 3세까지의 여아와 남아를 위한 돌봄 공간을 제공해야 한다. 법안은 근무 시설 내에 돌봄 공간을 제공하는 것을 주요 이행 대안으로 제안한다. 혹은 가까운 거리에 있는 다른 회사와 연계해 돌봄 공간을 하도급으로 제공하거나 단체 교섭을 통해 고용주가 돌봄 비용을 지불해야 한다. 이타티 카리케 장관은 "더 공정한 돌봄 조직에 기여하고 이를 통해 더 많은 여성과 다양성을 직장에 통합한다"고 돌봄 공간 구현을 촉구했다. 포스코는 살타주에서 리튬 사업을 벌이는 국내 대표 기업이다. 포스코홀딩스는 2018년 8월 갤럭시리소스로부터 옴브레 무에르토 염호의 광권을 인수해 리튬 개발에 나섰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대만에 해상풍력발전 사업을 위한 대규모 시장이 열린다. [유료기사코드] 3일 업계에 따르면 해상풍력발전 개발 5개사는 대만 정부에 '2026~2027년 해상풍력발전 개발사업' 계약체결 신청서 제출을 완료했다. 경제부가 주도하는 해상풍력 3-1단계 행정계약의 최종 서명 마감으로 세계 최대 그린에너지 투자운용사 CIP(코펜하겐 인프라스트럭쳐 파트너스)의 펭미아오 풍력발전단지, SRE의 하이셩 풍력발전단지, 코리오 제너레이션과 토탈에너지스의 포모사3 해상풍력발전 단지 등 5개 풍력 발전 단지가 신청됐다. 5개사의 개발용량은 총 2335MW이다. 개발사별 개발용량은 △CIP(500MW) △ SRE(495MW) △코리오 제너레이션+토탈에너지스(600MW) △EDF 리뉴어블스(EDF Renewables)+타이야 리뉴어블 에너지(Taiya Renewable Energy)(440MW), △리리(力麗)+스카이본 리뉴어블스(Skyborn Renewables)(300MW)이다. 이들은 2026~2027년 사업은 개발 비용이 높은 편이나 개발권 포기 시 다음 사업 참가에 패널티가 주어질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 계약체결을 결정한 것으로 풀이된다. 대만 경제부
[더구루=길소연 기자] 중국이 한국형 전투기 'KF-21'를 두고 조롱하며 KF-21 보라매 전투기 개발사업에 대해 평가절하했다. 3일 중국 최대 뉴스 포털사이트 163.com에 따르면 최근 게재된 기사를 통해 KF-21 보라매를 '엉터리 비행기'라고 조롱했다. 매체는 한국이 서방 기술을 활용해 KF-21 보라매를 개발했지만 4.5세대 전투기 수준에 불과하며 이는 5세대 전투기 수준과는 거리가 멀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중국에서 자체 개발중인 5세대 스텔스 전투기 청두 J-20를 언급했다. 중국은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긴장이 고조되고 미국이 이 지역에 5세대 F-22와 F-35 전투기를 배치하자 세계 최고 수준의 스텔스 항공기 보유를 열망해왔다. 중국은 서방 기술 도입 없이 차세대 전투기를 개발했고, 이미 비행 테스트를 수행했다. 일부 기술 문제는 해결 과제지만, 개발 과정에서 미국의 관여는 없었다고 강조했다. 미국은 한국형 전투기 KF-21 개발을 위해 엔진, 무기, 비행 제어 시스템 등의 핵심 기술을 제공했다. 한국은 인도네시아와 함께 2015년부터 2028년까지 8조8000억원 사업비를 공동 부담해 4.5세대급 전투기를 개발하는 KF-21(인도네시아명
[더구루=길소연 기자] 에너지 시장 개선세로 시추리그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유휴 설비 활용률과 리그 일일 운임이 회복세를 보인다. 3일 업계에 따르면 해양 시추리그 시장은 △가이아나, 브라질, 중동 내 사업 △ 서아프리카 내 추가 사업 △나미비아, 인도, 동지중해 내 탐사 재개 등을 배경으로 성장세다. 국제에너지기구(IEA)는 "2014년 피크에 달했던 해양 시추 사업 사이클이 2021년을 거치며 둔화세에 접어들었다가 코로나19 팬데믹 회복 이후 다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해양 시추 부문 글로벌 투자액은 현재 약 2000억 달러(약 263조원)에 달한다"며 "이는 반잠수식(semi-submersible), 드릴십(drillship) 등 부유식(floating) 리그 수요가 큰 회복세를 나타내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유휴 설비도 회복 조짐을 보인다. 지난 2014년 부유식 리그 수가 270기에서 146기로 줄어들었으나 최근 활용률이 87%로 회복됐다. 유휴 설비는 22기 수준이다. 이 중 20기는 향후 수 년 내 일선에 복귀할 전망이다. 시추리그의 일일 운임도 회복세다. 저사양 리그 운임은 50만 달러에서 20만 달러 미만으로 급감
[더구루=길소연 기자] 해운업계에 선박 풍력추진 기술 도입 움직임이 활발하다. 해양환경규제가 강화되자 대형 상선의 동력원으로 풍력까지 확대되고 있다. 2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 초대형 무역회사 카길(Cargill)은 21일(현지시간) 일본 미쓰비스(Mitsubishi Corporation)외 영국 선박 엔지니어링 회사 바(BAR) 테크놀로지, 노르웨이의 해양 정화 솔루션 기업인 야라마린 테크놀로지(Yara Marine Technologies)와 협력해 미쓰비시로부터 용선한 벌커 '픽시스 오션(Pyxis Ocean)'호에 차세대 풍력추진 설비인 '윈드윙스(WindWings)'를 설치했다. 이들 4개사는 픽시스 오션의 성능을 향후 몇 달 동안 꾸준히 모니터링해 설비의 설계, 운영, 및 성능을 더욱 개선할 예정이다. 윈드윙스는 바 테크놀로지와 야라 마린 테크놀로지가 협력해 개발한 37.5미터 높이의 친환경 풍력 솔루션 돛이다. 설비가 신조선에 탑재될 경우 선박의 연료소비율을 약 30% 개선할 수 있고, 선박이 대체연료를 사용할 시 개선 폭을 추가로 늘릴 수 있다. 픽시스 오션호에 윈드윙스를 탑재하는 작업은 중국 코스코(COSCO)의 야드에서 이뤄졌다. 개조를 마친
[더구루=길소연 기자] 국내 최대 국적선사인 HMM이 미국서 화물 운송 계약 위반 혐의로 피소된지 1년이 지나도록 화주와 합의점을 찾지 못하고 있다. 같은 혐의로 법적 분쟁을 겪은 대만 양밍해운은 합의를 통해 사안을 종결했다. 1일 관련 업계와 법조계에 따르면 HMM은 작년에 미국 식품수입업체 MSRF로부터 장기운송계약 위반 혐의로 고소당했지만 여전히 화주와 합의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 앞서 미국 식품수입업체 MSRF는 지난해 6월 HMM과 대만 양밍해운이 가격을 담합해 장기운송계약을 위반했다며 미국 연방해사위원회(FMC)에 제소했다. FMC은 당시 소송을 행정법 판사에게 배정했다. 화주인 MSRF는 장기운송계약 운임보다 비싼 비정기 단기운송 계약에 따른 '스팟' 운임을 HMM에 지불하고 화물을 운송해야만 했다고 주장했다. 계약상 컨테이너 25FEU(40피트 컨테이너 1개)를 이용할 수 있어야 했지만, HMM은 9FEU만 제공했다는 것이다. MSRF는 "HMM의 계약을 위반한 탓에 비싼 운송 비용을 내야 했고, 100만 달러(약 13억원) 이상의 손해를 봤다"고 말했다. MSRF가 양밍해운에도 같은 혐의로 고소했지만, 양측이 합의하면서 해당 소송은 기각됐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한화오션이 일본 미쓰이 OSK 라인(Mitsui OSK Lines, 이하 MOL)이 용선할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에 해상 압축 공기 시스템을 탑재한다. 선박의 에너지 효율을 높여 에너지 비용을 절감시킨다. 1일 업계에 따르면 한화오션은 2021년도와 2022년도에 수주한 17만4000㎥급 LNG 운반선 6척에 노르웨이 TMC 콤프레서(Tamrotor Marine Compressors, 이하 TMC)의 선박용 압축 공기 시스템을 장착한다. TMC는 유럽에서 장비를 제조해 한화오션으로 배송할 예정이다. 압축 공기 시스템은 선박 에너지 효율을 높이기 위한 필수 장비다. 기포를 사용해 선체와 해수 사이의 저항을 줄이는 데 사용된다. 선체 표면 전체에 기포가 분포됨으로써 선체에 작용하는 마찰 저항이 감소해 에너지 절약 효과가 있다. 공기 소비량이 적으면 컴프레서에 필요한 속도가 줄어들어 전력 소비가 줄어든다. 연료 소비와 관련된 배기가스 배출량도 감소시킨다. 전세계 해양 산업은 국제해사기구(IMO)의 환경규제로 선박의 배출량을 낮추는 데 점점 더 집중하고 있다. 한스 피터 타눔(Hans Petter Tanum) TMC 영업·사업 개발 이사
[더구루=길소연 기자] 삼성중공업이 글로벌 자산관리회사 아틀라스(Atlas)의 자회사 시스팬(Seaspan)에 컨테이너선을 인도했다. 시스팬은 지난달 30일(현지시간) 공식 페이스북에 "1만5000TEU LNG 이중 연료 시리즈의 다섯 번째 선박인 'ZIM 마운트 레이니어(ZIM Mount Rainier)'의 인도를 발표하게 돼 매우 기쁘다"고 밝혔다. 시스팬은 "현재 LNG는 상업적으로 실행 가능한 청정 연소 연료원이며, 심해 컨테이너 운송에 상용화됨에 따라 저탄소 연료로의 전환에 필수 요소"라며 "바이오 LNG와 e-메탄은 선박이 국제해사기구(IMO) 2050 목표를 쉽게 달성할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한다"고 강조했다. 이번에 인도된 선박은 삼성중공업이 지난 6월 부두에서 자매선 '짐 마운트 데날리(ZIM Mount Denali)'와 명명식을 가진 선박이다. 탈탄소화 목표를 지원하기 위해 최신 기술을 탑재했다. 삼성중공업은 지난 2021년 시스팬과 1만5000TEU급 컨테이너선 10척의 건조계약을 맺었다. 선박 인도는 올해부터 내년 초까지다. <본보 2021년 2월 15일 참고 삼성중공업, '1.1조원' 컨테이너선 10척 수주> 삼성중공업은 이번
[더구루=길소연 기자] 카카오모빌리티와도 도심항공교통(UAM) 서비스 글로벌 공동 사업을 진행하고 있는 영국 전기 수직 이착륙 항공기(eVTOL) 제조업체 버티컬 에어로스페이스(Vertical Aerospace, 이하 버티컬)가 국내 기술을 탑재한 두번째 eVTOL 시제품을 제작한다. 내년 초 비행을 목표로 한다. 1일 업계에 따르면 버티컬은 두번째 풀스케일 eVTOL VX4 시제품 조립을 영국 항공기 구조물제작사 GKN 에어로스페이스(GKN Aerospace)의 글로벌 기술 센터에서 진행 중이다. 시제품 구성 요소에는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기술이 탑재된다. 또한 버티컬의 인증 파트너사 기술도 포함된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지난해 8월 버티컬의 eVTOL VX4에 전기식 작동기(EMA) 3종(조정면, 틸트, 블레이드 피치 제어)을 공급하기로 했다. 이 시스템은 모터 동력을 프로펠러로 전달해 기체가 이착륙하는 데 추진력을 주고 비행 방향을 조정하는 역할을 한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2025년부터 10년 간 독점 공급한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외 △글로벌 항공전자기술 솔루션 기업인 하니웰 △벨기에 소재기업 솔베이 △이탈리아 방산기업 레오나르도 △대만 배터리 제조사
[더구루=길소연 기자] 한국마사회가 과천시와 복지 증진을 위해 장애인 시설, 아동·청소년 시설, 노인복지 시설 등을 대상으로 5000만원 규모의 사회복지사업을 추진한다고 1일 밝혔다. 마사회와 과천시는 지난 7월 지역사회공헌사업 추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과천 지역을 위한 정기적인 지역 사회공헌 아이템 공유, 협업을 통한 사회공헌사업 등을 추진하기로 한 바 있다. 이에 과천시와 과천시지역사회보장협의체는 지역 내 사회복지 기관·시설 등이 추진하는 사회복지사업을 공개 모집하여 접수된 14개 사업을 대상으로 1차 심사를 진행했다. 이후 마사회가 기부심의위원회를 열어 최종 8개 사업을 확정했다. 이번 사업으로 △장애인 복지시설의 노후 생활가전 교체 △아동·청소년 디지털 기기 구입 지원 △노인 인지능력 향상 기구 구입 지원 등의 사업이 추진됐다. 정기환 한국마사회 회장은 "앞으로도 본사가 위치한 과천 지역의 복지에 더욱 관심을 기울이고, 과천시와의 협업도 계속 이어나가겠다"라고 밝혔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덴마크 국영 에너지기업 오스테드가 미국 해상풍력단지 프로젝트의 무산 시나리오를 검토한다. 공급업체 지연과 이자율 인상, 현지 콘텐츠 문제 등의 이유로 프로젝트가 좌초될 위기에 놓이자 발을 뺄 생각이다. [유료기사코드] 31일 업계에 따르면 오스테드는 진행하는 미국 해상풍력 프로젝트에서 공급업체 지연과 현지 콘텐츠, 인플레이션 문제 등으로 최대 23억 달러(약 3조원)의 손실 가능성이 있다. 오스테드는 미국 내 많은 프로젝트에 대한 최종 투자 결정이 내려지지 않은데다 인플레이션 영향으로 재무적 결정이 늦춰지고, 전체적인 경제성과에 대한 미국의 역량에 의문을 제기했다. 매즈 니퍼(Mads Nipper) 오스테드 최고경영자(CEO)는 "미국 해상 풍력 상황이 심각하다"며 "공급망, 높은 이자율, 미국 투자세 공제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이 끼쳐 단기 미국 해상 풍력 개발 포트폴리오가 우리의 가치 창출 목표를 충족하지 못한다"고 밝혔다. 이어 "극복하려고 노력하겠지만 가치 창출을 보장하기 위해 계속해서 이탈 시나리오를 검토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또 "오션 윈드1(Ocean Wind 1), 선라이즈 윈드(Sunrise Wind), 레볼루션
[더구루=홍성일 기자] 세계 최대 전자상거래 기업 아마존(Amazon)이 로봇 기술과 인공지능(AI)을 결합해 미국 스마트 물류 시스템 표준을 정립하고 있다. 물류 효율성이 기업 경쟁력의 핵심으로 떠오르면서, 아마존의 행보가 업계 전반에 걸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평가다. [유료기사코드] 25일 코트라 로스앤젤레스무역관 보고서에 따르면 아마존의 스마트 물류 시스템은 미국 연방정부가 제정한 '인프라 투자 및 일자리 법(IIJA, Infrastructure Investment and Jobs Act)' 등과 맞물려 미국 물류 산업 전반의 지능형 전환을 이끌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아마존은 지난 2012년 로봇 기술 스타트업 '키바 시스템(Kiva Systems)' 인수를 기점으로 물류센터 자동화를 본격화했다. 현재는 △프로테우스(Proteus) △카디널(Cardinal) △스패로(Sparrow) 등 다양한 첨단 로봇과 AI 기반 소프트웨어를 통해 물류 처리 속도와 정확성, 비용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있다. 2022년 공개된 프로테우스는 사람과 동일한 공간에서 충돌 없이 자율주행하며 카트를 운반하는 완전 협업형 로봇이다. 카디널은 머신러닝 기반 비전 시스템
[더구루=홍성일 기자] 대만 전자제품 위탁생산(EMS) 기업 위스트론(Wistron)이 엔비디아(NVIDIA)의 인공지능(AI) 서버 생산을 위해 미국 제조 시설 건설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엔비디아는 위스트론, 폭스콘 등과 손잡고 미국 AI 인프라 구축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유료기사코드] 24일 업계에 따르면 제프 린(Jeff Lin) 위스트론 최고경영자(CEO)는 최근 개최된 연례 주주총회에서 "내년 중 미국 텍사스주 댈러스 공장을 준공하고 블랙웰(Blackwell) 아키텍처 기반 AI 서버 생산을 시작할 것"이라고 밝혔다. 위스트론 댈러스 공장은 엔비디아의 대대적인 미국 AI 인프라 구축 사업에 따라 건설된다. 엔비디아는 지난달 최대 5000억 달러(약 690조원)를 미국 AI 인프라 구축에 투자할 것이라고 밝혔다. 엔비디아는 AI 인프라 구축 사업에 필요한 슈퍼컴퓨터 등을 미국에서 생산하겠다고 밝히며 폭스콘, 위스트론과 협력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에 따라 폭스콘도 텍사스주 휴스턴에 새로운 공장을 건설하고 있다. 폭스콘 휴스턴 공장에서는 반도체 칩 테스트, 모듈 통합 작업 등이 진행된다. 위스트론은 엔비디아 외에 미국 내 추가 고객사 확보에도 나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