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길소연 기자] 현대로템의 파트너인 폴란드 국영 방산그룹 PGZ(Polska Grupa Zbrojeniowa)가 대규모 자금 수혈을 통해 생산설비를 확충한다. 세바스찬 흐바웨크(Sebastian Chwałek) PGZ 회장은 5일(현지시간) 폴란드 군사 전문지 디펜스24(Defence24)와의 인터뷰에서 자금 확보와 생산능력 확대 계획을 밝혔다. 흐바웨크 회장은 "자체 자금만으로 비즈니스를 개발할 여력이 없다"며 "3~4년에 걸쳐 130억 즈워티(약 4조원)의 자금을 수혈해 폴란드 후타 스탈로바 볼라(Huta Stalowa Wola, HSW)에 대한 지원과 PGZ의 포즈난에 있는 중장비 및 철도 제작업체 생산시설 확충, 실레시아(Silesia)의 크라프(Krab) 자주포 생산라인을 설립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흐바웨크 회장은 "우크라이나에서 전면전이 발발한 이후 군사 장비와 무기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PGZ 기업뿐만 아니라 전 세계 기업들이 생산 증대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설비 확충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PGZ는 확보된 자금으로 폴란드형 K2 전차 K2PL 생산공장도 확장할 계획이다. 흐바웨크 회장은 "K2PL 전차 생산을 위한 투자를 준비
[더구루=길소연 기자] 고려아연의 자회사 아크에너지(Ark Energy)가 호주 찰룸빈(Chalumbin) 풍력발전 사업을 전면 수정한다. '그린워싱(greenwashing, 위장환경주의)' 혐의로 기소되자 프로젝트명 변경과 터빈 수 축소로 주민 달래기에 나선다. 6일 업계에 따르면 아크에너지는 호주 퀸즐랜드 북부의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열대우림 인근에 추진하는 10억 달러(약 1조3000억원) 규모의 풍력 발전소 건설 계획을 재설정했다. 아크에너지는 찰룸빈 풍력발전에 대한 주민과 환경단체의 반대가 이어지자 대대적인 공청회를 열고 피드백을 받아 변화를 꾀했다. 아크에너지는 주민의 우려와 오해에 대응하기 위해 풍력발전소 프로젝트명부터 바꾼다. 찰룸빈 풍력발전소에서 우루라 스테이션 풍력발전소(Wooroora Station Wind Farm)로 변경했다. 환경 승인을 얻기 위해 축소한 터빈 수는 절반으로 줄인다. 기존 86개에서 42개만 설치한다. 야생동물의 서식지 등 지역 생태계의 훼손을 막기 위해서는 열대우림 인근에 1km의 보호 구역을 구현했다. 기존 풍력발전소 위치는 세계유산으로 등록된 열대 우림에서 불과 600m 떨어져 있었다. 안소니 루소(Anthony
[더구루=길소연 기자] 한화비전이 멕시코 법인을 설립해 라틴 아메리카 사업 확대를 꾀한다. 중남미 지역의 영업 역동성을 바탕으로 고객에게 가치 있는 솔루션을 제공한다는 목표이다. 6일 업계에 따르면 한화비전은 중남미 지역의 더 나은 지원을 위해 멕시코에 법인 설립을 추진한다. 또 연말까지 100개 이상의 협력업체와 함께 라틴 아메리카에서 지속적으로 사업을 확장할 계획이다. 영업망도 넓힌다. 새로운 파트너사를 추가하고, 지역 내 가상 인증과 현지 교육을 통해 교육 프로세스를 강화할 예정이다. 마틴 가설라(Martin Gasulla) 한화비전 남미 지역 커머셜 디렉터는 "중남미 지역의 영업 역동성을 바탕으로 업계에서 차별화된 이니셔티브를 추진하고 고객에게 가치 있는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다"고 밝혔다. 한화비전은 멕시코를 교두보로 삼고 중남미 지역의 보안시장을 공략한다는 방침이다. 현재 멕시코에는 5개의 판매 대리점이 있다. 지난해에는 멕시코 보안전시회 참석으로 중남미 시장 확대 진출을 모색했다. 당시 한화비전은 박람회에서 신규 라인업을 선보였다. 고위 경영진도 참여해 최첨단 기술과 혁신을 소개하고, 관객과의 관계 강화로 영상보안 솔루션의 새로운 발전을 공유했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폴란드 국영 방산그룹 PGZ(Polska Grupa Zbrojeniowa)와 다연장로켓 K239 천무의 폴란드향 '호마르-K(HOMAR-K)' 멀티형 발사대와 유도 미사일 생산 협력에 관한 계약을 체결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기술 이전으로 호마르-K는 유도 및 비유도 등 다양한 유형의 전술 미사일을 발사할 능력을 획득한다. 6일 업계에 따르면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지난 5일(현지시간) 폴란드 키엘체에서 열린 '제31회 국제방위산업전시회(MSPO) 2023'에서 PGZ와 이 같은 내용의 협력 계약을 체결했다. 행사에는 손재일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사장과 세바스찬 흐바웨크(Sebastian Chwałek) PGZ 회장이 참석했다. 이번 협력은 70대의 호마르-K 발사대와 1만기 이상의 정밀유도 미사일을 포함하는 2차 집행 계약의 이행을 지원한다. 또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폴란드 PGZ를 비롯해 폴란드 군에게 다양한 기술 이전을 돕는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2차 이행협정에 따른 기술 이전을 위해 우리 정부로부터 수출 허가를 획득할 예정이다. 유도 미사일 생산도 협력한다. 239mm CGR-80 유도 미사일 관련 기술이전은 한화
[더구루=길소연 기자]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이 폴란드 국영 방산그룹 PGZ(Polska Grupa Zbrojeniowa)와 FA-50 경공격기 운용 지원에 합의했다. FA-50 운영과 물류를 지원하는 것은 물론 향후 이어질 장비 공급에 대한 전반적인 협력을 진행한다. 6일 업계에 따르면 KAI는 5일(현지시간) 폴란드 키엘체에서 열린 '제31회 국제방위산업전시회(MSPO) 2023'에서 PGZ와 FA-50 항공기 지원 프로그램에 관한 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식에는 강구영 KAI 사장과 세바스찬 흐바웨크(Sebastian Chwałek) PGZ 회장이 참석해 FA-50과 한국형 전투기 KF-21 '보라매'의 협력에 관한 합의서에 서명했다. KAI는 지난해 폴란드 FA-50 48대 수출 계약을 체결한 후 납품을 진행 중이다. 올 연말까지 수출형 FA-50GF를 총 12대 인도할 예정이다. <본보 2023년 8월 25일 참고 FA-50 첫 비행 성공한 폴란드 조종사 '엄지척'…"F-16 대체 가능, 사용 범위 넓어"> 나머지 36대는 폴란드 공군의 요구도를 반영해 FA-50 성능개량 버전인 FA-50PL 형태로 납품한다. 2025년 하반기부터 2028
[더구루=길소연 기자]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투자한 이스라엘의 항공 기술 스타트업 인피니돔(infiniDome)이 영국에서 무인항공기(UAV) 보호 솔루션을 최초로 시연한다. 5일 업계에 따르면 인피니돔은 오는 12일부터 14일까지 영국 런던 엑셀 전시센터에서 열리는 'DSEI(Defence and Security Equipment International) 2023'에 참가해 최초로 UAV 보호에 적합한 위성항법장치(GPS) 방해 전파 방지 솔루션을 라이브 시연한다. DSEI는 영국 국방부와 국제 무역부가 주관하는 국제 방산 장비 박람회이다. 인피니돔은 DSEI에서 이스라엘 전시관 1번 홀 H1-160 부스를 마련해 자사의 GPS 방해 전파 방지 솔루션을 선보인다. 인피니돔의 혁신적인 솔루션은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재밍 공격으로부터 무인 항공기 및 기타 차량을 보호하도록 설계돼 매우 까다로운 환경에서도 지속적인 작동이 가능하다. 재밍은 GPS를 무력화하는 전파 방해 공격이다. 군사 분야뿐 아니라 배달용 드론, 로봇, 자율주행 등 민간 분야의 새로운 위협이 되고 있다. 방문객들은 인피니돔 부스에서 진행되는 라
[더구루=길소연 기자] 포스코인터내셔널의 자회사인 호주 천연가스 기업 세넥스 에너지(이하 세넥스)가 연이어 수주 잭팟을 터뜨리고 있다. 세넥스는 장기공급 계약 체결로 수익 구조를 탄탄히 확보하는 한편, 그린수소 등 친환경 에너지전환 사업으로 전환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는 평가다. 5일 업계에 따르면 세넥스는 호주 건축 자재 제조업체인 CSR과 10억 달러(약 1조3000억원) 규모의 17페타줄(국제에너지 측정 단위) 가스 구매 계약을 체결했다. 공급 기간은 2025년부터 최대 10년이다. CSR의 이번 계약을 통해 석고보드, 단열재 및 벽돌을 제조하는 공장에 안전하고 안정적인 가스 공급을 보장받는다. 가스 계약의 세부 가격은 공개되지 않았지만 연방 정부의 기준 가격인 기가줄(GJ)당 12달러(약 1만원)로 추정된다. 줄리 코츠(Julie Coates)는 CSR 최고경영자(CEO)는 "석고 보드, 단열재 및 벽돌을 제조하는 공장에서 가스 공급은 일자리와 미래 투자에 대한 확실성을 제공한다"며 "안정적인 가스 공급을 확보하는 것은 제조 공장을 운영 외에도 미래에 투자할 수 있는 자신감을 준다"고 밝혔다. CSR은 세넥스의 8번째 고객이 됐다. 앞서 세넥스는
[더구루=길소연 기자] 두산밥캣의 프랑스 텔레핸들러 사업장이 생산 60주년을 맞았다. 5일 업계에 따르면 두산밥캣은 생산 60주년을 맞이한 프랑스 낭트 북서쪽에 위치한 퐁샤토 공장에서 올해 11만1000번째 텔레핸들러를 생산했다. 이중 밥캣 브랜드의 텔레핸들러는 약 3만대이다. 필립 마레스코(Philippe Marescot) 퐁샤토 공장 매니저는 "현재 텔레핸들러 라인업은 농업, 건설, 렌탈을 주요 시장으로 하는 5개 플랫폼의 14개 모델로 구성됐다"며 "지난 10년 동안 약 3000만 유로(약 430억원)를 투자해 시장 수요를 충족하고 시장 요구에 부합하는 성장 궤도를 유지하기 위해 공장의 역량을 강화했다"고 말했다. 텔레핸들러는 무거운 자재를 운반하고 배치하는데 사용되는 유압 리프팅 기계이다. 지게차와 크레인의 장점을 융합했다. 밥캣의 텔레핸들러는 건설공사 현장부터 농장, 재활용 공장 등 다양한 작업장에서 사용된다. 두산밥캣의 텔레핸들러는 프랑스 루아르-아틀란티크에 있는 퐁샤토 공장에서 생산된다. 이 공장은 유럽과 중동, 아프리카, 러시아와 CIS(독립국가연합), 미주, 오세아니아 등 전 세계로 수출되는 밥캣 텔레핸들러의 본거지이다. 매일 최대 17대의
[더구루=길소연 기자] HD현대인프라코어가 중국 중심 성장세를 벗어나 브라질 등 신흥시장 개척을 위한 신제품을 론칭한다. 브라질에서 신규 건설기계 브랜드 디벨론(DEVELON)의 차세대 미니 굴착기를 선보여 실적을 견인한다. 5일 업계에 따르면 HD현대인프라코어는 2.8톤(t)급 디벨론 미니 굴착기 'DX27Z-7M'을 브라질 시장에 출시했다. 새로운 모델은 이전 세대 장비는 물론 현지 시장의 다른 미니 굴착기보다 더 넓은 작업 범위와 더 높은 리프팅 용량, 굴착력을 제공한다. 미국과 유럽의 배출가스 규제 '스테이지 5(Stage V)'를 만족한다. DX27Z-7M는 장비의 센서를 통해 데이터를 수집, 텔레매틱스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최신 버전(3.0)의 디벨론 차량 관리 시스템을 표준으로 설치한다. 디벨론 제품군에서 가장 작은 모델로, 실시간 장비 모니터링이 가능한 디지털 솔루션 서비스 '디벨론 플릿 매니지먼트(DEVELON Fleet Management)'를 탑재했다. 새로운 플랫폼 디자인과 새로운 상부 구조로 내구성과 견고성이 향상됐다. 제로 테일 스윙 설계로 건설, 조경과 유틸리티 프로젝트의 좁은 공간에서 작업하는 데 이상적이다. 2400RPM에서
[더구루=길소연 기자] 필리핀 전력사 아보이티즈파워(Aboitiz Power)가 미국과 캐나다에서 원자력 기술을 탐구한다. 필리핀 정부가 기후 변화에 대응하고자 단계적으로 석탄화력을 폐쇄하고 원전을 짓는 에너지 믹스 정책에 발맞춰 선행 학습에 나선다. [유료기사코드] 5일 업계에 따르면 엠마뉴엘 루비오(Emmanuel Rubio) 아보이티즈파워 사장 겸 최고경영자(CEO)는 내달 말 미국 원전 설계 업체인 뉴스케일파워와 초소형모듈원전(MMR) 전문기업 USNC(Ultra Safe Nuclear Corp)를 방문한다. 엠마뉴엘 루비오 CEO는 "미국 방문의 목표는 뉴스케일파워와 USNC의 기술을 더 많이 이해하는 것"이라며 "개발 과정을 이해하고 원전 전문업체에 무엇이 있고, 어떻게 생겼는지 직접 보고 싶다"고 말했다. 뉴스케일파워는 가압기, 증기발생기, 노심을 하나의 용기 안에 넣어 일체화한 소형 모듈형 원자로(SMR)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1기당 77㎿인 SMR 'VOYGR™'를 개발해 세계 무대를 누비고 있다. 2029년 준공을 목표로 미국 아이다호주에 소형원전 프로젝트를 추진 중이다. USNC는 4세대 초고온 가스로 MMR을 개발했다. USNC의 MM
[더구루=길소연 기자] 한국과 폴란드가 공동 개발중인 '신형 차륜형 장갑차(Nowy Kołowy Transporter Opancerzony, NKTO)'가 베일을 벗었다. 차륜형 장갑차는 무한궤도를 장착한 전차와 달리 일반 자동차처럼 바퀴로 움직이는 보병전투차량(IFV)을 말한다. 바르트워미에이 쿠차르스키(Bartłomiej Kucharski) 폴란드 군사전문가는 지난 1일 소셜미디어(SNS) 엑스(옛 트위터)에 신형 차륜형 장갑차 개념도를 게시하며 "이 개념도는 NKTO 개발의 출발점이 될 것"이라며 "현대로템은 폴란드 국영 방산그룹 PGZ S.A.의 전략적 파트너로 1년 전 계약을 체결했을 것"이라고 밝혔다. 한국과 폴란드는 차륜형 장갑차를 공동 개발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폴란드 국영 방산 그룹 PGZ가 지난해 현대로템과 합의해 차륜형 장갑차를 기반으로 신규 공동 연구개발을 추진한다. 새로운 장갑차는 폴란드 사격 통제 시스템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전투 모듈로 만들어 적 장갑 차량을 파괴하는 능력을 향상시킨다. 또한 노스롭 그루먼(Northrop Grumman)에서 제조한 30mm 부시마스터(Bushmaster) Mk 44/S 대포로 무장한다. 7.62m
[더구루=길소연 기자] KSS해운이 중형가스운반선(MGC) '가스 비너스(GAS VENUS)호’의 기름 유출 사고로 벌금을 낼 처지다. 4일 업계에 따르면 KSS해운은 스페인 이베리아반도 남단에 위치한 지브롤터 항구에서에서 MGC 가스 비너스호의 기름 유출 혐의로 착수금(보증금) 190만 달러(약 25억원)를 물게 됐다. 착수금에는 벌금 2만 파운드에 해안청소비가 포함됐다. 가스 비너스호의 기름 유출 사고는 지난달 1일(현지시간) 선박이 암모니아 운송 중 지브롤터에서 연료 선박과 벙커링을 하던 과정에서 발생했다. 지브롤터 해협은 대서양과 지중해를 잇는 유일한 통로이다. 선박에 연료 벙커링 중 약 2000~3000리터의 기름이 바다로 유출됐고, 일부는 해변 두 곳으로 흘러 들어갔다. 법원 자료에 따르면 연료는 초당 60리터의 속도로 유출됐다. 유출 시간은 30초에서 1분 사이였다. 사고로 선박 측면에 기름 얼룩이 남았고 지브롤터 항구 남서쪽의 사우스 몰(South Mole) 근처에서도 기름 흔적이 관찰됐다. 사고 후 항구는 일시적으로 폐쇄됐고, 며칠 동안 정화 작업이 진행됐다. 이번 기름 유출 사고는 선박의 연료 탱크가 넘쳐서 유출됐다. 지난달 29일 열린 청
[더구루=홍성일 기자] 세계 최대 전자상거래 기업 아마존(Amazon)이 로봇 기술과 인공지능(AI)을 결합해 미국 스마트 물류 시스템 표준을 정립하고 있다. 물류 효율성이 기업 경쟁력의 핵심으로 떠오르면서, 아마존의 행보가 업계 전반에 걸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평가다. [유료기사코드] 25일 코트라 로스앤젤레스무역관 보고서에 따르면 아마존의 스마트 물류 시스템은 미국 연방정부가 제정한 '인프라 투자 및 일자리 법(IIJA, Infrastructure Investment and Jobs Act)' 등과 맞물려 미국 물류 산업 전반의 지능형 전환을 이끌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아마존은 지난 2012년 로봇 기술 스타트업 '키바 시스템(Kiva Systems)' 인수를 기점으로 물류센터 자동화를 본격화했다. 현재는 △프로테우스(Proteus) △카디널(Cardinal) △스패로(Sparrow) 등 다양한 첨단 로봇과 AI 기반 소프트웨어를 통해 물류 처리 속도와 정확성, 비용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있다. 2022년 공개된 프로테우스는 사람과 동일한 공간에서 충돌 없이 자율주행하며 카트를 운반하는 완전 협업형 로봇이다. 카디널은 머신러닝 기반 비전 시스템
[더구루=홍성일 기자] 대만 전자제품 위탁생산(EMS) 기업 위스트론(Wistron)이 엔비디아(NVIDIA)의 인공지능(AI) 서버 생산을 위해 미국 제조 시설 건설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엔비디아는 위스트론, 폭스콘 등과 손잡고 미국 AI 인프라 구축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유료기사코드] 24일 업계에 따르면 제프 린(Jeff Lin) 위스트론 최고경영자(CEO)는 최근 개최된 연례 주주총회에서 "내년 중 미국 텍사스주 댈러스 공장을 준공하고 블랙웰(Blackwell) 아키텍처 기반 AI 서버 생산을 시작할 것"이라고 밝혔다. 위스트론 댈러스 공장은 엔비디아의 대대적인 미국 AI 인프라 구축 사업에 따라 건설된다. 엔비디아는 지난달 최대 5000억 달러(약 690조원)를 미국 AI 인프라 구축에 투자할 것이라고 밝혔다. 엔비디아는 AI 인프라 구축 사업에 필요한 슈퍼컴퓨터 등을 미국에서 생산하겠다고 밝히며 폭스콘, 위스트론과 협력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에 따라 폭스콘도 텍사스주 휴스턴에 새로운 공장을 건설하고 있다. 폭스콘 휴스턴 공장에서는 반도체 칩 테스트, 모듈 통합 작업 등이 진행된다. 위스트론은 엔비디아 외에 미국 내 추가 고객사 확보에도 나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