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길소연 기자] 브라질이 신규 전동차 도입을 본격화한다. 브라질 현지에서 경쟁력을 입증한 현대로템이 다시 한 번 수주를 노린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브라질개발은행(BNDES)은 25일(현지시간) 브라질 상파울루주에 2호선-그린(Green) 열차와 급행열차 IC(Intercidades, 인터시다데스) 전동차 구매를 위해 100억 헤알(약 2조7000억원)의 자금 조달을 승인했다. BNDES이 대출한 100억 헤알은 상파울루의 철도 모빌리티 프로젝트에 쓰인다. 64억 헤알은 상파울루의 수도와 캄피나스를 연결하는 철도 노선인 인터시다데스 에이소 노르떼(TIC Eixo Norte) 공공 기여에 사용되고, 나머지는 36억 헤알은 메트로 2호선-그린 노선 확장을 위한 44량의 열차 구매에 사용된다. 금융 계약은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 시우바 브라질 대통령이 고관절 수술에서 회복되는 대로 진행한다. TIC 아이소 노르테의 프로젝트는 내년에 양허 경매가 진행된다. 타르시지우 지 프레이타스 상파울루 주지사가 양허 경매를 11월 말에서 내년으로 미뤘다. 브라질은 2021년 수주 기업이 일정 기간 후 정부에게 사업체를 되돌려주는 양허 방식을 폐지했다. 이로인해 사업
[더구루=길소연 기자] SK텔레콤의 글로벌 도심항공교통(UAM) 파트너인 조비 에비에이션(Joby Aviation·이하 조비)이 미국 공군에 전기 수직 이착륙기(eVTOL) 초도 물량을 인도했다. 이는 미국에서 최초로 전달된 에어택시이다. 26일 업계에 따르면 조비는 25일(현지시간) 캘리포니아 에드워즈 공군 기지에 9대의 eVTOL 중 첫번째 기종을 인도했다. 조비는 앞으로 몇 달 동안 공군과 조비 조종사가 항공기의 능력을 입증하기 위해 에드워즈 공군 기지에서 합동 비행 시험을 실시할 예정이다. 조비측은 "기지 내 운영에는 공군 조종사와 항공기 정비 승무원의 훈련도 포함된다"며 "미국 국방부는 eVTOL 항공기의 성능에 대한 귀중한 통찰력을 제공하고, 조비는 2025년 상업용 여객 서비스 개시를 준비하는 동안 현장 운영과 훈련 경험을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조비는 지난 4월 25일 미 공군과 5500만 달러(약 725억원) 규모로 9대의 eVTOL를 납품하고 운영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이 계약은 미 공군의 eVTOL 개발 지원 프로그램인 어질리티 프라임(Agility Prime)의 일환으로 진행됐다. 이후 조비는 미국 공군으로부터 약 740억원 규모의
[더구루=길소연 기자] 네팔 항공 당국이 대한항공의 네팔 노선 항공편 운항을 중단한다. 네팔이 수개월간 한국 내 정기 항공편 절차를 개시하기 위해 노력했음에도 불구하고 한국이 비행 허가를 승인하지 않자 대한항공의 네팔 운항을 금지한다. 26일 업계에 따르면 네팔민간항공청(Civil Aviation Authority of Nepal, CAAN)은 다음달 29일부터 시작되는 동계시즌 동안 네팔을 오가는 대한항공 항공편 운항을 보류하기로 결정했다. 네팔 항공당국은 이미 대한항공에 항공편을 예약한 여행객에게는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동계시즌부터 운항 정지를 발효한다. CAAN이 대한항공의 네팔 운항을 중단한 건 2001년 체결된 한-네팔 양국 간 항공서비스 협정(2004년 개정)을 위반한 데 따른 것이다. CAAN은 한국이 네팔 국적 항공사인 네팔항공의 운항 인가를 안전상의 이유로 미루자 대한항공이 독과점 상황을 조성하고 있다고 판단했다. 대한항공은 네팔에 취항한 지 몇 년이 지났지만, 네팔만 한국민간항공청(KOCA)으로부터 수년동안 서울 정기편 운항 허가를 받지 못해 항공편을 운항하지 못하고 있다. 대한항공의 네팔 노선 독점 운영 탓에 운임도 비싸다. CAAN은 대
[더구루=길소연 기자] 한화오션이 노르웨이 해양시추기업 노던드릴링 사이에서 발생한 원유시추선(드릴십) 중재 소송에서 최종 승소했다. 재판부가 한화오션의 손을 들어주면서 한화오션은 노던드릴링에 할부금 이자와 손해배상금을 지불하지 않아도 된다. 26일 업계에 따르면 런던중재법원은 한화오션과 노덜드릴링의 드릴십 2척에 대한 재판매 계약 종료에 따른 중재 소송에서 피고인 한화오션에 승소 판결했다. 런던중재법원은 원고인 노덜드릴링의 청구를 기각하고, 이자와 손해배상 비용에 대한 한화오션의 청구는 향후 심리에서 결정하기로 했다. 노던드릴링은 2018년에 한화오션과 총 6억 달러(당시 약 6500억원)에 드릴십 △웨스트 리브라(West Libra) △웨스트 아퀼라(West Aquila) 2척에 대한 매각 계약을 맺었다. 그러나 한화오션의 납품 지연을 이유로 계약을 취소했다. <본보 2019년 10월 8일 참고 [단독] 대우조선, '4100억' 재고 드릴십 매각 불발…계약해지 통보 받아> 노던드릴링은 한화오션의 계약 위반으로 매입이 불발된 만큼 선금 환불 등 손해배상을 요구하며 손해배상 청구 소송을 제기했다. 노던드릴링은 "1억8000만 달러(약 2244억원)를
[더구루=길소연 기자] 현대제철은 탄소중립 로드맵을 기반으로 한 전기로-고로 복합 프로세스와 저탄소 브랜드까지 이어지는 '통합 솔루션'을 선보인다. 현대제철은 다음달 11일부터 13일까지 대구 엑스코에서 열리는 국내 최대 철강·비철금속산업전 'SMK 2023'에 참여한다고 26일 밝혔다. 현대제철은 △탄소중립 로드맵 △전기로-고로 복합 프로세스 △브랜드 제품 등의 섹션으로 이뤄진 전시관을 준비한다. 이를 통해 현대제철의 친환경 경영과 3대 브랜드인 '에이치 코어(H-CORE)', '에이치 솔루션(H-SOLUTION)', '하이에코스틸(HyECOsteel)'의 인지도를 높인다는 계획이다. 전시장은 '패스웨이 투 그린 스틸(Pathway to Green Steel)'이라는 콘셉트를 내세워 현대제철이 걸어온 길과 앞으로 걸어갈 길을 소개, 회사의 무한한 잠재력을 느낄 수 있게 공간을 구성했다. 현대제철은 이번 산업전시회를 통해 참관객 모두에게 수준 높은 참관 기회와 현대제철의 프리미엄 브랜드 경험을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현대제철은 탄소중립 로드맵 섹션에서 중장기적인 탄소중립 로드맵과 하이큐브, 전기로-고로 복합 공정 소개, 현대제철 70년의 역사를 소개한다. 현대
[더구루=길소연 기자] 포스코가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해외 투자 확대를 검토한다. 화석 연료 위주의 전력 시스템을 친환경 공정으로 전환하고, 전략적으로 판단해 해외 투자도 늘린다는 방침이다. 26일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포스코 탄소중립 정책을 총괄하는 김희 포스코 탄소중립담당 상무는 "탄소 배출이 없는 철강 제조로 전환하려면 2050년까지 청정 에너지를 사용해 생성된 그린 수소가 연간 약 370만 톤(t)이 필요하다"며 "이는 생산업체가 호주를 포함한 해외 국가로 눈을 돌리게 하는 요인"이라고 말했다. 공정 시스템을 친환경 공정으로 전환하고, 나아가 해외로 투자를 확대할 수 있다는 얘기다. 김 상무는 "다른 지역에서 업스트림 공정을 하는 것은 여러 가지 위험이 따르기 때문에 최후의 수단으로 고려할 것"이라며 "이는 포스코가 기후 변화에 대한 약속을 이행하는 데 얼마나 절박한지를 보여준다"고 강조했다. 포스코는 16개국에 사업장과 자회사를 두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철강을 한국에서 생산하고 있다. 포스코는 '2050 탄소중립'을 선언했다. 탄소중립 정책은 2017~2019년 평균 배출량과 비교해 △2030년까지 10% △2035년까지 30% △2040년까지
[더구루=길소연 기자] 슬로베니아가 신규 원자력 발전소의 용량 확장을 추진한다. 미국 원전기업 웨스팅하우스를 비롯해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과 프랑스 EDF가 추가로 건설에 참여해 원전의 용량을 늘린다. [유료기사코드] 25일 업계에 따르면 슬로베니아 국영 에너지 회사인 젠 에너지(Gen Energija)는 신규 원자력 발전소의 규모를 계획한 용량 1100MW에서 두배로 늘려 2400MW으로 확장하는 것을 검토한다. 슬로베니아는 현재 크르슈코 원전 2호기 건설을 추진 중이다. 오는 2028년까지는 최종 투자 결정을 내려 2037년 완공을 목표로 한다. 테얀 파라반(Dejan Paravan) 젠에너지 최고경영자(CEO)는 "신규 원전의 용량을 두 배로 늘리고자 한다"며 "전력 수요가 증가하고 슬로베니아 인근 국가 투자자들의 관심도 높아졌다"고 밝혔다. 법 개정으로 인해 원전의 용량도 1100MW로 제한되지 않는다. 잠재적 공급자들로 인해 원전이 더 큰 용량으로 확장할 수 있다는 얘기다. 1100MW 원자로를 제공하는 미국 웨스팅하우스 외 한수원과 프랑스 EDF가 참여해 두 개의 원자로 블록을 추가로 건설한다. 한수원은 슬로베니아 원전 시장에서 주요 설비 공급사로
[더구루=길소연 기자] 포스코가 동반성장위원회(이하 동반위)에서 선정하는 2022 동반성장지수 평가에서 최고 등급인 최우수 등급을 받았다. 철강업계에서 올해 최우수 등급을 받은 것은 포스코가 유일하다. 포스코는 지난 18일 동반위가 개최한 '제76차 동반성장위원회'에서 2022년 동반성장지수 평가 '최우수' 등급을 획득했다고 25일 밝혔다. 포스코는 4년 연속 동반성장지수 '최우수' 등급을 받으며 '최우수 명예기업(3년 이상 연속 최우수사)'이라는 영예를 이어가게 됐다. 동반위는 대·중견기업 214개사를 대상으로 2022년 동반성장지수 평가 결과를 확정 발표했다. 이번에 발표한 동반성장지수 평가 결과에서는 포스코를 포함해 상위 총 41개사가 최우수 등급으로 선정됐다. 동반성장지수는 대·중소기업 간 동반성장 촉진을 목적으로 대·중견기업의 동반성장 수준을 평가하여 계량화한 지표이다. 동반위에서 주관하는 '동반성장 종합평가'와 공정거래위원회에서 주관하는 '공정거래협약 이행평가'를 합산해 산정하고 있다. 포스코는 지난해 공급망 내에서의 공정거래 문화 정착과 비즈니스 파트너와의 상생을 위해 다각적 노력을 한 점을 인정받아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 특히 포스코는 이해관계
[더구루=길소연 기자] 한화가 인도네시아의 마이닝(mining) 서비스를 위해 인력 채용에 나선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PT한화마이닝서비스인도네시아(Hanwha Mining Services Indonesia)는 인도네시아 마이닝 사업을 위해 현지에서 졸업생 개발 프로그램(GDP)의 기술서비스 담당자를 채용한다. 기술서비스직의 주요 업무는 표준운영절차(SOP)에 따라 업무를 수행한다. 작업 수행 시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며 지면진동 측정과 분석 및 대응, 전자발파피스템(HEBS II) 문제 해결과 제품 모니터링, 드릴과 폭발 감사 등을 한다. GDP는 다양한 분야에서 새로운 졸업생의 기술을 개발, 연마하고 그들에게 채용 기회를 제공하도록 설계됐다. 기술서비스직 지원 자격은 광업과 공학 학사 학위를 가진자로, 최소 경험으로 기술 서비스 1년이상의 경력자를 선호한다. 신규 졸업생도 지원 가능하다. 최대 30살의 나이 제한이 있다. 영어를 유창하게 구사해야 하며, 현장 출장이 가능한 자면 된다. 드릴링과 블라스팅에 대한 지식이 있으면 현장 배치된다. PT한화마이닝서비스인도네시아는 "자격요건을 충족한 지원자만 지원 가능하다"며 "채용 시 최소 교육 자격을 'D3-S1
[더구루=길소연 기자] 현대로템이 내년 10월 싱가포르에 전동차를 납품한다. 철도 개통에 앞서 테스트 목적으로 초도 물량이 공급된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로템은 내년 10월 싱가포르 육상교통청(Land Transport Authority, LTA)에 주롱지역선 전동차 초도물량 3량 1편성을 전달한다. 내년 중반 공급될 예정이었으나, 현지 사정으로 3개월 납품이 지연된다. 공급되는 전동차는 186량, 62편성으로 운행최고속도 70km/h의 무인운전차량이다. 2026년 개통 예정이었으나 차량 공급 지연과 현지 역 건설 사정으로 2027년으로 개통이 미뤄진다. 현대로템은 전동차 차량을 창원공장에서 생산해 2027년까지 순차적으로 납품 완료한다. 열차는 싱가포르에 도착하기 전 한국에서 신호, 통신, 제어 시스템이 완벽한지 점검하고 문제를 조속히 해결하는 등 테스트를 진행할 예정이다. 이후 싱가포르 테렝가누(Terengganu) MRT 차고지에서 추가 테스트를 거친다. 현대로템의 전동차는 주롱에 들어설 신규 노선인 주롱지역선에 투입된다. 주롱은 싱가포르 남서쪽에 있는 공업지대로 싱가포르 정부의 대규모 상업지구 개발 추진과 함께 향후 말레이시아~싱가포르 고속열차
[더구루=길소연 기자] 우크라이나 다용도 수륙양용 플랫폼 개발업체 타하(TAHA)가 HD현대인프라코어의 개발 디젤엔진을 탑재한 수륙양용차를 출시했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타하는 HD현대인프라코어 디젤엔진을 장착한 수륙양용차 △타하 카브리올레(TAHA Cabriolet) △타하 3400(TAHA 3400)△타하 1200(TAHA 1200)등을 선보였다. 수륙양용차는 육상 외에 수상 또는 수중에서도 기동할 수 있는 자동차다. 주로 군사용으로 쓰이지만, 민간에서 사용될 때는 관광이나 취미에 이용된다. 군사용은 도하작전이나 상륙작전 등을 위해 배치된다. 수륙양용차는 바다에서 육지에 상륙하자마자 타고있는 차량 그대로 돌진해 빠르게 위험지대를 벗어나게 한다. 다만 여타 제품에 비해 마력이 빈약해 중량을 무작정 늘릴 수 없어 특이한 형태를 가지거나, 장갑이 얇아지는 단점이 존재한다. 타하가 출시한 수륙양용차 타하 카브리올레는 극한의 자연 조건과 모든 유형의 지형에서 작동하도록 설계된 다용도 수륙양용 플랫폼이다. 최대 1m 높이의 장애물을 극복하고 물 위에 떠 있을 수 있다. 최대 속도는 시속 40km다. 물 위의 최대 속도는 6km/h이다. 지상고는 600mm, 유효
[더구루=길소연 기자] 한화의 K-9 자주포 기술로 개발된 튀르키예의 주력 자주표 'T-155 피르티나(T-155 Firtina)'가 튀르키예군의 우크라이나 지상 배치에 등장했다. 24일 업계에 따르면 튀르키예 아틸라 부대는 10문 이상의 새로운 피르티나 155mm 자주포를 우크라이나 키프로스로 수송했다. 튀르키예군이 최근 키프로스의 지상 위협에 대응하고 공격 배열을 더욱 강화하는데 T-155 피르티나 자주포를 배치한 것이다. T-155 피르티나는 2001년 K-9 자주포의 기술을 이전 받아 튀르키예에서 생산한 자주포다. 2001년 K9 자주포에 튀르키예어 '피르티나(Firtina·폭풍)' 이름을 붙여 수출됐다. 155mm 52구경장 포신을 장착, 포탄에 따라 최대 40km의 사거리를 보여준다. 튀르키예 현지 사격 통제 시스템 등이 적용됐지만 큰 틀에서 한국에서 생산되는 등 K9 자주포의 파생형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지난 7월에 우크라이나 전장으로 향했다. <본보 2023년 7월 7일 참고 'K-9 자주포 기술 적용' 튀르키예 T-155 프르트나, 우크라戰 투입된다> 현재 튀르키예는 한국에서 생산된 초도물량 8문을 포함해 280문의 피르티나 자
[더구루=홍성일 기자] 메타가 글로벌 에너지 기업 '어플라이드 에너지 서비시스(Applied Energy Services Corporation, AES)'와 태양광 에너지 공급 계약을 맺었다. 메타는 이번 계약을 통해 미국 중남부 지역 데이터센터 전력망을 강화한다. [유료기사코드] 26일 업계에 따르면 메타는 AES와 2건의 장기 전력 구매계약(PPA)를 체결했다. 이번 계약으로 메타는 총 650메가와트(MW) 규모 태양광 발전 용량을 확보하게 됐다. 이번 계약은 AES가 텍사스와 캔자스에서 진행하고 있는 태양광 발전 프로젝트에 따라 이뤄졌다. AES는 텍사스에서 400MW, 캔자스에서 250MW 규모 태양광 발전 시설을 구축하고 있다. 해당 시설이 완성되면 텍사스를 비롯한 미국 중남부 지역에 전력을 공급하는 사우스웨스트 파워 풀(SPP) 전력망과 연결된다. AES와 메타는 전력 공급 시작 시점과 기간 등 상세한 계약 내용은 공개하지 않았다. AES 대변인은 "통상 상업 운영 시작 2~3년 전에는 구매계약을 체결하며, 평균 계약 기간은 15~20년"이라고 설명했다. 메타는 AES에서 공급받은 전력을 텍사스 주와 캔자스 시티에 위치한 데이터센터 가동에 투입한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중국 1위 디스플레이 업체인 BOE(징둥팡, 京東方)가 8.6세대(유리원장 크기) 능동형 유기발광다이오드(AMOLED) 생산개시 채비에 들어갔다. HB테크놀러지, 한화모멘텀, 로체시스템즈 등 국내산 디스플레이 장비업체의 설비가 들어가는 BOE의 OLED 패널 생산기지는 중국 OLED 생산능력을 확대하는데 일조한다. BOE는 중국 최초이자 세계 첫 최신 세대 AMOLED 생산으로 글로벌 OLED 시장의 주도권을 확보한다는 전략이다. [유료기사코드] 26일 시장조사업체 위츠뷰(witsview)에 따르면 BOE는 쓰촨성 청두(成都) 하이테크 산업개발구에 건설한 AMOLED 공장에 공정 장비를 반입하기 시작했다. AMOLED 생산라인 반입 프로젝트는 당초 예정보다 4개월 앞당겨졌다. 공장이 지난해 3월 착공해 약 6개월만에 완공되자 설비 반입 작업도 빨라졌다. 반입되는 장비 중에는 국내 디스플레이 장비 업계의 장비도 있다. BOE는 지난해 마스크 결함검사 장비, 박막봉지(TFE) 에이징용 원적외선 오븐 장비, 8세대 원장 커팅장비를 공급하는 업체로 각각 HB테크놀러지, 한화모멘텀, 로체시스템즈 등을 선정했다. 자동광학검사(AOI) 장비에 특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