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길소연 기자] 내년에 풍력 기반의 추진체계를 갖춘 대형 선박 수가 50척을 돌파할 전망이다. 해양업계의 탈탄소화를 향한 노력과 풍력 보조 추진장치의 기술 적용이 맞물린 결과다. 8일 국제풍력선박협회(IWSA)에 따르면 연초 140만DWT 규모였던 풍력추진선 선복량이 내년 초엔 최대 300만DWT, 약 50척으로 늘어난다. 현재 운항 중인 대형 풍력추진선 수는 30척 이상이며, 향후 관련 사양으로 개조 가능(wind-ready)한 물량은 8척으로 집계된다. 해운업계는 해양환경규제 강화로 풍력추진선과 풍력 추진선 기술 시스템을 도입하고 있다. <본보 2023년 9월 2일 참고 해양환경규제 강화로 풍력추진선 도입 활발> 미국 초대형 무역회사 카길(Cargill)은 지난달 21일(현지시간) 일본 미쓰비스(Mitsubishi Corporation)외 영국 선박 엔지니어링 회사 바(BAR) 테크놀로지, 노르웨이의 해양 정화 솔루션 기업인 야라마린 테크놀로지(Yara Marine Technologies)와 협력해 미쓰비시로부터 용선한 벌커 '픽시스 오션(Pyxis Ocean)'호에 차세대 풍력추진 설비인 '윈드윙스(WindWings)'를 설치했다. 영
[더구루=길소연 기자] 글로벌 컨테이너 선대의 확장 속에 공급 과잉 우려가 나온다. 컨테이너 시장 역사상 가장 빠른 속도로 선대가 증가해 수요와 공급 밸런스의 불균형이 발생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8일 싱가포르 해운·항만 분석기관 라이너리티카(LinerLytica)에 따르면 현재의 컨테이너선 인도량이 역대 최고 수준으로, 이같은 공급 과잉 현상이 앞으로 약 2년간 이어질 예정이다. 라이너리티카는 글로벌 컨테이너선 용량이 신규 선박 인도를 비롯해 용량 업그레이드와 폐기 용량 등을 고려해도 컨테이너 시장 역사상 가장 빠른 속도로 선대가 확대되고 있다고 전했다. 컨테이너 선대의 월 평균 증가율이 2006~2008년과 2014~2015년 기준 12만TEU에 불과했지만 현재는 지난 4월 이후 월평균 19만TEU 이상을 기록한다. 지난 10년간 글로벌 컨테이너 선대의 연간 성장률은 약 100만TEU 수준이다. 그러나 올 한해 인도량은 220만TEU에 달할 전망이다. 특히 과거 코로나19 특수에 따른 호황기 시절 발주했던 컨테이너선 인도량이 올해부터 2025년까지 증가하면서 컨테이너선 신조선은 더욱 늘어난다. 내년 인도 예정 컨테이너선은 391척, 300만TEU으로 예상된
[더구루=길소연 기자] 파나마 운하가 일일 통행 가능 선박 수를 또다시 하향했다. 극심한 가뭄으로 인해 운하 수위를 유지하기 위한 담수 확보가 어려워져 통행량을 줄인다. 8일 업계에 따르면 파나마 운하관리청(Autoridad del Canal de Panamá, ACP)은 다음달 1일부터 일일 파나마 운하 통행 가능한 최대 선박 수를 32대에서 31대로 축소한다. 가장 규모가 큰 네오파나막스(Neo Panamax)급 선박은 하루 9대, 파나막스급 선박은 하루 22대가 운하를 이용할 수 있다. ACP는 "극심한 가뭄으로 인해 운하 수위를 유지하기 위한 담수 확보가 더욱 어려워져 통행 가능한 최대 선박 수를 하향 조정했다"고 설명했다. ACP는 통행량 외 운하 이용 선박의 흘수 제한도 44피트로 유지한다. 흘수 제한은 운하를 이용하는 선박이 이전만큼 많은 화물을 싣고 통행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과거 선박 흘수 제한은 50피트였다. ACP는 파나마 운하 통행 제한 정책을 장기간 유지할 전망이다. 파나마 운하는 인근의 가툰(Gatun) 호수의 담수를 끌어와 운하의 수위를 유지 중이다. 문제는 가툰 호수의 담수가 줄고 있어 수위 유지가 힘들다. 지난해 88피트
[더구루=길소연 기자]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회원국인 불가리아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서방 무기를 구매하고 있다. 2004년부터 구소련 무기에 대한 의존도가 높았지만 불가리아의 흑해 해안에서 고폭탄을 탑재한 드론 파편이 발견되면서 무기 구매를 서두르고 있다. 7일 업계에 따르면 불가리아는 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이후 다수의 서방 무기 제조 업체들과 27억 달러(약 3조 6490억원) 상당의 무기 구매 계약을 체결했다. 불가리아는 러시아 위협 증대에 대응해 무기 전력을 개선하고 있다. 불가리아는 지난달 18일 흑해 연안에서 드론 잔해로 의심되는 물체가 발견했다. 해당 드론에는 82mm 박격포탄이 실린 것으로 알려졌다. 불가리아 국방부는 특수부대를 투입해 드론에 부착된 폭발물을 처리했다. 드론 처리 후 국경 지역 경계를 강화하고 있다. 니콜라이 덴코프(Nikolai Denkov) 불가리아 총리는 "누구도 흑해 도시에 접근하지 못하도록 해안경비대를 위한 미사일을 구매하기 시작했다"며 "러시아의 호전성(好戰性)은 우크라이나가 러시아의 유일한 목표가 아닐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불가리아는 올 초부터 무기 체계 현대화를 추진해왔다. 불가리아군
[더구루=길소연 기자] 올 3분기 조선업계에 친환경 고부가가치 선박인 LNG운반선 수주량이 저조하다. 7일 영국 조선·해운시황 분석기관 클락슨리서치에 따르면 올해 1∼7월 전 세계 누적 발주는 2312만CGT(표준선 환산톤수·858척)로, 작년 동기 대비 25% 줄었다. 현재 조선업계 수주 잔량에 포함된 LNG 운반선이 320여척으로, 기존 선대의 약 52%를 차지한다. 지난해보다 LNG 운반선 발주량이 줄어 올 3분기(7~9월)에는 글로벌 조선소들이 수주한 LNG 운반선 수는 10척에 그쳤다. 1월부터 9월까지 LNG 운반선 누적 수주량은 44척이다. 이는 작년 170척 이상 발주가 이뤄졌던 것과 비교하면 큰 폭으로 하락했다. LNG 운반선은 한국이 전 세계 발주량의 87%를 차지하는 '효자' 선종이다. 노후 선박 교체 주기와 국제해사기구(IMO) 환경 규제가 맞물려 LNG운반선 수요는 급증하고 있다. 국내 조선 '빅3'인 HD한국조선해양과 한화오션, 삼성중공업은 하반기 진행하는 카타르 LNG운반선 프로젝트 2차 발주를 기대하고 있다. 카타르는 12조원 규모의 총 40척에 달하는 LNG 운반선을 발주를 위해 국내 조선소외 협상을 진행 중이다. 국내 조선소가
[더구루=길소연 기자] 고유가 시대가 지속되면서 해상에서 원유·가스를 시추·생산하는 해양플랜트 수요가 늘고 있다. 7일 영국의 조선해운시황 분석기관 클락슨 리서치에 따르면 올 한 해 총 1705억달러(약 232조원) 규모의 사업이 최종투자결정(FID)을 확정 지을 예정이다. 지난 10년간 해양 프로젝트 투자 금액 중 최대 규모다. 올 상반기에 FID가 내려진 해양플랜트 프로젝트만 약 895억 달러(약 121조원) 규모에 이른다. 하반기에는 111조원 규모의 FID가 예정됐다. 해양플랜트는 2010년대 초반 고유가 시대에 접어들면서 바다에 매장된 석유와 가스를 발굴, 시추, 생산하기 위해 다수 투자가 이뤄진 대표적인 고부가가치 사업이다. 글로벌 경기침체와 탄소중립 전환에 따른 부담으로 해양플랜트 발주가 저조하다 고유가 기조에 따라 다시 증가하고 있다. 국내 조선 3사는 해양플랜트 수주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HD한국조선해양은 지난 7월 호주 우드사이드 에너지에 총 1조5800억원 규모의 부유식 원유생산설비(FPU) 1기를 수주했다. 삼성중공업은 이탈리아 에니(ENI)가 추진하는 아프리카 모잠비크 코랄 2차 프로젝트 수주 가능성이 높다. 삼성중공업은 지난해 12
[더구루=길소연 기자] HD현대건설기계의 지게차 해외 판매법인인 현대머티리얼핸들링이 HD현대사이트솔루션-머티리얼핸들링으로 사명을 변경한다. 6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머티리얼핸들링은 HD현대사이트솔루션-머티리얼핸들링(HDHyundai Xitesolution-Material Handling)으로 사명을 바꾼다 첨단 소재 취급 장비 제조의 글로벌 리더로서 자리매김하고자 함이다. 현대머티리얼핸들링은 브랜드 리뉴얼에 따라 모든 장비에 새로운 사명과 로고, 브랜딩 색상 등의 디자인을 입혀 업데이트한다. 새 로고는 고객의 효율성과 생산성을 돕기 위해 새로운 혁신과 방법을 찾아 앞으로 나아가겠다는 HD현대의 의지를 담았다. 루이스 바이어스(Lewis Byers) 현대머티리얼핸들링 북미 사업 최고운영책임자(COO)는 "현대머티리얼핸들링이 변경하는 새 사명과 이미지는 혁신에 대한 HD현대의 의지와 미래에 대한 메시지를 보여준다"고 밝혔다 현대머티리얼핸들링은 미국 조지아 주 노크로스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미국과 캐나다 전역의 166개 지역에 56개의 딜러를 보유하고 있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탈탄소 시대를 선도하기 위한 조선, 해운, 에너지 등 탈탄소 연관산업이 탈탄소화를 위해 국제적인 협력을 모색한다. 국회 글로벌혁신연구포럼은 오는 11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탈탄소 경관산업 경쟁력 강화 정책토론회'를 개최한다고 6일 밝혔다. 대한조선학회 '신동식 포럼'이 주관하는 이번 토론회는 국제적으로 강화되는 해양환경규제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글로벌 선도국가와 공동으로 협력하는 방안을 모색한다. 나아가 우리나라가 탈탄소를 통한 조선, 해운 및 에너지 등 전후방 연관산업이 세계시장 지배력을 확대해 나아가기 위한 지혜를 모으고자 한다. 토론회는 송상근 서울대학교 객원교수가 좌장을 맡고 ㈜한양의 권효재 상무 등 산학연 전문가가 토론에 참여할 예정이다. 한국수출입은행의 양종서 박사가 '글로벌 협력 기반 탈탄소 연관산업 경쟁력 강화방안', 고려대학교 김인현 교수가 '조선산업의 영업상 리스크 분산 법제도 도입방안'이라는 주제로 발제한다. 국민의힘 최형두 국회의원은 "이번 토론회를 계기로 우리나라가 글로벌 중추국가로서 조선, 해운 및 에너지 등 탈탄소 관련 연관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주요선진국가와 전략적 협력을 구축해가는 전략이 도출되길
[더구루=길소연 기자] SK이노베이션이 투자를 단행한 미국 스타트업 아모지가 세계 최초 암모니아 연료 해양작업지원선(Platform Supply Vessel, PSV) 사업에 참여한다. [유료기사코드] 6일 업계에 따르면 아모지는 최근 다국적 해운사 브르봉 호라이즌(Bourbon Horizon)와 암모니아 구동 해양지원선(PSV) 운영을 골자로 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브르봉 호라이즌은 프랑스 해운사 브루봉그룹(Bourbon Group)과 노르웨이 해운사 호라이즌 마리타임(Horizon Maritime) 등이 공동 설립했다. 브르봉 호라이즌은 이번 MOU를 통해 암모니아 연료 PSV에 아모지의 암모니아-전력 솔루션을 장착한다. 해상에서 중단 없는 작업을 보장하기 위해 암모니아 탱크 용량은 100입방미터 범위가 된다. 전체 시스템은 노르웨이선급협회(DNV)가 개발 중인 프로토콜을 준수한다. 아모지의 암모니아 전력 시스템은 배기가스 배출이 없는 운항을 위해 선박의 주 전력을 공급한다. 고효율 암모니아 발전 기술이 하이브리드 연료전지 시스템에 통합된 분해 모듈을 통해 액체 암모니아를 공급해 전기 모터에 동력을 공급한다. 현재까지 아모지의 암모니아 전력화
[더구루=길소연 기자] 올해 '기업공개(IPO) 대어'로 꼽힌 두산로보틱스가 세계 협동로봇(Cobot)시장에서 주요 키플레이어로 꼽혔다. 6일 글로벌시장조사기관 베리파이드 마켓 리서치(Verified market research)에 따르면 글로벌 협동로봇산업 규모는 오는 2030년 168억달러(약 22조6800억원) 규모에 달할 전망이다. 연평균 성장률도 40%에 달한다. 협동로봇은 효율성, 안전 및 산업 운영 향상에 중점을 두면서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없어서는 안 될 존재가 됐다. 협동로봇 시장에서 가장 눈에 띄는 기업은 두산로보틱스다. 또한 △덴마크 유니버설로봇(Universal Robots) △일본 화낙(Fanuc) 대만 테크맨 로봇(Techman Robot) △스위스 ABB, 중국 아우보 로보틱스(AUBO Robotics) △일본 야스카와(YASKAWA) △독일 쿠카(KUKA) △미국 프리사이스 오토메이션(Precise Automation) △독일 리싱크트로보틱스 (Rethink Robotics) 등도 주요 플레이어로 부각됐다. 2015년에 출범한 두산로보틱스는 주요 사업 영역인 최고 품질의 협동로봇을 기반으로 다양한 솔루션 패키지와 플랫폼 소프트웨어
[더구루=길소연 기자]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투자한 이스라엘의 항공 기술 스타트업 인피니돔(infiniDome)이 영국에 이어 미국에서도 무인항공기(UAV) 보호 솔루션을 시연한다. 6일 업계에 따르면 인피니돔은 오는 9일부터 11일까지 미국 워싱턴DC 워싱턴 컨벤션센터에서 열리는 미국 육군전시회(AUSA 2023 Annual Meeting & Exposition)에 참가해 무인기 보호 솔루션을 선보인다. AUSA 전시회는 미 육군협회가 주관하는 세계 최대 규모의 지상군 분야 방산전시회다. 세계 최대인 미국 시장을 노리는 전 세계 방산 기업들이 매년 관심을 보이고 있다. 우리 정부도 K9 자주포, 천궁Ⅱ, 현궁, 전술지대지유도무기 등 주력 상품에 대한 무기체계 영상을 만들어 각 정부나 기업들에 배포하는 방안을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인피니돔은 AUSA에서 부스 #556를 마련해 자사 솔루션의 라이브 데모를 전시하고 수행할 예정이다. 위성측위시스템(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NSS)을 전파 방해로부터 보호하는 최신 고급 제품인 항재밍 솔루션 'GPSDome2'도 선보인다. 전시회 방문객들은 인피니돔 부스에서 진
[더구루=길소연 기자] 한화비전이 와이즈넷 통합관리 시스템(Video Management System, 이하 VMS)에 인공지능(AI) 안면 인식 기능을 탑재한다. 한화비전은 AI 안면인식 기능으로 엑스포나 박람회장과 같은 곳에서 개인의 출입을 통제하는 동시에 실종자 추적을 신속하게 수행하는 등 감시 기능을 강화한다. 6일 업계에 따르면 한화비전은 와이즈넷 웨이브(Wisenet WAVE)의 영상관리시스템(VMS)에 AI 기반 안면 인식 기술의 선두주자인 대만 사이버링크(CyberLink)의 안면 인식 API 플랫폼 '페이스미(FaceMe®)'를 통합한다. 영상관리 플랫폼 와이즈넷 웨이브 사용자는 페이스미를 통해 차단 목록에 있는 개인 감지, 실시간 경고, 직원 접근 제어 기능, 최적화된 얼굴 검색 기능으로 기존 스마트 보안과 접근 제어 인프라를 손쉽게 업그레이드할 수 있다. 한화비전의 와이즈넷 웨이브 VMS는 영상과 음성 분석 기능을 활용하면서 한화 CCTV 카메라의 영상 감시를 모니터링, 녹화, 관리하는 영상 관리 시스템이다. 안면 인식 API 플랫폼 '페이스미(FaceMe®)'는 얼굴 인식 결과의 비디오 타임라인 표시를 통해 사람을 쉽게 찾을 수 있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메타가 글로벌 에너지 기업 '어플라이드 에너지 서비시스(Applied Energy Services Corporation, AES)'와 태양광 에너지 공급 계약을 맺었다. 메타는 이번 계약을 통해 미국 중남부 지역 데이터센터 전력망을 강화한다. [유료기사코드] 26일 업계에 따르면 메타는 AES와 2건의 장기 전력 구매계약(PPA)를 체결했다. 이번 계약으로 메타는 총 650메가와트(MW) 규모 태양광 발전 용량을 확보하게 됐다. 이번 계약은 AES가 텍사스와 캔자스에서 진행하고 있는 태양광 발전 프로젝트에 따라 이뤄졌다. AES는 텍사스에서 400MW, 캔자스에서 250MW 규모 태양광 발전 시설을 구축하고 있다. 해당 시설이 완성되면 텍사스를 비롯한 미국 중남부 지역에 전력을 공급하는 사우스웨스트 파워 풀(SPP) 전력망과 연결된다. AES와 메타는 전력 공급 시작 시점과 기간 등 상세한 계약 내용은 공개하지 않았다. AES 대변인은 "통상 상업 운영 시작 2~3년 전에는 구매계약을 체결하며, 평균 계약 기간은 15~20년"이라고 설명했다. 메타는 AES에서 공급받은 전력을 텍사스 주와 캔자스 시티에 위치한 데이터센터 가동에 투입한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중국 1위 디스플레이 업체인 BOE(징둥팡, 京東方)가 8.6세대(유리원장 크기) 능동형 유기발광다이오드(AMOLED) 생산개시 채비에 들어갔다. HB테크놀러지, 한화모멘텀, 로체시스템즈 등 국내산 디스플레이 장비업체의 설비가 들어가는 BOE의 OLED 패널 생산기지는 중국 OLED 생산능력을 확대하는데 일조한다. BOE는 중국 최초이자 세계 첫 최신 세대 AMOLED 생산으로 글로벌 OLED 시장의 주도권을 확보한다는 전략이다. [유료기사코드] 26일 시장조사업체 위츠뷰(witsview)에 따르면 BOE는 쓰촨성 청두(成都) 하이테크 산업개발구에 건설한 AMOLED 공장에 공정 장비를 반입하기 시작했다. AMOLED 생산라인 반입 프로젝트는 당초 예정보다 4개월 앞당겨졌다. 공장이 지난해 3월 착공해 약 6개월만에 완공되자 설비 반입 작업도 빨라졌다. 반입되는 장비 중에는 국내 디스플레이 장비 업계의 장비도 있다. BOE는 지난해 마스크 결함검사 장비, 박막봉지(TFE) 에이징용 원적외선 오븐 장비, 8세대 원장 커팅장비를 공급하는 업체로 각각 HB테크놀러지, 한화모멘텀, 로체시스템즈 등을 선정했다. 자동광학검사(AOI) 장비에 특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