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환 기자] 현대캐피탈 독일 자회사 얼라인 모빌리티 그룹(Allane Mobility Group)이 공정차량평가(Fair Vehicle Valuation) 인증을 획득했다. 얼라인은 독일 VMF협회의 공정차량평가 기준을 적용한다고 17일 밝혔다. 이에 따라 얼라인은 차량 반환 절차를 진행할 때 이 기준에 맞춰 투명하고 공정한 절차를 따르게 된다. 이는 얼라인 모든 브랜드에 적용되며 1년간 유효하다. 얼라인 측은 "이번 인증은 전문 지식과 역량을 비롯해 신뢰할 수 있는 리스 회사로서의 임지를 강화한다"고 평가했다. 얼라인은 독일 뮌헨 인근 풀락에 본사를 둔 리스사로 디지털·모빌리티 컨설팅 분야를 선도하고 있다. 현대캐피탈은 지난 2020년 유럽법인을 통해 이 회사의 지분 92%를 인수하며 경영권을 확보했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독일의 글로벌 엔지니어링 기업 지멘스(Siemens)가 산업용 메타버스 구현을 위해 대규모 투자를 단행한다. 지멘스는 디지털 트윈과 실제 생산 자산과 연결을 통해 산업용 메타버스 핵심 허브를 육성한다. 지멘스는 지난 13일(현지시간) 10억 유로(약 1조4200억원)를 투자해 독일의 혁신 역량을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투자는 지멘스의 20억 유로 글로벌 투자 전략의 일환이다. [유료기사코드] 먼저 지멘스는 10억 유로 중 5억 유로를 에를랑겐에 새로운 기술 캠퍼스를 구축하는데 투입한다. 지멘스는 새로운 기술 캠퍼스를 글로벌 연구 개발 허브이자 산업 메타버스를 위한 글로벌 허브로 육성한다는 목표다. 지멘스가 산업용 메타버스 구축을 위해 에를랑겐에 새로운 캠퍼스를 구축하는 것은 이미 해당 지역에 고도로 자동화된 생산시설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지멘스는 1965년 에를랑겐 남부에 연구 센터를 열었으며 2013년 전체 영역을 새롭게 재건설하는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에를랑겐 캠퍼스의 부지는 54만㎡(제곱미터)이며 2016년 인프라 작업을 시작해 2017년 착공했다. 현재는 3500명이 넘는 직원들이 근무하고 있다. 지멘스는 에를랑겐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그룹이 인도네시아 하늘에 미래항공모빌리티(AAM)를 띄운다. 신(新)수도 스마트 시티 개발 일환으로 AAM 연구개발(R&D) 센터 설립 추진을 병행하고 있는 만큼 운영 시기가 앞당겨질 것으로 기대된다. 17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그룹은 오는 2028년 누산타라(Nusantara Capital City, IKN)에서 AAM을 운영할 계획이다. 이는 지난 12일 현대차그룹 본사를 방문한 인도네시아 기자단 간담회를 통해 밝혀진 내용이다. 김혜영 현대차 스마트시티추진실장은 "친환경 배터리를 탑재하는 등 비용 절감에 초점을 맞춰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다"며 "AAM 운영 관련 현지 정부와도 적극 소통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인도네시아는 동남아 최대 항공 시장이다. 국토가 1만 8000개 이상의 섬으로 이뤄져 육로 교통이 발달하기 힘든 지리적 특성을 갖고 있다. 때문에 수도를 이전하는 과정에서 스마트 모빌리티 시스템을 적극적으로 도입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특히 새로운 미래 수도인 IKN의 경우 인구 밀집도가 높아 대기오염과 소음공해 등이 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현대차그룹은 향후 AAM 운영이 이 같은 문제들을 해결하는
[더구루=길소연 기자] 아시아나항공이 이달과 다음달 두 달간 독일 프랑크푸르트에 초대형 항공기에어버스 A380을 띄운다. 이미 A350을 운항 중인데 A380을 추가해 여름 성수기의 여객 수요에 대응한다. 17일 업계에 따르면 아시아나항공은 지난 12일부터 다음달 6일까지 '인천~프랑크푸르트' 노선에 A380을 투입한다. 운항 일정은 이달 12일, 14일, 16일, 19일, 21일, 23일, 26일, 28일, 30일과 8월 2일, 4일, 6일이다. 수,금,일요일에만 A380이 투입된다. 오전 9시 40분에 인천국제공항을 출발해 16시30분에 프랑크푸르트 공항에 착륙한다. 귀국편은 오후 6시 40분에 인천국제공항으로 출발해 오전 1시 15분쯤 도착한다. 현재 311석 규모의 A350을 운행하고 있는데 추가로 400석 규모의 A380을 투입한다. A380 여객기로 좌석수는 2배 가까이 증가하는 효과를 볼 수 있다. A380은 현존하는 항공기 중 최대 인원을 수송할 수 있다. 다만 임금협상 결렬에 따른 아시아나항공 조종사노동조합의 쟁의행위로 노선 결항 가능성은 있다. 지난 15일까지 국내선 8편이 결항됐고, 국제선 35편과 국내선 19편 등 총 54편이 지연됐다.
[더구루=한아름 기자] 쿠쿠홈시스가 헬시 리빙(Healthy Living)을 핵심 사업축으로 삼고 해외 시장 공략에 나선다. 현지 헬스케어 브랜드 '오가와'와 협업해 안마의자를 개발한다. 수익처를 다변화해 안정적인 실적을 내겠다는 계획이다. 쿠쿠홈시스 해외 합작법인 쿠쿠인터내셔널은 지난 14일 오가와 말레이시아와 함께 차세대 안마의자를 선보였다. 안마의자 이름은 '쿠쿠 비스포크 안마의자'다. 오가와 말레이시아의 웰니스 기술과 쿠쿠 인터내셔널의 비욘드 스탠다드 서비스가 결합했다. △맞춤형 롱트랙 SL프레임 △에어백 30개 △45°C 온열요법 △무중력 포지션 2단계 △자동 마사지 코스 6가지 △마사지 기능 11가지 등을 즐길 수 있다. 쿠쿠인터내셔널과 오가와 말레이시아의 안마의자 공동 개발을 위한 MOA(합의각서)를 기반으로 상업화됐다. 월 139 링깃(약 4만원) 규모의 렌탈 사업과 정기 서비스가 함께 제공된다. 쿠쿠인터내셔널은 6개월에 한 번씩 10가지 항목의 점검 서비스를 진행한다. 서비스 기간 3년째엔 가죽 교체 서비스 1회도 제공해 안마의자를 최상의 컨디션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번 MOA가 쿠쿠인터내셔널의 해외 매출 확대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
[더구루=정등용 기자] 세계 2위 구리 대국으로 평가 받는 페루가 구리 생산량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페드로 카스티요 대통령 탄핵 이후 구리 생산에 차질을 빚기도 했지만 다시 본궤도에 오른 모습이다. 다만 구리 가격 상승 흐름은 지속될 것이란 분석이 지배적이다. 17일 페루 광업에너지부(Ministerio de Energía y Minas)에 따르면 가장 마지막으로 통계가 집계된 지난 5월 기준 페루의 구리 생산량은 23만4781t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35% 증가한 수치다. 광업에너지부는 광업 기업 세로베르데(Cerro Verde)와 안타미나(Antamina), 서던 코퍼(Southern Copper)의 구리 생산량 증가가 요인이 된 것으로 봤다. 페루는 칠레에 이어 글로벌 구리 생산량 2위를 유지해왔다. 하지만 지난해 12월 카스티요 대통령 탄핵 이후 광업 기업을 두둔해온 정부 정책에 불만을 표시하는 지역 원주민들의 목소리가 높아졌다. 실제로 페루 구리 광산 기업들은 지역 원주민들의 시위로 구리 생산에 차질을 빚었으며, 일각에선 페루가 콩고민주공화국에 세계 2위 구리 생산국 지위를 넘겨줄 것이란 위기론이 제기되기도 했다. 페루 구리 생산량
[더구루=홍성일 기자] 컴투스의 블록체인 메인넷 XPLA(엑스플라)와 파트너십을 맺은 탈중앙화 웹3 인프라 기업 사가(SAGA)의 파트너십이 급증하고 있어 그 배경에 관심이 모아진다. 17일 업계에 따르면 사가의 이노베이터 프로그램(Innovator Program)에 참가하는 프로젝트가 224개에 달한다. 2022년 9월 기준 52개였던 것에 비해 1년만에 4배가 증가한 것이다. [유료기사코드] 사가 이노베이터 프로그램은 개발자들을 위한 포괄적인 블록체인 개발 툴, 리소스 생태계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으로 개발자들을 이를 통해 백엔드 시스템을 구축하지 않아도 프로젝트를 개발할 수 있다. 사가는 이노베이터 프로그램 구축을 위해 셀레스티아 랩스, 폴리곤, 아바 랩스 등과 손잡았다. 사가의 웹3 인프라 프로토콜을 개발자들이 쉽게 블록체인 게임, 엔터테인먼트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특히 개발자가 전용 블록 스페이스를 구축해 높은 처리량, 사가를 사용하는 다른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종속성 없음, 손쉬운 업그레이드와 혼잡성 완화 등을 보장한다. 이는 블록체인 기술이 주류 기술이 되는데 걸림돌로 뽑혔던 문제들이다. 또한 인프라에 대한 가스 요금이 예측 가능
[더구루=김도담 기자] 올해 상반기 미국에서 가장 많은 차량을 리콜한 제조사는 포드인 것으로 확인됐다. 미국 도로교통안전국(National Highway Transportation Safety Administration, 이하 NHTSA)에 따르면 포드는 올해 1~6월에만 브레이크 및 유압 시스템 수리 등 차량 결함 문제로 총 410만대의 차량을 리콜한 것으로 17일 확인됐다. 포드의 리콜 차량 중 가장 규모가 큰 것은 구형 퓨전 차량이다. 이 차량은 앞 브레이크 호스 파열등의 문제로 총 130만대에 달하는 차량이 리콜 대상이다. 이밖에 기타 장비(100만건), 후진 보호장치(80만건) 등의 문제로 포드는 가장 많은 차량을 리콜했다. 뒤를 이어 혼다가 2번쨰로 많은 280만대의 차량(11건)을 리콜했으며, GM도 190만대, 10건의 리콜이 발생했다. 크라이슬러(170만대), 닛산(130만대), 베르세데스 벤츠(32만대) 등도 전기 시스템, 에어백, 파워트레인 등의 결함 발생으로 리콜 조치를 취했다. 상반기 미국 시장 전체 자동차 리콜 건수는 245건으로 전년 동기 대비 3.4% 증가했다. 다만 NHTSA는 리콜 대상 차량 대수 총량은 같은 기간 대비 11%
[더구루=오소영 기자] ㈜두산의 미국 소재 연료전지 자회사 '하이엑시엄(HyAxiom)'이 미국 매사추세츠주 중서부 도시 홀리오크(Holyoke)에 연료전지 설치를 모색한다. 현지 전력사 홀리오크 가스 앤 일렉트릭(Holyoke Gas and Electric, 이하 HG&E)과 이를 활용한 그린수소 생산을 추진한다. 17일 업계에 따르면 하이엑시엄은 HG&E와 그린수소 사업 협력을 검토하고 있다. 매사추세츠주 홀리오크에서 하이엑시엄의 연료전지를 활용해 수소 생산을 추진한다. 아직 논의 초기 단계로 투자비와 생산 규모 등은 확정되지 않았다. 하이엑시엄은 주력 사업인 발전용 인산형 연료전지(PAFC)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PFAC는 액체 인산을 전해질로 이용한다. 우수한 내구성을 자랑하며 다양한 연료 이용이 가능하다. 실시간 부하변동에 적시에 대응할 수 있도록 빠른 응답성을 자랑한다. 이러한 장점을 토대로 올해 초 존 F.케네디 국제공항(JKF 국제공항)에서 진행되는 수소연료전지 사업을 따냈다. JFK국제공항 내 제1·2 터미널 통합·확장 개발 프로젝트 사업자인 칼라일 컨소시엄과 연료전지 공급계약을 체결했다. 하이엑시엄은 홀리오크에 공급을 추
[더구루=김형수 기자] 메디힐이 일본 젠더리스 뷰티 시장 공략에 고삐를 죄고 있다. 현지 한정판 뷰티 아이템 3종을 론칭하고 소비자 유치에 힘을 쏟는다는 전략이다. 기존 주력 제품이었던 마스크팩이 아닌 다양한 뷰티 상품을 출시하며 포트폴리오 다각화에 힘쓰는 모습이다. 17일 메디힐 일본 유통업체 세키도(Sekido)에 따르면 메디힐은 일본 공식 온라인스토어를 통해 시트마스크 1종과 파우더워시 2종 등의 선판매를 시작했다. 티트리포어 AP 마스크 JEX와 티트리포어 파우더워시·티트리 카밍 파우더 워시 등이다. 메디힐은 티트리포어 AP 마스크 JEX가 피부를 매끈매끈하게 만들고 모공이 눈에 띄지 않게 해주는 블랙 시트 마스크라고 소개했다. 피부가 거칠어지는 것을 방지해주는 블랙티트리, 보습 효과를 지닌 하이드로디퍼, 각질을 케어해주는 PHA 성분 등이 들어있다. 사용감이 깔끔해 여름에도 쾌적하게 쓸 수 있다는 설명이다. 티트리포어 파우더워시에는 블랙 티트리, 포어필애시드 등이 함유돼 있어 블랙헤드, 잡티 등을 효과적으로 없애주는 세안제다. 파우더가 물에 녹으면서 만들어진 쫀득한 거품이 모공 속까지 깨끗하게 씻어준다는 것이다. 티트리 카밍 파우더 워시에는 티트리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바이오 기업 로이반트 사이언시스(Roivant sciences)가 글로벌 제약사인 스위스 로슈(Roche)와 궤양성 대장염 신약 라이선스 매각을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유료기사코드] 17일 월스트리트저널(WSJ) 등에 따르면 로이반트 사이언시스와 로슈는 궤양성 대장염 치료를 위한 TL1A(종양괴사인자 유사 리간드1A) 표적 항체 후보물질 'RVT-3101'의 권리 매각을 위한 협상을 진행 중이다. 거래액은 70억 달러(약 8조8700억원)로 추정된다. RVT-3101은 TL1A를 억제하는 첫 신약 후보로 염증 발생뿐 아니라 섬유화도 억제한다. TL1A는 염증·섬유증을 활성화하는데 주요 역할을 하는 TH1와 TH17 경로에 관여하는 사이토카인물질이다. 궤양성 대장염이란 대장의 점막 또는 점막하층에 국한된 염증을 특징으로 하는 원인 불명의 만성 염증성 장 질환이다. 미국 내 궤양성 대장염 환자 수는 약 200만명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의 경우 2018년 기준 약 4만7000명에 수준인 것으로 알려졌다. 2014년 설립된 로이반트는 인공지능(AI)·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T) 플랫폼과 임상개발 전문가 그룹 등을 활용
[더구루=한아름 기자] '매출 38조원.' 삼성에서 분리된 범삼성家 CJ그룹의 '홀로서기' 30년 성적표다. CJ는 1993년 삼성으로부터 독립경영을 선언해 분리작업을 시작했고 1996년 제일제당그룹을 출범한 이후 1997년 4월 16일 삼성과 완전히 갈라져 30년간 급성장했다. 국내를 넘어 북미에서도 존재감을 드러내고 있다. 미국 현지에서도 CJ를 '주목해야 할 기업'(One To Watch)으로 집중 조명하며 삼성·현대·LG 등 유명 한국 브랜드와 같이 높은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고 호평했다. 17일 재계에 따르면 CJ의 탄생은 삼성의 역사와 맞닿아 있다. 이병철 삼성그룹 창업주의 철학을 3대째 이어오면서 국내 제일의 '메세나 경영' 기업으로 자리매김했다. 메세나 경영은 기업이 문화예술을 적극 지원함으로써 사회에 공헌하는 활동을 뜻한다. 르네상스 시대 레오나르도 다빈치, 미켈란젤로 등을 후원했던 이탈리아 피렌체의 메디치가가 대표적인 예다. 현재는 문화콘텐츠·식음료 등 트렌디한 사업에 집중하는 기업답게 그룹 계열사들은 젊은 조직문화로 정평 나 있다. 이 때문에 CJ는 취업준비생이 입사하고 싶은 기업으로 최고 인재를 속속 확보, 미래 경쟁력에도 청신호가 켜졌
[더구루=홍성일 기자] 글로벌 클라우드 기업 오라클 클라우드 인프라스트럭처(Oracle Cloud Infrastructure, 이하 오라클)가 엔비디아 블랙웰 그래픽처리장치(GPU) 기반 슈퍼클러스터 구축에 속도를 내고 있다. OCI는 엔비디아 블랙웰 GPU를 10만 장 이상 확보해 슈퍼클러스터를 구축할 계획이다. [유료기사코드] 30일 엔비디아에 따르면 오라클은 GB200 NVL72을 도입, 최적화를 완료했다. 오라클은 이번 GB200 NVL72 도입으로 블랙웰 GPU 수천 개를 확보했다. 오라클이 도입한 GB200 NVL72는 엔비디아 그레이스 중앙처리장치(CPU) 36개와 블랙웰 GPU 72개가 결합된 랙 스케일 시스템으로, 에이전트 AI 시스템 구축에 사용된다. 오라클은 새롭게 도입된 GB200 NVL72 시스템을 기반으로 공공·소버린(sovereign, 주권) 클라우드는 물론 기업에도 블랙웰 GPU를 제공한다는 목표다. 이번 GB200 NVL72 시스템 도입은 OCI 슈퍼클러스터 계획에 따라 진행됐다. 오라클과 엔비디아는 지난 9월 라스베이거스에서 개최된 오라클 클라우드월드 콘퍼런스에서 블랙웰 GPU 10만 개 이상을 탑재한 슈퍼클러스터를 구축할 것
[더구루=홍성일 기자] 영국 반도체 설계기업 암(Arm)이 설립 40주년을 맞아 지금까지의 성과와 향후 계획을 공개했다. Arm은 향후 데이터센터와 인공지능(AI), 엣지 컴퓨팅 분야에 주목, 시장을 확대한다는 목표다. [유료기사코드] 30일 업계에 따르면 Arm은 최근 설립 40년만에 2500억번째 칩을 출하했다. ARM은 "1100억명이 살아온 동안 2500억개 이상의 Arm 반도체가 출하됐다"며 "이는 전세계에 존재했던 팔(arm)보다 Arm이 더 많이 존재한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Arm은 1978년 크리스 커리(Chris Curry)와 헤르마 하우저(Hermann Hauser)가 케임브리지에서 설립한 에이콘 컴퓨터스(Acorn Computers, 이하 에이콘)에서 시작됐다. 에이콘은 모든 교실에 컴퓨터를 배치하겠다는 영국 정부의 계획에 따라 BBC 마이크로(BBC Micro)를 개발·납품하면서 빠르게 회사규모를 확장했다. 에이콘은 BBC 마이크로를 개발하며 자체 프로세서도 개발하기로 결정했다. 에이콘의 운명을 바꾼 반도체는 1985년 출시됐다. 소피 월슨(Sophie Wilson)과 스티브 퍼버(Steve Furber)가 ARM1이라는 반도체를 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