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길소연 기자] 현대로템이 탄자니아에 인도한 전기기관차(electric multiple units, EMU)가 본격 상업운행에 돌입한다. 2일 업계에 따르면 탄자니아 철도공사(TRC)는 이달부터 현대로템이 제조한 전기기관차로 다르에스살람에서 모로고로 지역간 정기 여객 열차 운행을 시작한다. TRC는 "전기기관차는 최대 160km/h의 속도로 운행돼 두 지역 간 이동 시간을 단 90분으로 단축할 것"이라고 밝혔다. 다르에스살람에서 모로고로까지 버스로 이동할 경우 200km 도로를 운행, 약 4시간이 소요된다. TRC는 전기기관차 운행에 앞서 주행테스트를 시행, 기관차의 전기·브레이크 시스템 성능을 점검했다. <본보 2024년 1월 21일 참고 '현대로템 인도' 전기기관차 탄자니아서 주행 테스트> 현대로템이 납품한 EMU는 2021년 TRC로부터 수주한 전동차 80량과 전기기관차 17량 사업이다. 전동차는 2157억원, 전기기관차는 1197억원으로 총 3354억원 규모에 낙찰받았다. 현대로템은 올해 말까지 차량을 납품할 예정이다. 현대로템의 전동차와 전기기관차는 차량의 소음과 진동을 최소화해 고속 운행 시에도 승객에게 안정적인 승차감을 제공한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크래프톤 배틀그라운드 IP(지식재산권) 기반 모바일 배틀로얄 게임 '배틀그라운드 모바일(서비스명 펍지모바일)'이 120프레임 기능을 지원하며 고사양 스마트폰 이용자 서비스를 강화한다. 2일 업계에 따르면 배틀그라운드 모바일은 향후 실시될 3.2업데이트를 통해 120프레임(초당 120장 이미지 구현) 기능을 제공하기로 했다. 배틀그라운드 모바일의 버전 업데이트가 통상적으로 격달로 적용되는 만큼 5월 중 업데이트가 전망된다. 프레임이 증가하면 보다 부드러운 화면을 재생할 수 있게 때문에 향상된 게임 경험을 즐길 수 있게 된다. 현재 배틀그라운드 모바일은 90프레임까지만 지원하고 있다. 120프레임 기능 추가는 고사양 이용자들의 경험을 향상시켜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프레임이 높아지면 보다 고급 사양의 하드웨어가 필요하기 때문에 보급형 기기에서는 사용이 제한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업계에서도 이번 업데이트로 최소 중상급 이상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이용자들의 게임 성능이 향상될 것으로 보고 있다. 배틀그라운드 모바일은 현재 해당 기능에 대한 베타테스트를 진행하고 있다. 아직까지는 120프레임 활성화시 발열과 함께 배터리 소모가 늘어나는
[더구루=한아름 기자] CJ CGV가 특별관에 새로운 영상 설비를 도입한다. 신규 투자로 영상 기술 역량을 끌어올려 경쟁력을 제고한다는 계획이다. 미국 영상기술 기업 크리스티 디지털 시스템즈(Christie Digital Systems USA)는 2일 CJ CGVC와 레이저 프로젝터 설비 계약을 체결했다. CJ CGV는 크리스티 시네라이프+ 레이저 프로젝터 총 200대를 도입하고 국내와 중국, 베트남, 인도네시아 스크린X 상영관에 설치할 예정이다. 노후 및 저효율 프로젝터 교체를 통해 △영상 초고화질화 △고객 만족도 제고 △탄소배출 감축 등의 효과를 이끌어내겠다는 계획이다. 시네라이프+ 레이저 프로젝터는 시각 효과가 뛰어나다. 1초에 화면수(프레임)가 최대 120장인 고화질 기술이 적용됐다. 미국 할리우드 스튜디오 제작 기준인 디지털 시네마(DCI) 표준을 지원해 색 표현이 풍부하다. 최대 5만 시간 이상 사용할 수 있다. CJ CGV가 미래 성장 동력을 확보하기 위해 과감한 투자에 나섰다는 평가다. 최신 기술과 장비를 도입해 충성 고객의 수요를 확대하겠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앞서 CJ CGV는 키노톤코리아로부터 '부스리스(boothless)' 시스템을 도
[더구루=김형수 기자] 베트남 호텔기업 '퓨전호텔그룹'(Fusion Hotel Group·이하 퓨전)이 태국에 신규 지점을 오픈하고 동남아시아 시장 내 입지 강화에 나섰다. 퓨전의 동남아시아 영토 확장 전략에 파트너사인 야놀자에 호재로 작용할 것으로 점쳐진다. 2일 업계에 따르면 퓨전은 태국 유명 휴양지 푸켓에 '퓨전 스위트 푸켓 빠똥'(Fusion Suites Phuket Patong)을 개관했다. 퓨전이 태국에 연 첫번째 퓨전 스위트 지점이다. 퓨전은 다양한 체험을 추구하는 밀레니얼 세대 여행자들을 겨냥해 퓨전 스위트 푸켓 빠똥을 조성했다고 전했다. 해당 호텔은 141개 객실과 더불어 야외 수영장, 피트니스룸, 스파, 어린이 플레이룸 등의 부대시설을 갖추고 있다. 바다에서 패러세일링, 무인도 투어 등도 즐길 수 있다. 퓨전은 퓨전 스위트 푸켓 빠똥 오픈을 계기로 동남아시장 사업 확대에 속도를 낸다는 방침이다. 차별화된 숙박 경험을 제공하며 고객 만족도를 제고하는 데도 총력을 기울인다는 계획이다. 데이비드 로버츠(David Roberts) 퓨전 최고운영책임자(COO)는 "태국 최고의 관광지에 호텔을 열고 동남아시아 영토를 확장하게 된 것을 기쁘게 생각한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한국형 초음속 전투기 KF-21 '보라매'의 생산이 한국 방산의 새로운 수출 기회를 창출할 것이라는 주장이 나왔다. KF-21로 북한 안보위협에 대응해 방위력을 강화하고, 자체 방산 제조 역량을 개발해 국방 자립 촉진은 물론 우방국에 대한 수출길이 열릴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2일 영국의 시장조사기관 글로벌데이터(GlobalData)에 따르면 한국의 KF-21 생산 승인은 새로운 방산 수출 기회를 확대한다. 글로벌데이터는 KF-21은 북한의 위협을 억제하는 데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스텔스 설계로 한국항공우주산업(KAI)에게 수출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봤다. 최근 몇 년 동안 전 세계 공군은 스텔스와 무인기 기술 역량 확보를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 하프리트 시두(Harpreet Sidhu) 글로벌데이터 항공우주·방위산업 분석가는 "KF-21의 생산 시작은 한국의 방위산업에 중요한 진전이 될 것"이라며 "한국은 아시아 태평양(APAC) 지역에서 스텔스 전투기를 설계하고 배치하는 몇 안 되는 국가 중 하나로 자리매김 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북한의 지속적인 위협에 직면한 한국의 전반적인 목표는 주권 영토를 보호하는 동시에 자체
[더구루=홍성환 기자] 월가 대형 투자자문사 에버코어ISI가 미국 수소연료전지 기업 블룸에너지(Bloom Energy)의 주가 전망을 긍정적으로 바라봤다. [유료기사코드] 2일 투자전문매체 인베스팅닷컴(Investing.com)에 따르면 에버코어ISI는 불룸에너지에 대한 커버리지 개시하고 목표주가 '21달러', 투자 의견 '시장 수익률 상회(Outperform)'를 제시했다. 1일 현재 이 회사 주가는 11.73 달러로, 약 80% 상승 여력이 있다는 것이다. 에버코어ISI는 "불룸에너지의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판매가 향후 10년 동안 지속해서 확대할 것으로 예상되며 전해조 판매는 2025년부터 성장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또 이 회사의 에너지 서버는 연료에 구애 받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어 연료전지와 전해조 사이의 구성 요소를 쉽게 호환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풍력, 태양광, 원자력, 이외 재생가능 에너지원 등을 결합한 불룸에너지는 전탄소 미래에 주요 연료인 녹색수소의 장기적인 성장을 위한 위치에 있다"고 강조했다. 블룸에너지는 미국 캘리포니아에 소재한 수소 연료전지 발전기업이다. 블룸에너지는 현존하는 연료전지 중 가장 효율이 높은 SO
[더구루=오소영 기자] 한화가 일본에서 신규 태양광 모듈 브랜드 '리닷라이즈(Re.RISE®)'를 론칭했다. 주택용부터 산업용까지 포괄하는 고출력·고효율 모듈로 일본 태양광 에너지 시장에서 경쟁력을 높인다. 한화재팬(옛 한화큐셀 재팬)은 일본 태양광 시장을 겨냥한 브랜드 리닷라이즈를 선보였다고 2일 밝혔다. 리닷라이즈는 일본 시장에 특화된 양면형 제품으로 구성된다. 컴팩트한 사이즈로 좁은 지붕에도 설치가 가능한 주택용부터 대용량 산업용 모듈까지 아우른다. 이번에 출시된 모델은 △최대 출력 230Wp, 효율 20.8%인 'Re.RISE® S 230' △최대 출력 435Wp, 효율 22.3%인 'Re.RISE®-G2 435' △최대 출력 580Wp, 효율 22.5%인 'Re.RISE® L-G2 580' △최대 출력 610Wp, 효율 22.6%인 'Re.RISE® L-G2 BFG 610'이다. 주택용 모듈인 S 230은 일본 도쿄도 환경국으로부터 뛰어난 성능을 인정받아 보조금 지원 대상에 올랐다. 한화재팬은 향후 라인업을 확대할 계획이다. 일본 맞춤형 제품으로 시장 우위를 공고히 한다. 한화는 2011년 한화큐셀 재팬을 설립해 일본 시장에 진출했다. 작년 3월 한
[더구루=이연춘 기자] SPC그룹 파리바게뜨가 싱가포르 20호점인 ‘스퀘어2(Square2)점’을 개점했다. SPC그룹은 싱가포르를 동남아 시장의 거점으로 삼고 파리바게뜨와 쉐이크쉑 등의 매장들을 플래그십으로 운영하며, 주변 국가로 진출을 확대하는 전략을 펼치고 있다. 2일 파리바게뜨에 따르면 싱가포르 ‘스퀘어2점’은 노베나(Novena)역과 연결된 쇼핑몰 스퀘어2 1층에 자리잡았다. 스퀘어2 쇼핑몰은 주거와 상업 공간이 어우러진 복합상권으로 유동인구가 많은 곳이다. 파리바게뜨는 스퀘어2점은 몰링(Malling)을 즐기는 쇼핑객들이 빠르고 간편하게 다양한 메뉴를 즐길 수 있도록 그랩앤고(Grab&Go) 코너를 강화한 것이 특징이다. 몰링 문화는 쇼핑몰 안에서 쇼핑과 식사, 여가 등을 즐기는 동남아시아 시장의 트렌드로, 파리바게뜨는 이에 맞춰 쇼핑객들이 간단한 요기부터 식사까지 즐길 수 있도록 다양한 콘셉트의 쇼핑몰 매장을 운영하고 있다. 싱가포르에 이어 파리바게뜨는 캄보디아 프놈펜 민쩨이 에비뉴(Mean Chey Avenue)에 캄보디아 3호점인 ‘민쩨이 에비뉴점’도 오픈했다. 파리바게뜨는 마스터프랜차이즈 계약을 체결한 현지 파트너사 HSC그룹과 협력
[더구루=정등용 기자] 미국 최대 희토류 기업 MP 머티리얼즈(MP Materials)가 정부 지원 자금을 확보했다. 미국 최초의 완전 통합형 희토류 자석 제조 시설 건설에 속도가 붙을 것으로 예상된다. 2일 미국 국세청(IRS)과 재무부에 따르면 MP 머티리얼즈는 5850만 달러(약 790억원)의 정부 자금을 지원 받았다. MP 머티리얼즈는 지난 2022년 4월 텍사스주 포트워스에 완전 통합형 희토류 자석 제조 시설을 건설하기 시작했다. 현재는 북미 파일럿 시설에서 자석 전구체 소재를 생산하고 있으며 올 여름 포트워스에서 전구체 소재의 상업 생산을 개시해 오는 2025년 말 완제품 자석을 생산한다는 목표다. 이 제품은 주요 고객인 제너럴 모터스(GM)에 공급돼 북미 전기차 생산을 지원할 예정이다. MP 머티리얼즈는 캘리포니아주 마운틴 패스에서 공장의 원료를 공급 받는다. 이 공장은 미국에서 유일하게 일정 규모를 갖춘 희토류 광산 및 분리 시설을 소유하고 있다. 이 곳에서 생산된 NdPr(네오디뮴·프라세오디뮴) 산화물은 NdPr 금속으로 환원 후 NdFeB(네오디뮴·철·붕소) 합금과 완제품 자석으로 전환돼 활용된다. NdFeB 자석은 세계에서 가장 강력하고
[더구루=길소연 기자] 고려조선산업기술(KSIT)이 투르크메니스탄의 발칸조선소에 조선 노하우를 전수한다. 2일 투르크메니스탄 해양·하천 운송청 투르크멘데니즈데리아욜라리(Turkmendenizderyayollary)에 따르면 투르크메니스탄 발칸조선소는 KSIT의 도움을 받아 국제표준화기구(ISO) 인증을 취득한다. 발칸조선소는 △품질경영시스템(ISO9001) △안전보건관리 경영시스템 인증(ISO 45001) △환경경영시스템(ISO 14001) 인증을 준비하고 있다. ISO 국제인증을 취득하면 발칸조선소의 품질 관리 시스템이 강화되고, 고객의 신뢰를 확보할 수 있다. 또 다양한 파트너십을 맺어 조선 사업 분야를 확장할 수 있다. 현재 발칸조선소는 KSIT와 공동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다. KSIT는 지난해 국내에서 처음으로 투르크메니스탄 정부가 발주한 6100t 규모의 다목적 운반선 2척을 공동 수주했다. 계약 금액은 4200만 달러(약 570억원)이다. 현재 작업은 순조롭게 진행 중으로 조만간 발칸조선소에 장비와 자재가 도착할 예정이다. KSIT는 프로젝트에서 발칸조선소에 조선 노하우를 전수한다. KSIT는 발칸 조선소에 설계 문서를 이전해 연간 4척에서 최대
[더구루=홍성일 기자] 블록체인 스타트업 전문 투자사인 해시드(Hashed)의 김서준 대표가 동남아시아 최대 웹3 콘퍼런스에 연사로 참여한다. 2일 업계에 따르면 김서준 대표는 오는 24일부터 28일까지 진행되는 SEABW(Southeast Asia Blockchain Week)에 주요 연사로 참석한다. 이번 행사에는 김 대표 외에도 모 샤키 앱토스 공동창업자 겸 최고경영자(CEO), 에반 오우양 애니모카브랜즈 그룹 회장, 개비 디존 YGC 공동창업자 등이 주요 연사에 이름을 올렸다. 김 대표가 참여하는 SEABW는 태국 최대 핀테크 그룹인 SCB X와 주최하며 동남아시아 최고의 웹3 콘퍼런스를 목표로 올해 처음으로 열리는 행사다. 첫 개최지는 태국 방콕으로 암호화폐 유명 인사들이 대거 참여한다. 해시드는 SCB X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기반으로 SEABW에 호스트로 참여한다. 해시드의 동남아시아 혁신 부문인 샤드랩(ShardLab)도 호스트로 SEABW를 주도한다. SEABW는 총 3개 이벤트로 구성된다. 암호화폐 유명 인사들이 연사로 참여하는 토큰 X 서밋이 22일부터 23일까지 진행되고 24일부터 25일까지 웹3 게임을 주제로한 게임데이(Game Day)
[더구루=이연춘 기자] SK매직의 신제품 ‘초소형 직수 정수기(모델명: WPU-JAC104S)’가 판매 돌풍을 일으키고 있다. 출시 한 달 만에 1만5000대를 돌파하며 시장에서 호평이 쏟아지고 있다. SK매직은 화성공장 생산라인을 풀가동해 밀려드는 수요에 발 빠르게 대응하고 있다. 2일 SK매직에 따르면 초소형 직수 정수기는 세계 최대 가전전시회 ‘CES 2024(Consumer Electronics Show)’에서 혁신상을 수상하며 기술 경쟁력을 국제무대에서 인정받은 제품으로 출시 전부터 큰 관심을 받았다. SK매직은 초소형 직수 정수기의 흥행 요인을 고객 니즈를 반영해 기존 직수 정수기 대비 60% 로 크기를 줄인 초소형 사이즈로 꼽았다. 한 뼘 크기도 되지 않을 만큼 작고 슬림해 항상 좁게 느껴지는 주방 공간을 보다 여유롭게 활용할 수 있는 점이 고객 선택에 가장 큰 매력 포인트로 작용한 것으로 회사는 분석했다. 실제 출시 이후, 신규 고객뿐 아니라 제품 부피에 부담을 느꼈던 기존 정수기 사용자의 교체 수요가 전년 동월 대비 33% 이상 급격하게 늘어났다. 또 크기는 작지만 냉·온·정수는 물론 다양한 편의 기능까지 제공해 초소형 크기가 강점인 정수 전
[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배터리 스타트업 '앰프리우스 테크놀로지스(Amprius Technologies, 이하 앰프리우스)'가 한국 배터리 제조사와 손잡았다. 한국 시설에서 앰프리우스의 실리콘 음극재 기술을 접목해 배터리를 생산한다. 외부 파트너십을 활용해 비용 절감과 생산능력 확장의 이점을 모두 취하고 차세대 실리콘 음극재를 상용화한다. [유료기사코드] 29일 앰프리우스에 따르면 이 회사는 한국 배터리 회사와 실리콘 음극재 기반 배터리 생산을 위한 제조 협약(Contract Manufacturing Agreement)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에 따라 한국 제조사의 공장에서 SiCore® 배터리셀을 생산한다. 초기 드론용 배터리로 활용하고 향후 항공우주와 방위, 전기차 등 다양한 분야에 최적화된 배터리를 양산할 계획이다. 다양한 형태의 리튬이온 배터리 생산 경험이 있는 파트너사와 협력하며 글로벌 배터리 생산능력을 확대한다. 앰프리우스는 작년 6월 여러 건의 제조 파트너십을 체결해 배터리 생산능력을 500MWh 이상으로 늘렸다고 밝혔었다. 현재까지 1.8GWh 규모의 생산능력을 확보했다. 추가 파트너십을 통해 아시아에 제조 거점을 보유, 대륙별 생산체계를 구
[더구루=진유진 기자] 세계 최대 종합 화학 기업인 독일 '바스프(BASF)'가 캐나다 퀘벡주에 계획했던 이차전지 소재 공장 투자를 철회했다. [유료기사코드] 다니엘라 레첸버거 바스프 대변인은 28일(현지시간) "비용 절감 계획과 지속적인 시장 불확실성으로 인해 퀘백주 공장 투자를 중단하게 됐다"고 밝혔다. 다만 그는 "시장과 고객이 현지 생산 능력을 필요로 할 경우, 언제든 북미 투자에 나설 준비가 돼 있다"고 덧붙였다. 바스프는 지난 2022년 퀘벡주 베캉쿠르에 배터리 소재 공장을 세우기 위해 부지를 확보하고 올해 가동을 목표로 사업을 추진해왔다. 이 공장은 배터리 핵심 부품인 음극 활성 물질을 생산하고, 지역 내 전기차 생태계와 연계된 재활용 체계를 구축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배터리 시장 성장세가 둔화되면서 프로젝트는 지지부진해졌다. 바스프는 지난해 하반기부터 배터리 부문 지출을 점진적으로 축소했고, 이 프로젝트의 자동차 파트너사 확보에도 실패한 것으로 알려졌다. 피에르 피츠기번 퀘벡주 경제부 장관은 지난 2023년 "오랫동안 바스프로부터 진전된 소식을 듣지 못했다"며 "건설 현장에도 별다른 움직임이 없어 프로젝트가 사실상 멈춰 있는 상태"라고 언급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