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사우디 '2조' 네옴 담수화 플랜트 사업 취소…韓 기업 '촉각'

네옴 사업 첫번째 공식 취소…사업 축소 우려 확산
사우디 수처리 사업 진출한 국내 업체 영향권

 

[더구루=홍성환 기자] 사우디아라비아가 사업비 2조원 규모 네옴 담수화 플랜트 개발 사업을 접었다. 네옴 주요 사업이 공식적으로 취소된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사업 축소 우려가 더욱 확산되는 모양새다. 

 

22일 관련 업계와 외신 등에 따르면 사우디아라비아 네옴은 일본 이토추, 프랑스 베올리아 등과 함께 추진해온 해수 담수화 플랜트 사업을 취소했다.

 

이는 네옴 첨단 산업단지 옥사곤에 재생 에너지로 가동하는 첨단 해수 담수화 플랜트를 건설하는 사업이다. 네옴 에너지 자회사 에노와는 지난 2022년 12월 이토추, 베올리아와 공동개발협약(JDA)을 맺고 사업을 추진해 왔다. 애초 2025년 상업 운전이 목표였다.

 

이번 사업 취소로 사우디 수처리 사업 진출을 선언한 국내 기업들도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LG화학은 지난 1일 사우디 알코라예프 그룹과 수처리 필터인 역삼투막(RO멤브레인) 제조 시설 현지화를 위한 계약을 체결한 상태다. 기초소재·무기화학 전문 중견그룹 태경그룹 역시 지난해 9월 사우디 해수담수화청(SWCC)과 담수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농축수 ·이산화탄소의 재활용 기술을 공동 개발하고, 이를 네옴시티에 적용하기로 했다.

 

최근 업계 안팎에서 네옴 건설 프로젝트가 자금 부족과 기술 문제로 축소될 것이란 우려가 계속 제기되고 있다. 실제로 사우디아라비아는 최근 초연결 선형 신도시 '더라인(The Line)'의 인구 목표를 2030년까지 150만명으로 예상했는데, 최근 전망치를 30만명 이하로 낮춰 잡은 것으로 알려졌다. 

 

네옴 주요 핵심 사업인 더라인 프로젝트는 총길이 170㎞ 규모의 초연결 커뮤니티 벨트 조성 사업이다. 지상은 보행자를 위한 친환경 공간으로 조성하고 철도, 도로 등 교통 인프라는 지하에 위치한다. 더라인 프로젝트는 목표치 하향 조정에 따라 오는 2030년까지 전체 170㎞ 가운데 2.4㎞만 완료할 전망이다. <본보 2024년 4월 8일자 참고 : 사우디 네옴시티 '사막의 신기루'?…중장기 목표 낮춰>

 

사우디아라비아는 네옴시티 등 초대형 프로젝트를 잇따라 추진함에 따라 현금 보유량이 빠르게 줄어드는 것으로 알려졌다. 작년 9월 기준 사우디아라비아 국부펀드 공공투자펀드(PIF)의 현금 보유량은 150억 달러(약 20조원)로 1년 전보다 75% 감소했다.

 

다만 사우디아라비아 측은 이러한 우려를 정면 반박하고 있다. 파이살 알 이브라힘 사우디아라비아 경제기획부 장관은 지난달 세계경제포럼(WEF) 리야드 특별회의에 참석한 자리에서 "네옴 프로젝트의 규모는 축소되지 않을 것이며 당초 의도한 계획대로 진행되고 있다"며 "우리는 전례없는 사업을 시작했고 이를 하고 있으며 앞으로 전례없는 일을 보게 될 것"이라고 전했다.

 

네옴시티는 사우디아라비아의 북서부 홍해 인근 사막에 건설되는 미래형 신도시 프로젝트로, 무함마드 빈 살만 왕세자가 추진하고 있는 '비전 2030'의 핵심 사업이다. 전체 면적은 서울의 44배인 2만6500㎢에 달한다. 총사업비는 5000억 달러(약 680조원) 규모다.










테크열전

더보기




더구루인사이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