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반도체 국산화 노력에도…기업 파산 등 전망 '암울'

반도체 기술·인재 육성 위한 정책 펼쳐
"자급률 목표 3분의 1 수준에 그칠 것"
미중 무역에 부실 투자로 기업 줄도산

 

[더구루=정예린 기자] 미중 무역갈등의 직격탄을 맞은 중국 반도체업계가 소재와 설비 국산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지만 '묻지마'식 부실 투자로 퇴출 기업이 급증하는 등 자급률 확대에 제동이 걸리고 있다.   

 

15일 코트라(KOTRA)가 공개한 보고서 '중국 반도체 산업 현황'에 따르면 중국 정부는 오는 2025년 반도체 자급률 70%를 목표로 다양한 정책을 펼치고 있다. 중국 정부는 지난해 12월 베이징에서 열린 중앙 경제업무 회의에서 올해 중점 추진 과제로 '산업체인과 공급체인의 자율적 통제 능력 강화'를 선정했다. 

 

특히 5G, 반도체 직접회로 등 중점 분야를 선정, 과학 기술을 발전시켜 기초 부품과 핵심 소재 분야의 자국 기술력을 높이는 데 집중한다는 계획이다.  반도체 분야 특허를 출원하는 기업에는 10년간 기업소득세를 면제하고 보조금을 지원하는 등 재정적인 혜택도 다수 제공한다. 

 

인재 육성에도 적극 나선다. 국무원 학위 위원회는 기존 대학교의 전자과학기술 학과 내에 포함돼 있던 직접회로 분야를 별도 학과로 독립시키고 1급 학과로 승격한다. 

 

중국 정부의 노력에도 불과하고 전망은 암울하다. 미국 정부가 중국 반도체기업에 대한 무역 제재 수위를 높이면서 상황은 더욱 악화되고 있다. 

 

시장조사업체 IC인사츠에 따르면 지난 2019년 기준 중국의 자급률은 15.7%에 그친다. 삼성전자·SK하이닉스 등 외국 기업이 중국에서 생산한 물량을 제외한 순수 국산 자급률은 6%에 불과하다. 오는 2024년에도 자급률은 20.7%에 불과할 것으로 전망된다. '중국 제조 2025' 프로젝트에서 목표로 한 자급률 70%와 비교하면 3분의 1에도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다. 

 

반도체 기업들의 파산도 속출하고 있다. 제대로된 기술력도 없이 정부의 투자 장려 속 막대한 투자금만 받고 폐업하는 경우가 늘고 있는 것이다. 중국 최초의 7nm 이하 미세공정 시스템 반도체를 제작하겠다고 나서 주목을 받은 우한훙신반도체제조(HSMC)는 자금난과 공장 건설 지연 끝에 지난해 파산, 우한시 둥시후구 정부가 인수했다. 청두거신, 난징더커마, 화이안더화이 등 거액의 정부 보조금이 투입된 프로젝트도 연달아 무산됐다. 

 

화웨이에 이어 중국 최대 파운드리 업체 SMIC도 최근 미국 상무부 블랙리스트에 오르면서 장비 및 소재 조달에 차질을 빚고 있다. 특히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당선인도 보호무역 기조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돼 중국 반도체 기업들의 위기는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테크열전

더보기




더구루인사이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