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길소연 기자] 대만 완하이라인이 HD현대와 삼성중공업 등 한국 조선소에 1만5000TEU급 이중연료 추진 컨테이너선을 발주한다. 최근 HD현대삼호와 대만 CSBC 조선소와 메탄올 이중 연료 컨테이너선 신조 건조를 위한 의향서(LOI)를 체결한 데 이어 발주 규모를 확대한다. 16일 업계에 따르면 완하이는 HD현대와 삼성중공업과 1만5000TEU 이중연료 추진 컨테이너선을 건조 협의 중이다. 신조 규모는 4척에서 10척 사이로, 연료 유형은 결정되지 않았다. 선가는 액화천연가스(LNG) 이중연료 추진선은 척당 2억 2000만 달러(약 3000억원)를 초과하는 반면 메탄올 이중 연료 선박은 최소 2억 달러(약 2700억원)로 거래될 전망이다. 총 10척의 컨테이너선을 발주할 경우 20억 달러(약 2조7000억원)의 건조 비용이 든다. 완하이는 컨테이너선 고운임 기조와 환경규제를 겨냥해 신조선 발주를 늘리고 있다. 선대 업그레이드를 통해 운항 효율성을 높이고, 장거리 서비스의 경쟁력을 높일 계획이다. 최근에는 HD현대삼호와 대만 CSBC 조선소에 20척의 메탄올 이중 연료 컨테이너선 발주를 위한 건조 의향서(LOI)를 체결했다. LOI는 정식 발주 전 단
[더구루=길소연 기자] HD현대삼호가 대만 해운선사 완하이라인(이하 완하이)로부터 8700TEU급 메탄올 이중 연료 컨테이너선 4척을 수주할 전망이다. 완하이는 HD현대삼호와 대만 CSBC 조선소에 최대 24척의 메탄올 이중 연료 컨테이너선을 발주한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HD현대삼호는 지난 12일(현지시간) 완하이와 8700TEU급 메탄올 이중 연료 컨테이너선 4척에 신조 건조를 위한 의향서(LOI)를 체결했다. LOI는 정식 발주 전 단계로 최종 계약으로 이어진다. 완하이가 주문한 선박의 가격은 척당 1억1350만 달러(약 1550억원)에서 1억3341만 달러(약 1820억원)로 책정될 예정이다. 4척의 총 거래 금액은 4억5400만 달러(약 6200억원)에서 5억2164만 달러(약 7120억원)로 추정된다. 선박은 HD현대삼호 전남 영암 작업장에서 건조돼 2027년부터 순차적으로 선주사에 인도될 예정이다. HD현대는 지난 2013년 수주한 5만톤(t)급 메탄올 추진 PC선을 시작으로 2021년 8월 세계 최초로 메탄올추진 초대형 컨테이너선을 수주하는 등 대체 연료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같은 날 완하이는 CSBC와 8000TEU급 메탄올 이중연료 컨테
[더구루=길소연 기자] 삼성중공업이 대만 선사 완하이 라인(이하 완하이)에서 수주한 컨테이너선 13척 중 8번째 선박을 인도한다. 1일 업계에 따르면 완하이는 지난달 29일 삼성중공업 거제조선소에서 1만3100TEU 컨테이너선 '완하이 A15' 명명식을 개최했다. 선박은 인도 후 완하이의 아시아-북미 동해안 서비스 'AA7'에 투입된다. 이번에 명명식을 갖고 인도할 선박은 완하이가 2021년부터 2022년까지 삼성중공업에 주문한 1만3100TEU급 컨테이너선 13척 중 일부이다. 선박은 총 길이 335미터, 폭 51미터, 최대 흘수 16미터, 최대 22노트의 설계 속도를 가진다. 질소산화물 저감장치(SCR)와 선박평형수 처리장치(BWTS). 각종 연료 절감장치(Energy Saving Device), 스마트십 솔루션 에스베슬(SVESSEL) 등이 탑재됐다. 경제적이고 안전한 운항이 가능한 친환경 스마트 선박으로 건조돼 항해 중 저항을 줄이고 에너지 절약과 연료 감소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완하이는 지속적인 선대 업그레이드를 통해 운항 효율성을 높이고 있다. 1만3000TEU급 선박을 선단에 점진적으로 추가함으로써 장거리 서비스에서 경쟁력을 높이고 운영을 강화
[더구루=길소연 기자] 대만 선사 완하이(Wan Hai Lines)가 HMM이 속한 해운동맹 디얼라이언스(THE Alliance)에 가입설이 제기됐다. 디얼라이언스의 주축이었던 독일 하팍로이드가 세계 2위 선사인 머스크와 새로운 해운동맹 '제미나이 협력'(Gemini Cooperation)을 결성으로 이탈하면 공백을 완하이가 메울 것이라는 주장이다. 24일 업계에 따르면 완하이라인은 일본선사 오션 네트워크 익스프레스(Ocean Network Express, ONE)과 협력하기로 하면서 ONE이 속한 디얼라이언스 가입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완하이는 지난달 일본 선사 ONE과 함께 아시아-북미서부 항로를 연결하는 새로운 '아시아 태평양 1'(AP1) 서비스를 운영하기로 했다. ONE과 완하이는 새로운 서비스를 공동 운영하기 위해 각각 2척, 5척의 선박을 배치할 예정이다. 브론슨 시에(Bronson Hsieh) 양밍해운 전 회장은 "완하이라인은 하팍로이드가 떠나면서 생긴 디얼라이언스 공백을 메울수 있다"며 "완하이는 1만3000TEU급 선박을 많이 보유하고 있어 디얼라이언스로부터 환영받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완하이가 아시아-유럽 서비스를 개시할
[더구루=길소연 기자] 삼성중공업이 대만 선사 완하이 해운으로부터 수주한 컨테이너선 1척을 인도한다. 완하이서 수주한 컨테이너선 13척 중 7번째 선박이다. 21일 업계에 따르면 완하이해운은 16일 삼성중공업 거제조선소에서 1만3100TEU 컨테이너선 '완하이 A13호' 명명식을 가졌다. 'A13'호는 인도 후 완하이해운의 아시아-북미 동해안 서비스에 투입될 예정이다. 선박은 총 길이 335미터, 폭 51미터, 최대 흘수 16미터, 최대 22노트의 설계 속도를 가진다. 질소산화물 저감장치(SCR)와 선박평형수 처리장치(BWTS). 각종 연료 절감장치(Energy Saving Device), 스마트십 솔루션 에스베슬(SVESSEL) 등을 탑재해 경제적이고 안전한 운항이 가능한 친환경 스마트 선박으로 건조됐다. 스마트 선박은 항해 중 저항을 줄이고 에너지 절약 및 연료 감소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완하이해운은 2021년부터 2022년까지 삼성중공업에 1만3100TEU급 컨테이너선 13척을 주문했다. <본보 2021년 6월 1일 참고 삼성중공업, '5300억원' 컨테이너선 4척 수주> 삼성중공업은 지난해 7월에 '완하이A11', '완하이A12'의 명명식
[더구루=길소연 기자] HD현대중공업이 대만 완하이라인에서 수주한 초대형 컨테이너선의 탄생을 축하했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HD현대중공업은 12일 울산조선소 야드(작업장)에서 대만 완하이로부터 수주한 1만3200TEU급 컨테이너선 2척의 명명식을 개최했다. 선사 측은 2척을 '완하이A05', '완하이A06'으로 각각 명명했다. 이번에 명명된 선박은 완하이로부터 수주한 5척의 동형선 시리즈다. 앞서 4월 말과 7월 중순에 '완하이A02', '완하이A03' 2척이 인도됐다. 완하이A05와 완하이A06은 이달 중순과 12월 중순에 인도될 예정이다. 인도 후 극동에서 미국까지 서비스에 배치된다. 신조선은 길이 335m, 폭 51m, 수심 16m 규모로 최대 순항 속도는 22노트이다. 풀밸런스 트위스트 밸브래더, 프레스월핀 등의 시스템을 장착,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켰다. 에너지 효율 지수인 EEDI(신조선에너지효율지수) 3단계에 만족하는 친환경 고효율 선박으로 국제해사기구(IMO)의 환경 규제에 맞춰 설계됐다. 모든 선박에는 '스마트십(Smart Ship)' 표기로 인증했다. HD현대중공업은 2척의 선박을 인도하면 완하이로부터 수주한 물량 5척을 모두 납품한다. 앞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반도체 기업 인텔과 세계 최대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업체 대만 TSMC, 두 기업 수장이 전격 회동했다. 합작사 설립 논의가 속도를 낼 지 주목된다. [유료기사코드] 25일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립부탄 인텔 CEO와 웨이저자 TSMC 회장은 이번주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열린 TSMC 연례 기술 컨퍼런스에서 만나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립부탄 CEO는 24일 실적발표 후 컨퍼런스콜에서 "TSMC는 우리의 아주 좋은 파트너로 설립자인 모리스 창과 웨이저자 CEO는 나의 오랜 친구"라며 "최근 만남에서 협력할 수 있는 분야를 모색했고 서로에게 도움일 될 수 있는 상황을 만들기 위해 노력했다"고 밝혔다. 앞서 이달 초 양사 간 합작사를 설립할 수 있다는 보도가 나와 주목받았다. IT 전문 매체 디인포메이션은 두 명의 소식통을 인용해 "인텔과 TSMC 임원이 최근 합작 투자사 설립을 위한 예비 계약을 체결했다"고 보도했다. 인텔과 미국 반도체 기업이 합작사에 대한 대부분 지분을 보유하고, TSMC는 20%만 갖는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웨이저자 회장은 지난 17일 실적발표 후 컨퍼런스콜에서 "합작회사, 기술 라이선스, 기술 이전·공유
[더구루=길소연 기자] 파나소닉 에너지가 미국 전기 상용차 스타트업 '하빈저 모터스(Harbinger Motors, 이하 하빈저)'에 배터리를 공급한다. 테슬라 전기차에 배터리를 공급해온 파나소닉은 하빈저의 트럭과 밴에도 공급해 성능과 효율을 극대화한다. [유료기사코드] 25일 업계에 따르면 파나소닉 계열사인 파나소닉 에너지는 하빈저의 중형 전기차용 공식 배터리 셀 공급업체로 선정됐다. 파나소닉 에너지는 하빈저의 모든 모델에 최신 2170 원통형 배터리를 공급한다. 지름 21㎜, 높이 70㎜인 원통형 2170 배터리는 에너지 밀도를 향상시킴으로써 배터리 생산 능력을 현재 10% 가량 향상시킨다. 이로써 생산비용이 감소되고, 배터리 가격이 낮아진다. 테슬라의 전기차 모델3와 모델 Y에도 파나소닉의 2170 배터리가 탑재되고 있다. 파나소닉 에너지가 공급할 2170 배터리 셀은 업계 최고 수준인 800Wh/L(리터당 와트시) 이상의 에너지 밀도를 자랑하며, 트럭의 에너지 솔루션을 보장한다. 파나소닉 에너지가 일본에서 생산된 배터리 셀을 하빈저에 공급하면 하빈저의 독점 배터리 시스템에 통합돼 미국산 중형 전기차에 동력을 공급하게 된다. 파나소닉 에너지의 배터리 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