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일 기자] 인류 최초 관광 목적을 위한 우주여행이 성공하면서 우주 개발을 선점하기 위한 삼국지가 벌어지고 있다. 22일 코트라 디트로이트무역관에서 작성한 '우주산업 삼국지, 시작된 우주여행'에 따르면 훈련받지 않은 일반인이 우주로 갈 수 있는 길이 열리면서 우주여행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관심이 높아지는 만큼 우주여행 산업은 향후 10년 안에 80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추정했다. 그러면서 한 시간 이내로 어디든 갈 수 있는 세계여행, 궤도 호텔, 우주관측소가 있는 달기지, 화성과 소행성, 외행성의 달에 만든 인류 정착지를 비롯한 우주산업에 잠재치가 매우 높은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고 덧붙였다. 특히 이 우주여행 사업을 선점하기 위해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스페이스X, 아마존의 창업자 제프 베이조스가 이끄는 블루 오리진, 버진 그룹의 회장 리처드 브랜스이 이끄는 버진갤럭틱이 우주여행 삼국지를 펼치고 있어 이목을 끌고 있다. 이 분야에서 현재 앞서나가고 있는 곳은 일론 머스크가 2002년 설립한 스페이스X다. 스페이스X는 인간이 지구를 넘어 다행성종으로 나아가야한다는 목표 아래 지구 저궤도를 도는 준궤도 우주여행보다는 달과 화성으로 향하는
[더구루=홍성일 기자] 미국 민간우주관광기업 버진갤럭틱이 우주여행의 전과정을 보여주는 영상을 공개해 눈길을 끌고 있다. 버진갤럭틱은 16일(현지시간) 유튜브를 통해 '버진갤럭틱의 우주비행'이라는 제목의 영상을 공개했다. 해당 영상에서는 우주여행객을 태운 VSS 유니티 우주선과 우주선을 공중으로 실어나를 모선 VMS 이브 비행기의 모습이 등장한다. 영상에서는 우주여행객을 태운 VSS 유니티가 VMS 이브 비행기에 탑재돼 공중으로 올라가고, 목표 높이가 됐을 때 투하돼 자체 로켓으로 우주로 나가는 모습과 착륙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영상을 통해 무중력 상태를 체험하는 관광객들과 지구의 모습도 볼 수 있다. 버진갤럭틱은 기존의 지상 발사장에서 로켓을 통해 우주로 탑재물을 발사하는 방식이 아닌 비행기를 통해 발사체를 공중(고도 13.4km)까지 운반한 뒤, 공중에서 로켓을 점화해 우주공간으로 나가는 기술을 선보이고 있다. 공중발사 우주선은 기존의 로켓형 우주선보다 중력을 벗어나기 위한 발사 초기 가속에 필요한 에너지 소모가 적기때문에 경제적인 면에서 높은 효율성을 보인다. 한편 버진갤럭틱의 우주여행은 1회에 25만 달러의 비용이 소모된다. 현재 600명이
[더구루=길소연 기자] 5조원 규모의 미국 줌월트급 스텔스 구축함 '마이클 몬수르함'(DDG-1001)이 일본 조선소에서 수리를 마친 모습이 포착됐다. 일본 조선소에서 한달 간의 유지·보수·정비(MRO) 작업 후에도 녹과 부식이 그대로 남아 있어 한국 조선소의 기술력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미국이 해군력 증강을 핵심으로 조선산업 재건 정책을 본격화하면서 한국을 주요 협력 파트너로 지목한 이유다. [유료기사코드] 일본 밀리터리팁스터 アルザス, @Alsace_class)와 魚交(@shark_ishi) 등은 4일(현지시간) 소셜미디어 엑스(X)에 미 줌월트급 스텔스 구축함 마이클 몬수르함의 사진을 게재했다. 팁스터 @shark_ishi는 "USS급 미사일 구축함 마이클 몬수르함(DDG-1001)이 1개월간의 수리 기간을 마치고 요코스카 항구를 출발했다"고 밝혔다. 공개된 사진에서 마이클 몬수르함은 함체 곳곳에 녹이 슬고, 흠집이 나거나 외장재가 변색된 모습이 포착됐다. 한달 간의 유지보수 작업 후에도 외장재에 녹과 부식이 그대로 남아 있어 일본 조선소의 MRO 기술력에 신뢰도를 떨어뜨린다는 지적이다. 팁스터가 사진을 공개하자 온라인상에서는 '부식으로 구축함
[더구루=홍성일 기자] 대만 제조업체 폭스콘(Hon Hai Technology Group)이 미국 오하이오 자동차 공장을 팔아버렸다. 폭스콘이 미국 내 전기차 생산을 대신해 인공지능(AI) 서버 제작에 나설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5일 업계에 따르면 폭스콘은 오하이오 자동차 공장을 크레센트 듄 LLC(Crescent Dune LLC, 이하 크레센트 듄)에 매각했다. 매각 규모는 공장과 토지가 8800만 달러(약 1220억원), 전기차 제조 장비 2억8700만 달러(약 3980억원)를 포함해 총 3억7500만 달러(약 5200억원)다. 폭스콘은 이번에 확보한 3억7500만 달러를 모두 미국 사업에 재투자할 것이라고 밝혔다. 폭스콘으로부터 오하이오 공장을 인수한 크레센트 듄은 델라웨어 주에 따르면 불과 12일 전에 설립됐다. 이에 알려진 정보가 이름 말고는 거의 없는 상황이다. 폭스콘은 크레센트 듄에 대해서 기존 사업 파트너라고만 설명했다. 폭스콘은 공장과 자산 일체를 매각했지만 운영은 지속하기로 했다. 폭스콘 측은 "고객용 제품 생산은 계속될 것"이라고 밝힌 상황이다. 폭스콘은 지난 2021년 당시 폐업위기를 겪고 있던 전기 픽업트럭 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