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일 기자] 메타버스 플랫폼 로블록스에서 인종차별 발언 등을 일삼고 테러위협을 가했던 유튜버가 법원으로부터 배상 처벌을 받았다. [유료기사코드] 24일 업계에 따르면 오클랜드에 위치한 캘리포니아 북부지방법원은 로블록스 유튜버 '루벤 심'으로 활동하는 벤자민 로버트 사이먼에게 15만 달러(약 1억8000만원) 배상금을 로블록스에 지급하라고 판결했다. 배상금 외에도 루벤 심은 로블록스와 향후 테러 위협의 출시과 게시, 재배포를 하지 않을 것으로 합의했다. 또한 로블록스에 대한 거짓뉴스를 만들지 않으며 사무실에 대한 접근하지 않기로 했으며 로블록스 구성원에 대한 폭력조장, 로블록스 관련 콘텐츠 제작하지 않는다. 이번 재판은 지난해 11월 20일(현지시간) 제기됐으며 로블록스는 루벤 심에 160만 달러(약 19억원)의 손해배상을 요구했다. 루벤 심은 로블록스 내에서 인종차별, 동성애 혐오 발언 등 혐오적 단어를 사용하며 논란이 됐다. 혐오 발언 외에도 아돌프 히틀러의 사진을 게재하기도 해 논란이 됐다. 이에 로블록스는 루벤 심의 게임 접근을 차단했지만 해킹을 통해 다른 사람의 계정을 훔쳐 접속하는 등의 행태를 보였다. 이 과정을 유튜브 등을 통해 공개하며
[더구루=홍성일 기자] 메타버스 게임 플랫폼 로블록스가 과도한 수수료를 부과해 모드 개발자들을 착취하고 있다는 비판에 직면했다. 23일 업계에 따르면 로블록스는 모드 개발자들이 발생시킨 수익에 75%를 수수료로 챙기고 있다. 최근 과도한 수수료로 인해 문제가되고 있는 애플과 구글의 30%보다 45%포인트나 높은 수치다. 이런 높은 수수료로 인해 모드 개발자들은 1달러의 수익이 발생하면 단 17센트만을 받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로블록스는 개별 개발자들이 모드를 자유롭게 제작할 수 있고 이를 유저들에게 공급해 다양한 게임을 즐길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결국 로블록스가 앱마켓과 같은 역할을 맡고 앱 개발자들이 소프트웨어를 개발, 판매하는 형태의 플랫폼 비즈니스가 완성된 것이다. 이에 플랫폼 사업자들의 과도한 수수료 문제가 거론되는 시점에 로블록스를 향한 문제제기도 이뤄지게 된 것이다. 수수료 외에도 문제는 개발자들이 수익을 발생시키기도 쉽지 않다는 것이다. 로블록스는 기본적으로 새로운 게임 모드를 검색할 수 없어 접근성이 떨어진다. 로블록스에서 유저가 손쉽게 접근할 수 있는 게임은 약 200여개의 상위 랭크 게임 정도다. 그렇다면 홍보를 해야하지만 이마저도
[더구루=홍성일 기자] 양자컴퓨터 기업 아이온큐(IonQ)의 자회사인 아이디퀀티크(IDQ)가 유럽 통신업체 콜트 테크놀로지 서비스(Colt Technology Services, 이하 콜트)와 양자 보안 서비스 확대를 위해 손잡았다. 콜트는 IDQ의 양자 암호 통신 기술을 기반으로 보안 성능을 끌어올린다는 목표다. [유료기사코드] 1일 업계에 따르면 IDQ와 콜트는 최근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파트너십에 따라 양사는 기존 광통신망에 대한 양자 보안 솔루션 통합을 모색하기로 했다. 양사는 파트너십을 바탕으로 콜트의 광파 전송망(optical wave network)과 IDQ의 양자 암호화 솔루션을 결합한 새로운 통신 기술을 테스트했다. 해당 시험은 광파 전송망에 양자 키 분배(QKD)와 사전 공유키(PSK), 사후 양자 암호화(PQC) 등 다양한 양자 암호화 기능을 통합, 시연하는 형식으로 진행됐다. IDQ는 이번 시험 운영을 통해 QKD 시스템인 '클라비스 XG(Clavis XG)'와 양자 안전키 교환 플랫폼인 '클라리온 KX(Clarion KX)'이 성능을 증명했다고 설명했다. 콜트는 이번 시험 결과를 토대로 자사의 네트워크 전반에 IDQ 양자 암호화
[더구루=홍성일 기자] 스페이스X의 위성통신서비스 스타링크(Starlink)와 아마존의 카이퍼(Kuiper)가 인도 위성통신 장비업체와 첫 계약을 체결했다. 스타링크와 카이퍼의 인도 서비스 출시가 초읽기에 돌입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유료기사코드] 1일 인도 경제전문매체 머니컨트롤에 따르면 스타링크와 아마존 카이퍼는 초소형 지구국(Very Small Aperture Terminal, VSAT) 기업과 첫 사업계약을 맺었다. 계약을 체결한 업체는 공개되지 않았지만 인도 VSAT 업체인 휴즈 커뮤니케이션즈(Hughes Communications), 넬코(Nelco), 인마샛(Inmarsat) 등이 유력 후보로 거론되고 있다. VSAT는 지름 0.6m~1.8m 크기의 소형 안테나가 통합된 위성 통신용 지구국으로, 크기가 작고 설치가 간편해 개인도 손쉽게 위성 통신을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장비다. 스타링크와 프로젝트 카이퍼도 소형 안테나로 구성된 별도의 키트를 구매해야하는 만큼, 이번 계약으로 양 서비스는 인도 내 이용자에게 위성 통신 키트를 공급할 수 있는 역량을 확보하게 됐다. 업계는 VSAT와의 계약으로 스타링크와 아마존 카이퍼의 인도 서비스 정식 출시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