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최영희 기자] 블록체인 미들웨어, 헤카테(HECATE)를 개발한 유라클이 엔투비의 블록체인 플랫폼 구축 사업을 수주했다고 8일 밝혔다. 포스코 계열사인 엔투비는 MRO 전자상거래 전문 기업으로서 민간기업 중 전자입찰시스템에 블록체인이 적용되는 최초사례로 공급사 입찰정보를 블록체인에 저장하여 무결성과 투명성을 보장하는 ‘블록체인 플랫폼 구축 사업’을 유라클과 함께 추진하기로 결정했다. 엔투비는 이번 사업을 통해 공급사의 입찰정보와 계좌정보 등 주요 데이터의 위변조 방지와 신뢰성 확보를 통해 블록체인 기반의 데이터 관리 체계를 마련하고 향후 ‘사용자 통합인증 관리’, 유관기관 협업을 통한 ‘입찰서류제출 업무효율화’ 등의 과제를 확대 추진하여, 고객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고도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유라클은 본 사업에 국내 유일의 블록체인 미들웨어인 ‘헤카테 커넥터(HECATE Connector)’를 적용시킨다. 별도의 SDK 학습 없이 헤카테에서 제공하는 RESTFul API를 통해 바로 엔투비의 구매시스템과 블록체인 엔진을 연계할 수 있게 된다. 엔투비 관계자는 “유라클은 서울특별시, 우정사업본부 등의 주요 블록체인 사업 노하우와 시장에서
[더구루=홍성환 기자] 포스코와 GS그룹이 미국 실리콘밸리 소재 기후기술 전문기업 리카본(ReCarbon)에 투자했다. 특히 전략적 투자자로 참여해 친환경·저탄소 기술 개발에 협업할 예정이다. 탄소중립 시대를 대비해 미래 신사업 선점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리카본은 27일(현지시간) 포스코와 GS가 참여한 2500만 달러(약 300억원) 규모 시리즈B1 자금조달 라운드를 완료했다고 밝혔다. 리카본은 한국인 김중수 대표가 지난 2011년 실리콘밸리에 설립한 벤처기업이다. 온실가스를 저탄소 합성가스와 그린 수소로 전환하는 '플라즈마 탄소전환장치(Plasma Carbon Conversion Unit·PCCU)'를 개발했다. 이산화탄소를 감축시키는 동시에 수소와 일산화탄소를 생산할 수 있다는 점이 경쟁력으로 꼽힌다. 리카본의 PCCU는 쓰레기 매립장, 석유화학 공장 등에서 활용되고 있다. 정유 사업 비중이 큰 GS그룹은 탄소중립 시대에 대비 친환경 신사업 확보에 집중하고 있다. 실제로 국내외에 벤처캐피탈을 설립해 바이오, 에너지 등 분야의 스타트업 발굴·육성에 적극해서 나서고 있다. 포스코 역시 이산환탄소 배출 저감을 위해 수소환원제철을 비롯한 탄소중립 생산 체제
[더구루=김나윤 기자] 캐나다 정부가 미국 정부의 캐나다 광산기업 지분 투자에 대해 "자본주의의 한 형태"라며 반대 의사가 없음을 밝혔다. 미국 정부가 핵심 광물 확보를 위해 캐나다계 광산기업에 잇따라 투자하고 있는데 이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분위기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아마존이 미국 워싱턴주(州)에 엑스에너지(X-energy) 소형모듈원전(SMR) 12기를 건설할 계획이다. 엑스에너지와 협력 중인 두산에너빌리티와 DL이앤씨의 수혜가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