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사모펀드 글로벌인프라스트럭처파트너스(GIP)와 이탈리아 에너지 기업 스남(Snam)이 아랍에미리트(UAE) 국영 석유기업 아드녹(ADNOC)의 가스 파이프라인 자산 투자 회수를 추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25일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GIP는 아드녹 가스 파이프라인 사업 부문 지분 매각을 위해 자문사와 논의를 진행 중인 것으로 전해진다. 지분 약 6% 보유하고 있는 스남도 매각을 고려하고 있다. 한 소식통은 블룸버그에 "아부다비 투자회사인 루네이트(Lunate)가 아드녹 가스 파이프라인의 주요 주주 일부와 접촉해 매수 의사를 표명했다"면서 "주주들이 투자를 회수할지, 아니면 지분을 계속 보유할지를 검토하고 있다"고 전했다. 아드녹 가스 파이프라인 자산의 주요 주주로 NH투자증권이 있다. NH투자증권은 앞서 지난 2020년 △GIP △스남 △싱가포르투자청(GIP) △캐나다 온타리오 교직원연금 △캐나다 브룩필드자산운용 등과 컨소시엄을 구성해 가스 파이프라인 지분 49%를 인수했다. 당시 총 투자액은 10억1000만 달러(약 1조4000억원)에 달했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중국의 거대 IT기업 텐센트가 인도네시아 1위 영화제작사인 MD픽쳐스의 지분을 매입하며 콘텐츠 부문 확대에 나섰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텐센트 홀딩스는 자회사인 이미지 프레임 인베스트먼트를 통해 MD 픽쳐스의 지분 14.62%를 확보했다. 텐센트는 이번 지분 인수를 위해 6954억 7000만 루피아(약 575억원)를 투입했으며 10월 15일자로 거래가 진행됐다. 이미지 프레임 인베스트먼트에 따르면 이번 거래로 확보한 주식은 총 13억 9095만 주이며 한 주당 500루피아에 거래했다. 이번 지분 인수로 텐센트는 본격적으로 인도네시아 콘텐츠 산업에 대한 관심을 드러냈다는 평가다. 인도네시아 콘텐츠 시장은 다양한 온라인 스트리밍 서비스를 기반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텐센트도 이를 확인하고 투자를 결정한 것으로 보인다. 특히 인도네시아 1위 제작사인 MD픽쳐스의 잠재력이 높고 향후에도 1위 자리를 지킬 것으로 평가했다. MD픽쳐스는 2016년 설립된 인도네시아 1위 영화제작사로 2018년 NH투자증권이 주관해 인도네시아 증권거래소(IDX)에 상장됐다. 1년에 10편가량의 영화를 제작하고 있으며 올해도 7편의 영화를 제작, 개봉시켰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세계 1위 배터리 기업인 중국 CATL(寧德時代·닝더스다이)가 중국 리튬 배터리 소재 공급업체 캔맥스 테크놀로지스(Canmax Technologies, 이하 캔맥스)의 지분에 투자하며 리튬 배터리 소재 확보를 늘린다. 원재료·소재·셀·팩·재활용까지 수직 계열화된 밸류체인(생산부터 유통까지 산업 전반의 구성) 구조에 집중하고 있는 CATL은 배터리 소재 확보로 공급망 구축과 원가 경쟁력을 강화한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수소연료전지 기업 블룸에너지(Bloom Energy)가 약 3조6000억원 규모의 자금 조달에 성공했다. 강화된 자본을 기반으로 연료전지 발전용량 확대에 박차를 가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