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환 기자] 베트남 국영 상업은행 베트남투자개발은행(BIDV)이 VIP 고객에 대한 서비스를 강화한다. 최근 빠른 속도로 늘어나는 베트남 고액 자산가를 신규 고객으로 끌어들이기 위한 전략으로 풀이된다. BIDV는 고액 자산가를 대상으로 자산 관리 서비스 강화를 위해 드래곤캐피탈과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19일 밝혔다. 양사는 고액 자산가 개인별 성향에 맞춰 투자 솔루션을 제공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공동 상품과 서비스 개발에도 나설 예정이다. 베트남은 빠른 경제 성장으로 부자들이 빠르게 늘어나고 있다. 글로벌 컨설팅 기업 나이트프랭크에 따르면 2020~2025년 부자는 31%, 슈퍼 리치는 32% 각각 급증할 전망이다. 이에 자산관리 서비스 시장도 오는 2030년까지 연평균 32%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BIDV는 베트남 자산 규모 1위 은행이자 4대 국영 상업은행 가운데 하나다. 하나은행은 지난 2019년 11월 BIDV의 지분 15%를 약 1조원에 취득하며 2대 주주에 올랐다. BIDV는 지난해 사장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BIDV는 지난해 연결 기준 23조1900억 동(약 1조30100억원)의 세전이익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 대비 71% 급증
[더구루=정등용 기자] 베트남투자개발은행(BIDV)이 글로벌 금융전문지 더 아시안 뱅커(The Asian Banker)로부터 높은 가치를 인정 받았다. BIDV는 지난 16일 더 아시안 뱅커가 주최한 ‘2023 아웃스탠딩 리테일 파이낸셜 서비스 어워즈(2023 Outstanding Retail Financial Services Awards)’에서 소매 금융, 프라이빗 뱅킹, 국제 신용카드, 주택 담보 대출 부문에 입상했다고 20일 밝혔다. 더 아시안 뱅커는 BIDV가 소매 금융 시장 점유율 측면에서 최고의 위치를 유지할 것으로 평가했다. 업무 프로세스의 디지털화와 고객 특성에 맞는 상품·서비스 패키지 구축을 통해 고객 중심 가치 실현을 지속할 것이란 분석이다. 프라이빗 뱅킹 부문에선 베트남 은행 중 유일하게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BIDV는 국제 표준에 맞는 지속 가능 금융 솔루션을 제공, 프라이빗 뱅킹 서비스의 핵심 가치를 구현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부유층 고객을 타겟으로 한 국제 신용카드 상품도 호평을 받았다. 이 상품은 스마트 결제 기능 외에 △항공 △리조트 △요리 △골프 △스파 △건강 관리 등 다양한 혜택을 제공해 신용카드 부문에 이름을 올렸다. 이와
[더구루=정등용 기자] 베트남투자개발은행(BIDV)이 메트라이프와 합작 설립한 생명보험사의 지분 매각을 고려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유료기사코드] 9일 베트남 현지 언론들은 BIDV가 메트라이프와 합작 설립한 ‘BIDN 메트라이프 생명보험’에 대한 지분 매각을 고려 중이라고 밝혔다. BIDN 메트라이프 생명보험은 지난 2013년 BIDV와 메트라이프, 베트남보험개발이 합작 투자해 설립했으며 연간 보험료 수입이 6700만 달러(약 847억 원)에 달한다. 보도에 따르면 BIDN 메트라이프 생명보험 지분 35%를 보유 중인 BIDM 은행도 지분 매각을 추진 중이다. BIDM은 전문 컨설턴트와 합작 투자 지분 및 방카슈랑스 계약 매각과 관련한 협상을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예상 거래 금액은 최대 4억 달러(약 5060억 원)에 이를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한편, BIDV는 베트남 자산 규모 1위 은행이자 4대 국영 상업은행 가운데 하나로 평가 받는다. 하나은행은 지난 2019년 11월 BIDV의 지분 15%를 약 1조원에 취득하며 2대 주주에 올랐다. 최근엔 양사 공동으로 QR 코드 출금 서비스를 출시하는 등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하나금융투자가 2대 주주로 있는 베트남 BIDV증권이 새로운 모바일 앱을 선보였다. BIDV증권은 21일 주식 투자 모바일 앱 'BSC 스마트 인베스트'를 출시했다고 밝혔다. 투자자는 앱을 통해 주식이나 파생 상품 거래를 할 수 있다. 또 개인 투자자에 맞춤형 투자 정보를 제공한다. 아울러 로그인하지 않고도 시장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BIDV증권은 "효과적이고 편리하고 빠른 투자 경험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새로운 모바일 앱을 출시했다"며 "전문 투자자뿐만 아니라 경험이 없는 신규 투자자에게 든든한 동반자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BIDV증권은 베트남 국영 상업은행 베트남투자개발은행(BIDV)의 자회사다. 투자중개업, 증권인수업, 투자자문업, 파생상품거래업, 자기자본거래 등을 영위하고 있다. 지난해 자기자본 기준 26위로 주식 브로커리지 시장점유율 11위다. 하나금융투자는 이 회사 지분 35%를 1420억원에 인수하며 2대 주주에 올랐다. 하나금융투자는 경영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디지털 플랫폼 리뉴얼 등 서비스 개선과 고객 기반 확대를 추진할 예정이다. 또 자산운용업 등 신사업 진출도 주도해 금융생태계 구축은 물론 지속성장
[더구루=홍성일 기자] 바나듐 구리 정제 기술을 개발한 미국 스타트업 스틸 브라이트(Still Bright)가 대규모 투자를 유치했다. 스틸 브라이트는 시범 생산 시설을 건설해, 상업화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유료기사코드] 스틸 브라이트는 30일(현지시간) 시드 투자 라운드를 통해 1870만 달러(약 260억원)를 조달했다고 밝혔다. 이번 펀딩에는 브레이크스루 에너지 머터리얼, 임팩트 포르테에스큐, 아졸라 벤처스, SOSV, 임팩트 사이언스 벤처스 등이 참여했다. 2022년 설립된 스틸 브라이트는 정제 과정에서 손실을 최소화하고 최대한 효율적으로 구리 금속을 추출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정제는 구리 광석에서 불순물을 제거하고 순수한 구리를 얻는 과정으로, 스틸 브라이트는 이 과정에서 최대 20%에 달하는 구리 금속이 손실된다고 설명했다. 스틸 브라이트는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황산구리(Cu2S)를 바나듐 용액에 담가 구리 금속을 추출했다. 스틸 브라이트 측은 바나듐 흐름전지(Vanadium flow battery)에서 영감을 받았다고 전했다. 바나듐 흐름전지는 활물질(바나듐이온)이 전해액 내부에 녹여진 상태로 작동하는 배터리로, 에너지저장장치(E
[더구루=정예린 기자] 테슬라가 중국에서 1000번째 대용량 에너지저장장치(ESS) '메가팩'을 생산하며 조기 양산 체계 안착이라는 이정표를 세웠다. 빠르게 안정화된 생산 역량은 아시아를 넘어 유럽으로의 공급 확대는 물론, 글로벌 ESS 시장에서 테슬라의 입지를 더욱 강화하는 발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유료기사코드] 31일 테슬라 중국법인에 따르면 회사는 지난 29일(현지시간) 공식 웨이보 계정을 통해 상하이에 위치한 '메가팩토리'에서 1000번째 메가팩 생산을 완료하고 유럽 수출을 위한 출하 준비를 마쳤다고 밝혔다. 첫 양산을 시작한 이후 불과 6개월여 만에 이룬 성과다. 1000번째 메가팩 생산은 단순한 누적 생산 수치를 넘어 상하이 공장의 양산 체계가 빠르게 안정화됐음을 방증한다. 전체 기간을 기준으로 환산하면 월평균 생산량은 약 188대 수준이지만, 생산 초기 안정화 기간을 감안하면 최근에는 월 300대에 근접하는 생산 속도를 기록했을 가능성이 높다. 상하이 메가팩토리는 테슬라가 미국 외 지역에 처음으로 구축한 ESS 전용 생산기지다. 작년 5월 약 20만㎡ 부지에 착공, 9개월 만인 올해 2월 본격 가동에 돌입했다. 총 투자비는 약 14억5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