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김형수 기자] 미국 코백스(COVAXX)사의 코로나19 백신 생산 계약을 체결한 인도의 제약업체 오로빈도 파마(Aurobindo Pharma)가 대규모 투자를 유치하기 위해 움직이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12일 업계에 따르면 오로빈도 파마는 블랙스톤 그룹(Blackstone Group), 어드벤트 인터내셔널(Advent International), CVC캐피탈(CVC Capital), 베어링 프라이빗 에쿼티 아시아(Baring Private Equity Asia) 등 4곳의 글로벌 대형 투자자들과 지분 20~30% 대신 주사제 사업부에 수십억 달러 규모의 투자를 단행하는 것에 관한 의견을 나누고 있다. TPG캐피털매니지먼트(TPG Capital Management), 베인 캐피털(Bain Capital), 칼라일그룹(Carlyle Group), PAG 등도 잠재적 거래 대상으로 꼽힌다. 코탁 마힌드라 캐피탈(Kotak Mahindra Capital)이 투자 대상을 찾기 위한 공식 절차를 수행하고 있다. 업계에서는 이같은 움직임이 주사제 사업부를 별도로 상장해 수익을 창출하려는 오로빈도 파마의 포석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오로빈도 파마는 이번 회계연도
[더구루=김형수 기자] 미국 코백스(COVAXX)사의 코로나19 백신 생산 계약을 체결한 인도의 제약업체 오로빈도 파마(Aurobindo Pharma)가 주사제 사업 지분을 일부 매각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12일 업계에 따르면 오로빈도 파마는 주사제 사업의 지분 30~35%가량을 매각하기 위한 사모펀드와의 대화에 나섰다. 매각 금액은 6억 달러(한화 약 7141억원)~7억 달러(한화 약 8331억원) 수준으로 추정된다. 오로빈도 파마가 추진하고 있는 일부 지분 매각은 핵심 사업에서의 가치 창출을 위한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오로빈도 파마는 코탁 마힌드라 캐피탈(Kotak Mahindra Capital)를 고용해 매수자를 찾는 공식 절차를 담당하게 했다. 업계에서는 칼라일 그룹, 홍콩계 사모펀드 퍼시픽얼라이언스그룹(Pacific Alliance Group ·PAG), TPG 캐피탈, 어드벤트 인터내셔날, 베인 캐피탈, 블랙스톤 등이 잠재적 매수자로 거론되고 있다. 오로빈도 파마는 이번 회계연도 2분기인 7월부터 9월까지 1억500만 달러(한화 약 1250억원) 규모의 주사제 판매 실적을 올렸다고 발표했으며, 경영진은 바이오시밀러와
[더구루=홍성일 기자] 영국 에어택시 제조업체 버티컬 에어로스페이스(Vertical Aerospace, 이하 버티컬 에어로)가 항속거리 1600km에 달하는 하이브리드 전기 수직 이착륙 항공기(eVTOL) 개발에 나선다. 버티컬 에어로는 하이브리드 eVTOL을 앞세워 유럽 방산 시장에 진출한다는 목표다. [유료기사코드] 15일 업계에 따르면 버티컬 에어로는 13일(현지시간) eVTOL 'VX4'의 하이브리드 버전 개발 계획을 공개했다. 버티컬 에어로에 따르면 VX4 하이브리드 eVTOL은 1회 충전으로 최대 1600km를 비행할 수 있다. 이는 기존 eVTOL보다 10배 향상된 수치다. 버티컬 에어로가 하이브리드 eVTOL 기체 개발에 나선 것은 방산과 물류 분야로 시장을 확대하기 위해서다. 특히 유럽 국가의 군비 증강이 본격화 되면서 방산 시장에서 새로운 기회가 창출될 수 있을 것으로 보고있다. eVTOL의 경우 소음과 열 발생이 적어 군용 항공기로 적합하다는 평가를 받아왔다. 특히 버티컬 에어로의 VX4의 경우 헬리콥터와 프롭기(프로펠러 비행기)의 장점을 합친 틸트로터 형태로, 빠른 속도와 수직이착륙의 장점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eVT
[더구루=홍성일 기자] 중국 빅테크 기업 텐센트가 마이크로소프트(MS)의 중국 인공지능(AI) 연구팀을 영입했다. 텐센트는 MS출신 연구팀을 앞세워 훈위안(Hunyuan) AI 모델 등의 성능을 끌어올린다. [유료기사코드] 15일 업계에 따르면 텐센트는 중국 베이징에 위치했던 MS AI 연구팀 '위저드LM(WizardLM)'을 영입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위저드LM에서 다수의 프로젝트를 이끌었던 선임 AI 연구원인 캔 수(Can Xu)가 게재한 엑스(X, 옛 트위터) 글을 통해 알려졌다. 해당 글은 현재 삭제된 상태다. 위저드LM의 텐센트 합류는 MS의 중국 사업 축소 움직임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MS는 지난해 중국 법인 직원들에게 해외 근무지로의 이동 의사를 묻는 제안서를 발송해 논란이됐다. MS는 올해 4월 상하이 AI 연구소를 폐쇄하기도 했다. 반면 중국 기업은 서방에서 공부했거나 근무하던 중국 출신 AI 전문가를 대거 흡수하고 있다. 미국 대학교에 소속됐던 다수의 중국 교수가 본국으로 리턴하고 있는 상황이다. 업계는 위저드LM의 합류로 텐센트의 거대언어모델(LLM) 개발 역량이 강화될 것으로 보고있다. 실제로 텐센트에 합류한 위저드LM은 최근 훈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