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정예린 기자] 국내 정밀튜브 전문기업 '트리스'가 멕시코 생산기지 건설 프로젝트에 본격 착수한다. 공장이 들어설 부지를 물색에 나서며 착공 준비에 속도를 낸다. 20일 멕시코 사카테카스주에 따르면 트리스 관계자들은 지난 17일(현지시간) 데이비드 몬레알 아빌라 주지사와 회동했다. 공장 후보 부지 확인차 현지를 방문하며 만남이 성사됐다. 트리스는 9500㎡ 규모 면적의 창고를 임대 또는 구매해 생산설비를 갖추는 방안을 검토한다. 신공장에서 생산한 정밀튜브는 트리스 주요 고객사가 대거 포진해 있는 미국에 납품될 전망이다. 트리스와 사카테스주는 지난 8월 3억2000만 페소(약 236억원) 규모 투자의향서를 체결했다. 트리스는 현지에 튜브 생산 공장을 짓고 약 100개의 신규 일자리 창출을 약속했다. <본보 2023년 8월 30일 참고 ’정밀튜브 생산' 트리스, 멕시코 사카테카스에 신규 투자> 트리스는 1992년 설립된 기업으로, 스테인리스 강관(튜브), 파이프와 코일 등을 전문적으로 생산하고 있다. 30여년 간의 업력을 바탕으로 글로벌 반도체, 석유화학, 에너지, 우주항공 기업을 고객사로 보유하고 있다. 현재 매출 비중은 국내 70%·해외 3
[더구루=정예린 기자] 국내 정밀튜브 전문기업 ‘트리스’가 멕시코에 첫 해외 생산기지를 짓는다. 글로벌 시장으로 사업을 확장하며 현지 수요에 적기 대응하기 위한 전략적 결정이다. 30일 멕시코 사카테카스주에 따르면 트리스는 방한한 주정부 대표단과 전날 서울 모처에서 3억2000만 페소(약 236억원) 규모의 투자의향서를 체결했다. 튜브 공장을 건설해 약 100개의 신규 일자리를 창출한다. 이날 협약식은 원격으로 진행됐다. 트리스 측에서는 임국진 대표를 비롯한 주요 경영진이 참석했다. 데이비드 몬레알 아빌라 사카테카스주 주지사는 화상으로 참여했다. 주 경제부 장관 등으로 구성된 방한 대표단이 대신 자리했다. 트리스는 주요 시장 중 한 곳인 북미 고객사 수요를 소화해내기 위해 멕시코 공장 설립을 결정했다. 미국 정부가 전 산업군에 걸쳐 현지 생산을 강조하고 있기 때문이다. 멕시코는 미국과 거리가 가까운 지리적 이점이 있는데다 자유무역협정(FTA)을 맺어 각종 규제에 대한 대응도 가능하다. 사카테카스주는 총면적 7만5284㎢, 인구 약 162만 명(2020년 기준)의 도시다. 광업·농업·관광 산업이 주를 이뤘으나 최근 제조업 경쟁력이 강화되고 있다. 국내 자동차
[더구루=홍성일 기자] 판매 부진을 겪고 있는 아우디(Audi)가 신차를 앞세워 반등을 노린다. 아우디는 전기차(EV)에 과도하게 의존했던 기존 전략을 수정하고, 내연기관 대형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을 출시하는 등 투트랙 전략을 펼칠 예정이다.
[더구루=이꽃들 기자] '코카콜라 vs 펩시'의 양강 구도가 40년 만에 깨졌다. 코카콜라에 밀려 '만년 2위'로 불리던 펩시가 닥터페퍼에 밀리면서 미국 탄산음료 시장에서 3위로 주저앉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