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키사이트 테크놀로지스(Keysight Technologies, Inc, 이하 키사이트)가 와이어 본드 검사 솔루션을 출시했다. 메인 기판과 칩을 연결하는 본딩 공정에서 결함을 파악해 반도체 제조사들의 생산성과 수율 향상을 지원한다 [유료기사코드] 15일 키사이트에 따르면 이 회사는 지난 4~6일 대만 타이베이에서 열린 '세미콘 타이완 2024'에서 부스를 꾸리고 와이어 본드 검사 솔루션 'EST(Electrical Structural Tester)'를 선보였다. EST는 메인 기판과 칩을 금속선으로 직접 연결하는 '와이어 본딩' 방식의 결함을 확인할 수 있는 툴이다. 칩이 소형화되며 와이어 본딩 공정은 복잡해졌다. 단위 면적당 더 많은 기능을 통합하는 고밀도 패키징을 선호하면서 단락 리스크도 커졌다. 이로 인해 사전에 결함을 식별하는 툴이 중요해졌다. EST는 전기·비전기적 본딩 결함을 식별하는 고급 결함 감지 기능을 제공한다. 최대 20개의 집적회로를 동시에 테스트해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잠재적 불량을 사전에 제거하는 동적 부품 평균화 테스트(DPAT)·실시간 부품 평균화 테스트(RPAT) 등을 통해 수율 향상에 기여한
[더구루=오소영 기자] SK하이닉스가 미국 키사이트 테크놀로지스(Keysight Technologies, Inc, 이하 키사이트)의 테스트 솔루션을 활용해 고용량 메모리 반도체 개발에 속도를 낸다. 키사이트는 14일(현지시간) "SK하이닉스가 자사 PCIe 테스트 솔루션을 사용해 컴퓨트 익스프레스 링크(Compute Express Link, 이하 CXL) 기술을 검증하겠다"라고 밝혔다. CXL는 고성능 컴퓨팅 시스템에서 중앙처리장치(CPU)와 함께 사용되는 가속기, 메모리, 저장장치 등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하고자 새롭게 제안된 인터페이스다. 인공지능(AI)과 빅데이터 활용이 증가하고 데이터 처리량이 늘어나며 D램 용량을 확장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으나 기존 DDR 인터페이스로는 한계가 있었다. CPU당 탑재할 수 있는 D램 모듈이 제한적이기 때문이다. CPU와 가속기 간 데이터 처리를 확인하는 작업이 이뤄지며 인터페이스에 병목 현상도 발생했다. 이를 해소하고자 등장한 게 CXL다. CXL 컨소시엄은 2019년 발족했으며 인텔과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이 참여하고 있다. SK하이닉스는 CXL 기반 메모리 반도체 개발을 추진하며 테스트 파트너사로 키사
[더구루=오소영 기자] 그리스가 한국의 잠수함과 전투기, 군용 차량까지 아우르는 '방산 풀 패키지' 확보를 검토하고 있다. 장보고-III(KSS-III) 잠수함부터 유무인복합운용체계(MUM-T), 군용 차량 공동까지 육·해·공 전력 전반에서 파트너십을 모색한다. 폴란드와 루마니아 등에서 인정받은 'K방산'이 유럽에서 존재감을 강화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11일 이카티메리니(Ekathimerini)와 아미나(AMYNA) 등 그리스 외신에 따르면 그리스 당국은 한화오션의 KSS-III 잠수함 구매를 모색하고 있다. 한화와 협상을 시작하는 단계로 그리스는 품질을 호평한 것으로 전해졌다. 세부 조건으로 현지 조선소를 활용하고 현지 방산업체의 참여율 25%를 보장해 줄 것을 요청하고 있다. 그리스 당국은 한국항공우주산업(KAI)과 MUM-T 개발 협력도 희망하고 있다. 현지에서는 한국형 KF-21 전투기와 함께 운용할 무인기 개발을 추진하며 로열 윙맨(Loyal Wingman)과 연계해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이 거론됐다. 로열 윙맨은 유인 전투기의 지휘 아래 정찰과 적 대공사격 흡수 등 위험한 임무를 수행하는 무인전투기다. 호주 공군의 F/A-18 전투기, F-35
[더구루=홍성일 기자] 대만 글로벌웨이퍼스(GlobalWafers)가 애플의 미국 반도체 공급망 구축 프로젝트에 참가한다. 애플의 6000억 달러(약 830조원) 규모 미국 제조업 투자 프로그램(American Manufacturing Program, AMP)가 본격화되는 모양새다. [유료기사코드] 11일 업계에 따르면 글로벌웨이퍼스 미국법인(GlobalWafers America LLC, GWA)은 7일(현지시간) 애플과 12인 실리콘 웨이퍼 공급 파트너십 계약을 체결했다. GWA는 계약에 따라 텍사스 셔먼공장에서 생산된 12인치 실리콘 웨이퍼를 애플의 반도체 생산 파트너사에 공급한다. 웨이퍼 생산 원재료는 코닝 헴록 세미컨덕터 등 미국 내 기업에서 공급받는다. GWA 텍사스 셔먼공장은 지난 5일 공식 가동을 시작했으며, 구축에는 35억 달러(약 4조8500억원)가 투입됐다. 애플에 따르면 GWA에서 생산되는 웨이퍼는 애리조나주 피닉스에 위치한 TSMC 공장과 텍사스 셔먼에 위치한 텍사스 인스트루먼트(TI) 공장으로 공급된다. 해당 공장에서는 이를 토대로 미국과 글로벌 시장에서 판매될 아이폰·아이패드용 칩을 생산한다. 이번 계약으로 애플은 향후 4년간 6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