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오소영 기자] 카카오모빌리티가 약 2억5000만 달러(약 3400억원)를 들여 미국 아처 에비에이션(Archer Aviation)의 수직 이착륙 항공기(eVTOL) 50대에 나선다. LG유플러스, GS건설과 컨소시엄을 꾸려 참여하고 있는 '한국형 도심항공교통(K-UAM)' 사업의 일환으로 하반기 실증 비행을 시행하고 2026년에 상용화한다. UAM 도입으로 교통 체증 해소에 기여하는 한편 지속가능한 미래를 달성하기 위한 미래 모빌리티 시장을 선도한다. 아처는 30일(현지시간) 카카오모빌리티와 'K-UAM 그랜드 챌지 사업' 협력을 위한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 사업은 UAM을 상용화할 목적으로 국토교통부가 추진하고 있다. 국토부는 작년 2월 K-UAM 그랜드 챌린지 1단계에 참여할 7개 컨소시엄과 협약을 맺었다. 카카오모빌리티와 LG유플러스, GS건설이 꾸린 'UAM 퓨처팀'도 명단에 올랐다. UAM 퓨처팀을 포함해 3곳이 하반기 실증비행을 수행할 예정이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실증비행을 앞두고 아처로부터 에어택시 '미드나잇' 최대 50대를 구매한다는 계획이다. 약 2억5000만 달러의 자금도 준비했다. 조기 상용화를 지원하기 위해 연내 700
[더구루=홍성환 기자] 1994년생으로 카카오모빌리티 사외이사로 선임돼 화제를 모았던 이서경 텍사스퍼시픽그룹(TPG) 어쏘시에이트가 30세 이하 아시아 지역 리더 가운데 한 명으로 선정됐다. 포브스는 18일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30세 이하 아시아 리더 30인' 명단을 발표했다. 이번 명단에는 지난해 11월 카카오모빌리티 사외이사로 선임된 이서경 TPG 어쏘시에이트가 포함됐다. 이 어쏘시에이트는 1994년생으로 서울대를 졸업하고 JP모건체이스를 거쳐 2019년부터 현재까지 TPG에서 근무 중이다. 그는 윤신원 TPG 아시아 총괄 전무의 카카오모빌리티 이사회 활동을 도우면서 실력을 인정받았다. 윤 전무는 2017년 이상훈 TPG 코리아 대표와 함께 카카오모빌리티 투자를 주도했으며 이사회에 있는 배재현 카카오 최고투자책임자(CIO)와 막역한 사이로 알려졌다. 축구 선수 조규성과 쇼트트랙 여제 최민정은 엔터테인먼트·스포츠 분야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조규성 선수는 지난해 카타르 월드컵에서 2골을 기록하며 스타로 등극했다. 최민정은 한국 여자 쇼트트랙 에이스로 지난해 베이징 동계 올림픽에서 1500m 금메달과 1000m와 3000m 계주 은메달을 각각 따냈다. 걸
[더구루=홍성일 기자] 카카오모빌리티와 파트너십을 맺은 독일 도심항공모빌리티(UAM) 개발사 볼로콥터(Volocopter)가 싱가포르에서 에어택시 론칭을 준비하고 있다. 17일 업계에 따르면 볼로콥터는 2년 내 싱가포르에서 에어택시 서비스를 시작할 계획이다. 볼로콥터는 서비스 출시를 위한 타당성 조사를 진행 중이다. 볼로콥터의 싱가포르 에어택시 서비스는 마리나 베이, 센토사 등 인기 관광지를 중심으로 운영될 예정이며 최대 20대의 전기 수직이착륙기(eVTOL)이 투입될 예정이다. 인력도 현재 10명에서 2030년까지 500명으로 확장할 계획이다. 볼로콥터는 싱가포르 외에도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정부와 에어택시 서비스 개시를 위해 협상하고 있으며 미국에서도 규제 기관 승인 작업 중이다. 볼로콥터는 내년 상반기부터 중국에서 드론 택배 서비스를 시작해 에어택시 사업도 진행할 예정이며 한국과 일본에서도 에어택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준비하고 있다. 볼로콥터는 선진화된 기체 운용, 안전 인증 노하우 등 도심항공모빌리티(UAM) 분야에 있어 독보적인 기술과 경험을 보유하고 있다. 전기 수직이착륙기(eVTOL) 개발 분야에서 전 세계 선두 기업으로 지난 2019년
[더구루=길소연 기자] 독일 도심항공모빌리티(UAM) 개발사 볼로콥터(Volocopter)가 10억 달러(약 1조1995억원) 규모의 실탄을 확보한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한국의 마이크로모빌리티 시장이 2030년 현재의 100배에 가까운 규모로 성장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시장조사전문기관 프레시언트앤스트래티직 인텔리전스(P&S Intelligence)가 29일(현지시간)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 마이크로모빌리티 시장은 2020년 1억 2030만 달러(약 1427억원)에서 2030년 111억 7850만 달러(약 13조 2500억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됐다. 연평균 성장률은 52.2%에 달한다. 마이크로모빌리티는 친환경 동력을 이용한 소형 이동수단으로 전동킥보드, 전동스쿠터, 호버보드, 전동휠 등이 대표적이다. 주로 집에서 대중교통 정거장으로 이동하는 퍼스트마일 혹은 대중교통 정거장에서 목적지로 이동하는 라스트마일 등 근거리 교통용도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한국에서는 전동킥보드로 불리는 e-스쿠터가 시장 성장을 이끌어왔다. 한국의 마이크로모빌리티 시장의 성장이 가능한 이유는 크게 두 가지가 뽑혔다. 먼저 환경개선의 측면이다. 한국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두 번째로 대기질이 나쁜 국가로 대기질 개선을 위해 차량 이용을 줄이고 주 동력원도 내연기관에서 전기추진 기관으로 바꾸
[더구루=정예린 기자] 보스턴다이내믹스의 4족 보행 로봇 '스팟(Spot)'이 팔과 한쪽 다리를 이용해 무거운 타이어를 굴리는 데 성공했다. 강화학습을 통해 복잡한 물리 상호작용을 스스로 익히며 로봇이 인간처럼 힘과 균형을 동시에 다루는 기술 수준에 한걸음 더 다가섰다는 평가가 나온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미국의 고강도 제재 속에서 '반도체 자립'을 추진 중인 중국이 반도체 설계와 테스트 분야 핵심 기술을 확보했다. 미국의 반도체 제재가 무용지물이 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